
총 40개
-
우리나라 사회제도는 노직과 롤스의 정의론 중 어디에 더 가까운가2024.09.211. 정의의 존재와 실현의 차이 1.1. 서론 1.1.1. 연구의 필요성 최근 한국에서 정의(正義), 사회 양극화 등이 또다시 화두가 된 바 있다. 2011년 마이클 샌델(Michael Sandel)의 『정의란 무엇인가』가 베스트셀러가 되었고, 2012년에는『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그리고 2014년에는 Thomas Piketty의 『21세기 자본』 역시 선풍을 일으켰다. 이와 같은 사람들의 관심은 우리 사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사회적 문제에 정의라는 관념을 결부해 반성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기회이다. 그렇다면 현재 우리 사회에...2024.09.21
-
우리나라 사회제도는 노직과 롤스의 정의론 중 어디에 더 근접한가2024.09.211. 정의에 대한 철학적 고찰 1.1. 정의의 사전적·철학적 의미 정의의 사전적 의미는 '진리에 맞는 올바른 도리, 바른 의의'이며, 철학적 의미로는 '개인간의 올바른 도리 또는 사회를 구성하고 유지하는 공정한 도리로서 플라톤의 철학에서 지혜·용기·절제의 완전한 조화를 이르는 용어'로 정의되고 있다. 정의는 개인 간의 올바른 도리로서의 의미와 더불어 사회를 구성하고 유지하는 공정한 도리로서의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2. 정의에 대한 다양한 해석 1.2.1. 공리주의적 관점의 정의 공리주의적 관점에서 정의는...2024.09.21
-
마이클 샌델과의 대화 독후감2024.10.211. 소개 서론 "정의란 무엇인가"는 마이클 샌델이 집필한 저서로, 정의에 대한 다양한 철학적 접근과 현실 세계의 적용을 심도 있게 다룬다. 이 책은 정의의 개념을 공리주의, 자유주의, 공동체주의 등의 관점에서 탐구하며, 이들 이론이 실제 사회에서 어떻게 작용하고 상호작용하는지를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분석한다. 저자는 정의에 대한 기존의 철학적 접근들을 상세히 검토하면서도, 동시에 정의가 단순한 이론적 추구를 넘어 실제 삶과 밀접하게 결부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를 통해 독자들이 정의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이해를 얻고...2024.10.21
-
선의의 간섭주의2025.04.041. 선의의 간섭주의에 대한 개관 1.1. 선의의 간섭주의의 정의 선의의 간섭주의는 어떤 사람의 행위의 자유에 대한 간섭이 전적으로 강제당하는 당사자의 복지, 선, 행복, 필요, 이해 관심, 가치관과 관련된 이유에 의해 정당화되는 간섭이다. 의료진은 환자보다 의료 지식과 정보를 더 많이 가지고 있기 때문에 환자의 자율성을 제한하더라도 환자의 복지와 건강을 위해 선의의 간섭을 행할 수 있다. 선의의 간섭주의는 환자의 자율성을 무시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자율성을 존중하는 치료 방법이다. 환자 대부분이 의료진의 능력과 권위를 인정하고...2025.04.04
-
정의란무엇인가독후감2024.11.221. 정의란 무엇인가 1.1. 자유주의와 공리주의 자유주의와 공리주의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존 롤스의 '정의론'은 현대 자유주의의 핵심적인 이론으로, 사회 구성원 모두가 동의할 수 있는 원칙 하에 사회적 기본 재화들을 공정하게 분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반면, 벤담과 밀의 공리주의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추구하며, 결과적으로 가장 많은 이익을 가져다 주는 선택을 정의로운 것으로 간주한다. 샌델은 이러한 자유주의와 공리주의의 접근 방식이 개인의 권리와 도덕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는다고 지적하며, 이로 인해 발생할...2024.11.22
-
공동체 문화와 개인주의의 충돌2025.05.071. 서론 현대 사회에서 시장경제의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개인주의와 공동체 문화 간의 충돌이 점차 두드러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우리는 개인의 자유와 권리, 그리고 공동체의 가치 사이에서 끊임없이 갈등하고 있다. 이 보고서에서는 이러한 공동체 문화와 개인주의의 충돌을 이해하고자 한다. 먼저 역사적 관점에서 테르모필레 전투를 통해 그리스 민주주의의 초기 모습과 그 정신을 살펴볼 것이다. 이어서 시장경제의 확산이 사회적 가치와 도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구체적 사례를 통해 시장논리와 도덕적 가치의 충돌을 탐구할 것이다. ...2025.05.07
-
초대교회의 경제윤리와 이후의 발전2025.04.091. 초대교회의 경제윤리와 이후의 발전 1.1. 초대교회의 경제윤리 초대교회는 바울의 윤리를 모범으로 삼았다. 바울은 구원을 도덕적 삶의 기초로, 그리스도를 닮는 것을 도덕적 삶의 목적으로 삼았으며 이를 이루기 위한 도덕적 삶의 방식을 사랑이라고 표현했다. 이러한 기독교 윤리는 당시 제국과 갈등을 일으킬 수밖에 없었는데, 제국의 뒤편에는 고대 그리스인들의 문화와 철학이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어거스틴에 따르면 악이란 독립된 실체가 아니라 선한 것의 결핍이었으며, 인간의 도덕적 문제 역시 인간의 의지 안에 존재하는 이러한 결핍으...2025.04.09
-
초대교회의 경제윤리와 이후의 발전2025.04.091. 초대교회의 경제윤리와 이후의 발전 1.1. 기독교 윤리 태동의 과정 1.1.1. 초대교회와 고전적 기독교 윤리 초대교회는 기본적으로 바울의 윤리를 모범으로 삼았다. 바울은 구원을 도덕적 삶의 기초로, 그리스도를 닮는 것을 도덕적 삶의 목적으로 삼았으며 이를 이루기 위한 도덕적 삶의 방식을 사랑이라고 표현했다. 그런 의미에서 내주하시는 성령의 능력으로 참된 그리스도인이 되어야 한다고 말한 바울의 윤리는 지극히 구원론적이고, 기독론적이면서 성령론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독교 윤리는 당시 제국과 갈등을 일으킬 수밖...2025.04.09
-
초대교회의 경제윤리와 이후의 발전2025.04.091. 초대교회의 경제윤리와 이후의 발전 1.1. 기독교 윤리 태동의 과정 1.1.1. 초대교회와 고전적 기독교 윤리 초대교회는 기본적으로 바울의 윤리를 모범으로 삼았다. 바울은 구원을 도덕적 삶의 기초로, 그리스도를 닮는 것을 도덕적 삶의 목적으로 삼았으며 이를 이루기 위한 도덕적 삶의 방식을 사랑이라고 표현했다. 그런 의미에서 내주하시는 성령의 능력으로 참된 그리스도인이 되어야 한다고 말한 바울의 윤리는 지극히 구원론적이고, 기독론적이면서 성령론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독교 윤리는 당시 제국과 갈등을 일으킬 수밖...2025.04.09
-
V~다가2025.05.161. 교과목 개요 1.1. 철학이란 무엇인가? 철학은 우연과 짐작과 상상이 아닌, 보편과 객관을 추구하는 합리적 숙고와 철저하고도 냉철한 이성에 기초하고 있다. 철학은 삶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근본적인 태도와 반영이자 적응방식이다. 철학은 개별과학들 간의 갈등 내지 차이들을 해결하기 위해 개별과학적 방법이나 전제, 목적, 결과들이 언제나 인간 삶의 보존을 위한 지혜와 지식으로 조화롭게 귀결되지 않는 문제들에 대한 근본적인 비판과 분석 그리고 총체적이고도 유기적인 종합을 요구한다. 철학은 개별과학을 총체적으로 다루면서도 개별과...2025.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