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88개
-
결핵 지역사회2024.10.301. 결핵 개요 1.1. 정의 및 원인 결핵은 주로 폐결핵 환자로부터 나온 미세한 침방울 혹은 비말핵에 의해 직접 감염되지만, 감염되었다고 해서 모두 결핵에 걸리는 것은 아니다. 발병하는 사람들의 50%는 감염 후 1~2년 안에 발병하고, 나머지 50%는 그 후 일생 중 특정 시기에, 즉 면역력이 감소하는 때 발병하게 된다. 결핵의 원인은 결핵균에 의한 감염이다. 활동성 결핵 발생의 원인으로는 1년 이내의 최근 감염, 흉부 X선상 섬유화된 병변의 존재, 에이즈, 규폐증, 만성 신부전 및 투석, 당뇨, 면역 억제제 투여, 위장 절제...2024.10.30
-
학과별권장도서2024.11.241. Mycobacterium tuberculosis에 의한 결핵 1.1. 서론 1.1.1. 선정 이유 대한민국에서 결핵의 역사는 일제 식민시대부터 이어져왔지만, 통계의 왜곡과 부정확함으로 인해 본격적인 결핵에 관한 통계는 해방 이후부터 찾을 수 있다"이다. 해방 이후에 약 100만 명 이상이 결핵에 감염되어 있었으며, 3000-4000명이 매년 결핵으로 사망했다. 이로 인해 "결핵"은 해방 직후 50년대를 대표하는 단어 중 하나가 되기도 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저자는 예비 의료인으로서 우리나라에 특징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질...2024.11.24
-
지역사회분석보고서 시흥2024.11.281. 지역 특성 및 현황 1.1. 지리적 특성 영등포구는 서울시의 남부에 위치한 자치구로, 서쪽으로는 광명시, 남쪽으로는 안양시, 북서쪽에는 구로구, 북동쪽과 동쪽에는 관악구와 경계를 두고 있다. 금천구청의 소재지는 시흥동에 있으며, 관할 구역은 독산1∼4동 및 시흥1∼5동과 가산동 등 총10개의 동이다. 영등포구는 1995년 3월에 구로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다. 동쪽의 구릉지와 서쪽의 안양천 사이에 시가지가 장방형으로 펼쳐지고, 중앙부를 남북방향으로 시흥대로와 경부선철도가 관통한다. 땅은 대부분 그린벨트 지역이고, 북서부의 한...2024.11.28
-
경기 시흥 지역사회분석보고서2024.11.281. 지역사회 사정 1.1. 일반현황 안산시는 서울의 인구 및 산업 분산 시책의 일환으로 계획적이고 인공적으로 개발된 전원주택도시이다. 총 면적은 149.39km³로 경기도의 1.5%를 차지하며, 765,022명(2014년 7월 기준)의 인구가 거주하고 있다.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외국인 인구가 밀집하고 있어 국내의 대표적인 다문화 지역이기도 하다. 지형은 내륙 쪽으로 비교적 완경사를 이루고 있으며, 4개의 권역으로 나누어져 있다. 제1권역은 구 도심지역으로 가장 면적 및 인구가 많으며, 노후화된 시설과 주택이 밀집해 있다. 제2권...2024.11.28
-
폐결핵 심장조직관류 간호2024.10.311. 호흡기계 1.1. 호흡기계의 구조와 기능 1.1.1. 상부호흡기계 상부호흡기계는 공기의 통로와 여과, 가온, 가습 기능을 담당하는 부위로, 코(Nose), 부비강(Paranasal sinus), 인두(Pharynx), 후두(Larynx)로 이루어져 있다. 코는 코 안쪽의 비강(Nasal cavity)과 코 밖에 드러난 외비(External nose)로 구성되어 있다. 비강은 비중격에 의해 좌우로 나뉘며, 내측에 3개의 비갈개(Turbinate)가 있어 흡입된 공기가 여과되고 가온, 가습되는 역할을 한다. 부비강은 상악골,...2024.10.31
-
폐결핵 가스교환2024.10.311. 폐결핵 1.1. 병리과정과 합병증 1.1.1. 원인균 및 전파 경로 결핵의 원인균은 세균인 mycobacterium tuberculosis이다. 이 균은 호기성 세균으로 공기 중에서 천천히 증식할 수 있으며, 열, 직사광선, 소독제, 자외선 등에 의해 쉽게 파괴된다. 결핵은 비말 감염을 통해 전파되는데, 감염된 사람의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 균이 공기 중으로 배출되고, 이를 주변 사람들이 들이마심으로써 감염된다. 특히 밀접하고 지속적인 접촉이 있을 경우 감염 위험이 높아진다. 최근에는 면역저하 환자와 고령자의 증가로 인해 ...2024.10.31
-
병원 진단서2024.11.081. 교통사고 후유증으로 인한 사망 사례 1.1. 교통사고 후 7년간 치료과정 2009년 6월 18일 황씨는 손자와 함께 공놀이를 하다 공이 도로로 굴러가자 이를 주우러 달려가던 중 지나가던 차량에 치이는 사고를 당했다. 이 사고로 황씨는 우측 상완골 근위부 골절상을 입었고, 이후 7년간 대학병원과 요양병원을 오가며 20여 차례의 수술과 재활치료를 받아야 했다. 황씨의 건강상태는 계속해서 악화되었고, 수술 부위에 삽입된 인공물질이 세균에 감염되어 결국 서울대병원으로 옮기게 되었다. 서울대병원에서 황씨는 우측 상완골에 투입된 인...2024.11.08
-
급성세균성폐렴2024.10.071. 호흡기 감염병 개요 1.1. 호흡기 감염병의 정의 호흡기 감염병은 코, 인두, 후두, 기관지, 폐와 같은 호흡기 구조물의 감염을 일으키는 병으로, 주로 바이러스, 세균, 진균 등의 병원체에 의해 발생한다. 호흡기는 환기와 가스교환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기관이기 때문에 호흡기 감염병은 숙주의 전반적인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 호흡기 감염병은 상부호흡기 감염병과 하부호흡기 감염병으로 구분되며, 상부호흡기 감염병에는 감기, 인두염, 편도염 등이 포함되고, 하부호흡기 감염병에는 기관지염, 폐렴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호흡기 감염...2024.10.07
-
성인간호3 하부호흡기계 질환 정리2024.10.071. 호흡기계 해부와 생리 1.1. 상부기도 1.1.1. 코와 부비동 코와 부비동은 상부기도의 주요 구조물로, 흡입된 공기를 여과하고 가온, 습화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코는 콧구멍(비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골과 뼈로 이루어져 있다. 코 안쪽의 점막에는 풍부한 혈관이 분포하여 공기를 따듯하게 데워주고 습화시켜 폐로 공급한다. 또한 후각신경이 분포하고 있어 냄새를 맡는 기능을 한다. 부비동은 코 주변의 공간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전두동, 상악동, 사골동, 접형동 등이 있다. 이들 부비동은 점막으로 싸여 있어 점액을 ...2024.10.07
-
한센병 레포트2024.10.191. 한센병(나병) 1.1. 정의 및 역사 한센병은 노르웨이 의사 한센에 의해 나환자의 결절에서 나균이 처음 발견된 것에서 유래하였다. 한의학에서는 가라, 풍병, 대풍라 등으로 불렸고, 과거에는 문둥병 또는 천형(天刑)병으로 불렸다. 천형은 인간의 힘으로 극복할 수 없는 벌로서 보통 문둥병을 천형병이라고 했다. 치료가 불가능한 시대에는 나병(문둥병)으로 불리면서 환자들을 비하하는 인격 모독적인 표현으로 사용되어 왔다. 부산에서는 한센병을 문디병, 한센인을 문디라고도 불렀다. 과거에 사람들은 나병의 전염성, 또는 그 증상을 마치 하...2024.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