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A line 간호2025.03.011. 동맥혈가스분석(Arterial Blood Gas Analysis) 1.1. 목적 동맥혈가스분석(Arterial Blood Gas Analysis)의 목적은 호흡기능의 지표로서 동맥혈에서 산소분압(PaO2), 이산화탄소 분압(PaCO2), pH, HCO3-, 산소포화도 등을 측정하여 폐의 가스교환 능력을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인공호흡기로 호흡하는 대상자와 폐질환을 갖고 있는 대상자의 호흡기능을 평가하기 위함이다. 동맥혈가스분석 검사는 호흡 문제나 대사 문제가 의심되는 경우에 실시한다. 검사 방법은 채혈 전 안정을 취하고, 주...2025.03.01
-
a-line2024.08.301. A-line (Arterial Line) 1.1. Definition and Purpose of A-line A-line(동맥관)은 동맥에 카테터를 삽입하여 지속적으로 혈압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이다. A-line의 주된 목적은 환자의 실시간 혈압변화를 감시하고 필요한 경우 신속한 처치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 중환자실 환자나 응급실 환자에게 널리 사용되며, 심혈관계 질환자의 경우에도 A-line을 통해 혈압을 지속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 특히 쇼크 환자나 심근경색 환자 등 혈압 변동이 심한 환자에게 A-li...2024.08.30
-
기립성 빈맥 간호중재2025.01.281. 기립성 빈맥 간호중재 1.1. 기립성 빈맥의 원인 기립성 빈맥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기립성 빈맥은 자세가 눕거나 앉아 있을 때에 비해 서 있을 때 심박수의 증가가 일어나는 현상이다. 이러한 현상은 자율신경계의 조절 이상으로 인해 발생한다. 자율신경계는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교감신경의 활성화로 심박출량이 증가하고 혈관이 수축하여 심박수가 올라가게 된다. 기립 시 충분한 혈액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보상작용으로 교감신경이 활성화되어 심박수와 혈압이 올라가는 것이다. 이는 기립성 저혈압을 예...2025.01.28
-
일차성 고혈압과 이차성 고혈압 각각 위험요인 및 특성을 설명해줘, 또 고혈압 전단계로 판정받은 환자에게 필요한 혈압 관리 방안도 알려줘2025.04.121. 서론 고혈압은 대표적인 성인 만성질환의 하나로서, 다른 심혈관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친 꾸준한 관리가 필요한 건강문제이다. '고혈압 전 단계'에서는 고혈압으로의 진행을 막기 위해 예방적 차원의 노력이 요구되므로 임상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고혈압은 원인에 따라 일차성 고혈압과 이차성 고혈압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각에 작용하는 위험요인과 특성이 다르다. 따라서 고혈압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위험요인을 고려한 맞춤형 관리 전략이 필요하다. 고혈압 전단계에서의 철저한 예방과 관리는 궁극적으로...2025.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