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슬기로운 의사생활 의학용어2024.11.231. 보건의사소통과 건강관리 1.1. 보건의사소통의 구성요소와 메시지 의사소통의 구성요소 중 "메시지"는 송신자가 창출한 의미를 가진 자극이다. 쉐논과 슈람은 통신 과정 모형에서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의 의사소통 과정을 강조하였는데, 송신자는 기호화하여 신호를 전달하고 수신자는 이 신호를 해독하여 의미를 받아들인다. 이 과정에서 잡음이 발생할 수 있으며, 수신자가 송신자에게 피드백을 하면서 의사소통이 이루어진다. 카츠와 라자스펠드의 모델에서는 기존 의사소통연구에서 송신자와 메시지 중심에서 수용자를 중시하는 방향으로 관심이 전환되었...2024.11.23
-
조직의 광고 헬스2025.02.041. 조직의 광고 헬스 1.1. 창업 프로젝트 - 장애인을 위한 운동 서비스 현재 대한민국에는 약 250만 명의 장애인들이 일반인들과 함께 살아가고 있다. 그러나 그들은 '함께'라는 말이 무색해질 정도로 차별을 받고, 제대로 된 복지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고 있다. 국가는 많은 수의 장애인을 감당하기 힘들고, 장애인들은 사비를 지불하고 사설 단체에서 재활 치료 및 체력 관리를 받고 있지만 이는 일반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득이 적은 장애인들에게 많은 부담을 지우게 된다. 현재 대한민국에 위치해 있는 장애인 전문 재활·체력 관리 시설...2025.02.04
-
보건의사소통2025.04.131. 서론 1.1. 보건의사소통의 정의와 중요성 보건의사소통이란 개인 또는 지역사회가 건강을 향상시키는 선택으로 나아가도록 전문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그에 대한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활용하고 연구하는 것이다. 개인과 사회의 건강 증진을 위해 소비자 입장에 기초하여 메시지와 전략을 제작하고 전달하는 역할을 맡는다. 보건의사소통은 informing(건강에 대한 정보를 전달), influencing(사회와 개인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가도록 영향을 미침), motivating(동기를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궁극적으로...2025.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