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개
-
파이란 문화비평문2024.12.021. 김기림의 『시론(詩論)』 분석 1.1. 시와 인식 김기림은 『시론(詩論)』에서 시와 인식의 관계에 대해 논의한다. 그에 의하면 "시는 음이나 형으로 분해할 수 있다고 믿는 시파에 대해서 '그것은 될 수 있는 일일까'라고 묻는다". 김기림에게 있어 시는 "한 언어적 전체조직"으로, 단순히 몇 가지 요소로는 구분할 수 없는 유기체와 같다. 자유시가 "시의 리듬을 고루한 격식으로부터 해방"했다는 점에서, 음악의 음과 시의 음은 서로 다르다고 믿는다. 김기림은 시의 기술 문제에 대해서도 언급한다. 그에 따르면 양식은 시대의 정신...2024.12.02
-
카톨릭 교부들의 황금기2025.07.031. 토마스 아퀴나스의 생애와 사상 1.1. 들어가며 13세기는 중세 기독교의 황금시대로 불린다. 이 시기에 교황의 권력이 확대되면서 생활 곳곳에 교회의 영향력이 늘어났고, 새로운 수도회들이 교육에 헌신하면서 신앙의 시대를 열어갔다. 또한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이 유입되면서 이성 중시의 철학적 전통이 확대되었고, 계시와 이성, 종교권위와 세속권위, 플라톤 철학과 아리스토텔레스 사상 간의 간극이 심화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토마스 아퀴나스는 이성과 신앙의 조화를 추구하며 사상적 체계를 정립하였다. 1.2. 토마스 아퀴나스의 생애 토마스...2025.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