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3개
-
지방분권과 지방자치가 필요한가2024.10.141. 지방자치의 의의와 쟁점 1.1. 지방자치의 개념과 구성요소 지방자치의 개념과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지방자치란 일정한 지역의 주민들이 지방자치단체를 구성하여, 국가의 일정한 감독 아래, 그 지역 안의 공동문제를, 자기부담에 의하여, 스스로(또는 그 대표자를 통하여) 처리하는 것이다. 지방자치는 지역, 주민, 자치단체의 3대 요소로 구성된다. 첫째, 지역은 일정한 지리적 범위를 의미하며, 국가의 영토 중 일부분을 구성한다. 지역은 지방자치의 객체이자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지방자치단체의 활동범위와 경계는 지역에 따라 달라진...2024.10.14
-
행정복지센터2025.01.041. 행정복지센터의 개요 1.1. 행정복지센터의 정의 및 설립 배경 행정복지센터는 읍·면·동에 설치되는 기관으로, 과거에는 주민센터, 그 전에는 읍·면·동사무소라고 칭했다.""일제강점기에는 정회라고 지칭하였으며, 이를 이어 동회라고 부르기도 하였다.""관할 구역은 행정동과 일치하지만 다른 동에서 일시적으로 대리 관할하는 경우도 있으며, 군사분계선에 인접하여 주민이 없거나 매우 소수인 면 지역은 인근의 다른 읍·면이 대리 관할하기도 한다.""1999년 2월 행정자치부의 읍·면·동사무소의 기능 전환 시범 실시에 따라 설치되기 시작한 ...2025.01.04
-
행정복지센터2025.03.121. 서론 1.1. 행정복지센터의 정의와 설립 배경 행정복지센터는 과거에는 주민센터, 그리고 그 이전에는 읍·면·동사무소라고 불렸던 관공서이다. 이는 일제강점기 때는 정회, 동회 등으로 지칭되었으며, 현재는 행정복지센터라는 명칭으로 불리고 있다. 행정복지센터의 관할 구역은 행정동과 일치하지만, 때에 따라 다른 인근 동에서 임시로 대리 관할하기도 하며, 특정 지역의 경우 인구가 매우 적어 인근 다른 읍·면이 대리 관할하기도 한다. 1999년 2월 행정자치부에서 실시한 읍·면·동사무소의 기능 전환 시범 사업으로 시작된 주민자치센터는 ...2025.03.12
-
지역사회복지와 관련한이슈2024.10.141. 서론 지방분권에 따른 지방자치는 두 가지 측면으로 살펴볼 수 있다. 먼저 지방자치단체와 국가(중앙정부)간의 관계로 법률적 의미의 지방분권을 핵심으로 하는 단체자치가 있고, 지방자치 단체 안의 정부와 주민과의 관계로써 주민참여측면인정치적 의미의 주민자치가 있다. 단체자치와 주민자치는 각기 다른 측면을 지니고 있으나 양자 서로 별개로 병립하는 관념이 아니고 상호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 즉, 단체자치는 지방자치의 무대인 지방자치단체가 국가로부터 독립해서 자치권을 행사하는 것이고, 주민자치는 지방자치의 주체인 주민이 자율적으로...2024.10.14
-
한국사회 지역사회복지와관련한 이슈와 문제점2024.10.141. 서론 지방분권에 따른 지방자치는 두 가지 측면으로 살펴볼 수 있다. 먼저 지방자치단체와 국가(중앙정부)간의 관계로 법률적 의미의 지방분권을 핵심으로 하는 단체자치가 있고, 지방자치 단체 안의 정부와 주민과의 관계로써 주민참여측면인정치적 의미의 주민자치가 있다. 단체자치와 주민자치는 각기 다른 측면을 지니고 있으나 양자 서로 별개로 병립하는 관념이 아니고 상호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 즉, 단체자치는 지방자치의 무대인 지방자치단체가 국가로부터 독립해서 자치권을 행사하는 것이고, 주민자치는 지방자치의 주체인 주민이 자율적으로...2024.10.14
-
청년마을2024.10.251. 마을만들기의 개념과 현황 1.1. 마을만들기의 개념 마을만들기는 일본의 '마치즈쿠리(町づくり)'라는 개념을 직역한 것이다. 마을만들기의 개념은 주민들이 직접 참여하여 지역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 발전을 도모하는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1970년대 일본에서 시작된 마치즈쿠리는 산업화로 인한 공해 문제에 대한 주민들의 저항운동에서 출발하였지만, 이후 생활에 필요한 시설과 공간을 만드는 활동, 도시재정비 및 개발사업 등으로 그 영역이 확장되었다. 우리나라에서 마을만들기는 지방자치제도가 실행된 이후부터 본격화되었다. 각 지역에서 주...2024.10.25
-
지방자치제도개녀을 설명하고 실행에있어 지역의 좋은 사례를 예를들어 좋은점과 나빠진점을 기록해보십시요2024.09.131. 지방자치제도의 개념과 실행 1.1. 지방자치제도의 개념 지방자치란 "일정한 지역의 주민들이 지방자치단체를 구성하여, 국가(중앙정부)의 일정한 감독아래, 그 지역 안의 공동문제를, 자기부담에 의하여, 스스로(또는 그 대표자를 통하여)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지방자치제도는 지극히 다의적인 개념으로, 이는 각국의 역사적 배경이 상이함에 따라 자치행정의 현실적인 형태도 각각 다르기 때문이다. 유럽의 경우 영국 중심의 주민자치와 독일과 프랑스 중심의 단체자치의 두 가지 대립적인 유형으로 발전되어 왔는데, 이 두 개의 유형은 근...2024.09.13
-
고양시 지역사회 분석 보고서2024.09.291. 고양형 시민참여자치 1.1. 서론 지방자치의 핵심적 요소는 '지방분권'과 '주민자치'로 나뉜다. 지방자치는 지방정부정책을 효율적으로 만들고 시민이 참여를 통해 민주적 자질을 갖추도록 성장을 돕는다. 또한 공동의 문제해결과정에서 소통과 나눔을 행하고 지역 공동체를 형성하는 기능을 한다. 필자가 고양시의 사례를 채택한 이유는 민선5기의 시작인 2010년 6월부터 민선6기인 2014년 10월까지의 '고양시 시민참여자치'가 필자가 찾고자 하는 행정사례를 아주 잘 보여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내용은 '고양형 시민참여자치'의 배경, ...2024.09.29
-
한국의 지방자치제의 발전과정2024.09.111. 서론 우리나라에서 지방자치제도가 실시되어지면서 지방분권은 단순하게 정부의 기능을 중앙정부에서 지방정부로써 이관을 한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고, 지역사회 중심으로의 사회복지전달체계의 구축이라는 패러다임의 전환에 따른 것으로 이는 공공과 민간, 시민사회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진 지역복지의 통합체계의 구축을 의미를 한다. 이것은 사회복지영역의 확대와 동시에 지방자치단체의 책임성이 강화가 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각기 지방자치단체는 과거의 중앙부처의 기획을 집행만을 하던 차원에서 벗어나 지역사회중심에서의 사회복지계획의 수립, 그리고...2024.09.11
-
지방자치기능과 사무 질문3가지2024.10.111. 공무원제도와 지방자치제 1.1. 공무원의 의의 1.1.1. 공무원의 개념 공무원이라 함은 직접 또는 간접으로 국민에 의하여 선출되거나 임용권자에 의하여 임용되어 국가 또는 공공단체와 공법상의 근무관계를 맺고 공공적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자를 말한다. 공무원은 국가 또는 공공단체와 공법상의 근무관계를 맺으며, 국민 전체에 대한 봉사자로서의 지위를 가진다. 이들은 국민에 의해 선출되거나 임용권자에 의해 임용되어 국가 또는 공공단체를 위해 공공적 업무를 수행하는 자들이다. 1.1.2. 공무원의 종류와 구분 공무원의 종류와 구분은...2024.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