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개
-
불충분한개인위생과관련된감염의위험성2024.12.051. 감염관리 개요 1.1. 의료관련감염의 정의 및 특성 '의료관련감염'이란 병원 등 의료기관에서 치료과정 중에 발생하는 감염을 말한다. 과거에는 '병원감염'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지만, 이는 병원에서만 발생한다는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어 최근에는 '의료관련감염'이라는 용어를 더 많이 사용한다. 의료관련감염은 입원이나 치료과정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감염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예로는 정맥주사 관련 균혈증, 유치도뇨 관련 요로감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감염은 치료비용의 증가, 항생제 내성균 발생, 치료의 어려움 등의 문제를 야...2024.12.05
-
지침2024.10.311. 감염관리 1.1. 격리주의 지침 1.1.1. 격리의 정의 격리란 감염자나 보균자 또는 감염이 의심되는 환자로부터 다른 환자나 직원이 감염되거나 미생물이 전파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취하는 여러 가지 보호조치를 의미한다. 표준주의와 전파경로별 주의지침을 적용하여 병원 내 감염 전파를 차단하는 것이 격리의 목적이다. 격리는 넓은 의미에서 감염의 전파를 막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며, 좁은 의미로는 병원체를 제한하여 전파를 줄이는 일반격리와 감수성이 약한 대상자를 일반 환경의 병원체로부터 보호하는 보호격리 또는 역격리로 구분된...2024.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