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개
-
저체온요법2025.03.291. 저체온요법 1.1. 정의 및 적응증 저체온요법은 심정지로부터 순환회복이 되었으나, 혼수상태인 환자를 경도(32~34℃)의 저체온 상태로 일정 시간동안 유지함으로써 뇌손상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그 목적은 체온을 내리는 것에 의해 생체의 대사 및 산소소비량을 감소시켜, 장기의 저산소상태나 혈류차단에 견딜 수 있는 시간을 연장하는 것이다. 적응증으로는 심정지후 뇌부종 치료, 뇌수술, 심장수술 등이 있다. 외부 냉각법과 내부 냉각법을 각각 또는 함께 사용하여 저체온의 유도 및 유지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유도기에는 가능한 빠른...2025.03.29
-
관상동맥우회술 간호과정2025.03.091. 서론 1.1. 심근경색에 따른 관상동맥 우회술 심근경색은 관상동맥의 심각한 협착 또는 폐색으로 인해 발생하는 심장근육의 허혈성 손상이다. 심근경색 환자의 경우 관상동맥 우회술을 통해 심장으로의 혈액 공급을 개선할 수 있다. 관상동맥 우회술은 협착된 관상동맥의 원위부에 혈관을 이식하여 혈액 공급을 우회시키는 수술이다. 이를 통해 심근의 산소 공급을 향상시킬 수 있다. 수술에는 체외순환장치(심폐기)를 사용하며, 저체온요법을 병행하기도 한다. 관상동맥 우회술은 좌측 주 관상동맥에 50% 이상의 협착이 있거나, 2개 이상의 ...2025.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