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선천성 거대결장 케이스2024.12.141. 서론 선천성 거대결장은 모든 신생아 장폐색증의 약 1/4을 차지하고 있는 질병이다. 발병빈도는 살아서 출생한 아동 5,000명 중의 1명이며, 여아보다 남아에서 4배 더 많이 발생된다. 또한 약 10%에서 가족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생아는 출생 후 2일 이상 태변 배출이 늦어지거나 복부 팽만이 심해 수유 진행이 어렵고 구토가 지속되는 경우 선천성 거대결장 질환의 가능성을 고려해 보고 빠르게 치료를 해야 한다. 만약 치료하지 않고 그대로 방치해 둔다면 복부팽만, 구토 등의 장폐색 증상을 보이고 이후 위험한 합병증인 소...2024.12.14
-
복막염2024.08.191. 서론 1.1. 복막염의 개념과 중요성 복막염은 복강 및 복강 내 장기를 덮고 있는 얇은 막인 복막에 발생한 염증 혹은 자극 증상이다. 주로 세균성 감염에 의해 발생하며 급성과 만성으로 나눌 수 있다. 급성 복막염은 중독 증세를 나타낼 때가 많으며, 위궤양·십이지장궤양의 천공, 충수염·장티푸스에 의한 장의 천공, 자궁외임신의 파열 등이 원인이 된다. 천공이 일어나면 순간적으로 심한 복통이 일어나고 쇼크 증세를 나타낼 수 있다. 복막염은 국소적으로 발생하기도 하지만 치료가 지연되면 염증이 복막 전체로 퍼지게 되어 수술이 어려운 ...2024.08.19
-
gastroschisis 간호과정2024.08.30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선천성 거대결장은 장에 분포하는 부교감 신경절이 없어서 생기는 기능적 장폐쇄로 인하여 발생하는 병이다. 이 질환은 산전 초음파에서는 특별한 문제가 없어 보이다가 출생 후 장운동이 시작되면서 증세가 나타나게 된다. 신생아 시기에는 변비, 복부팽만,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진단이 늦어지면 장폐쇄, 패혈증, 복막염 등의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만성 변비, 영양실조 등이 발생할 수 있어 조기 진단 및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천성 거대결장 환아의 사례를 ...2024.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