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종묘제례악의 개요
1.1. 종묘제례악의 정의와 구성
종묘제례악은 조선 왕조 역대 왕과 왕비의 신위를 모신 종묘에서 제사 지낼 때 연행되는 음악, 노래, 무용 일체를 의미한다. 종묘는 조선왕조의 왕실 사당이며, 종묘제례악은 이곳에서 행해지는 제례의식에 수반되는 아악(雅樂) 중심의 음악이다. 종묘제례악은 세종 때 정비된 '정대업'과 '보태평' 등 24곡으로 구성되며, 등가(登歌)와 헌가(軒架)로 나뉘어 번갈아 연주된다. 등가는 비교적 음량이 작은 현악기와 노래 중심이고, 헌가는 관악기와 타악기 중심이다. 각 곡은 4음으로 이루어...
2025.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