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2개
-
형질의 유전과 확률2024.10.311. 가계도에서 자식의 유전자 확률에 대한 분석 1.1. 주제 선정의 이유 과학 기술의 발달 속도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며 인체와 유전자, 불치병 등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평소에 생명과학과 생명공학 기술에 관심이 많은 만큼 생명 관련 분야에 관해 수학적 탐구를 하고자 하였고, 생명과학 기술의 가장 기초에 있는 '유전'이라는 개념을 확률이라는 수학적 이론으로 이해하고자 "가계도에서 자식의 유전자 확률에 대한 분석"이라는 주제를 선정하게 되었다. 이 주제를 탐구함으로써 유전, 인간의 진화과정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확...2024.10.31
-
태내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적요인과 환경적요인2024.10.231. 태내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1. 유전적 요인 1.1.1. 유전인자 유전인자(genes)란 세포의 핵 안에 존재하는 매우 작은 물질로, 생명체의 모든 유전정보를 담고있는 염색체에 자리잡고 있다. 유전인자는 세포에게 언제, 어떠한 기능을 수행해야 하는지를 지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유전인자는 개체의 특성을 결정하는 생물학적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유전인자는 염색체 내에 담겨있는데, 난자와 정자가 결합하여 수정되면 수정란의 염색체 속에 부모로부터 받은 유전인자가 모두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유전인자들이 개인의 신...2024.10.23
-
인간복제 찬성2024.11.051. 인간복제에 관한 찬성 및 반대 입장 1.1. 인간복제의 정의와 역사 인간복제의 정의와 역사는 다음과 같다. 전통적인 복제(Cloning)는 동일한 모체(또는 세포)에서 태어나 전적으로 동일한 유전정보를 갖는 자손이라는 뜻이다. 즉, 본래는 유성생식이 아닌 무성생식으로 된 자손의 집합을 말한다. 과학자들은 오래전부터 다른 동물도 무성생식을 할 수 없을까 모색해 오다가 1938년 독일의 과학자 한스 스페만이 처음으로 복제의 개념을 제시하였다. 이후 많은 과학자들이 복제기술에 도전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복제기술을 인간에 적...2024.11.05
-
X염색체의 비밀 독후감2024.10.131. 인간의 유전자와 염색체 1.1. 인간의 염색체와 유전자의 구조 인간의 염색체와 유전자의 구조는 생명과학 분야에서 핵심적인 주제이다. 인간의 세포핵 속에는 총 23쌍의 염색체가 존재하며, 이 중 22쌍은 상동염색체이고 나머지 1쌍은 성염색체(X와 Y)이다. 이러한 염색체는 유전 정보를 담고 있는 DNA 분자로 구성되어 있다. DNA 분자는 복잡한 이중나선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이 구조 내에는 유전자가 존재한다. 유전자는 특정 형질이나 특성을 결정하는 기본 단위로, 약 2만 개가 인간 게놈에 포함되어 있다. 유전자는 염기 ...2024.10.13
-
멘델의 유전법칙, 통계적 확률2024.11.301. 멘델의 유전 법칙 1.1. 멘델의 법칙: 제1법칙(분리의 법칙) 1.1.1. 가설 멘델의 제1법칙에 대한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전형질은 유전자에 의해 지배되고 유전자는 개체 내에 쌍으로 존재한다. 둘째, 동일한 개체 내에 서로 다른 2개의 유전자가 함께 있는 경우 1가지 형질만 나타나고 이때 나타나는 형질은 우성이라 하며, 나타나지 않은 형질은 열성이라고 한다. 셋째, 개체 내에 쌍으로 존재하는 유전자는 배우자 형성과정에서 하나씩 분리되고 다른 배우자로 분배된다. 1.1.2. 가설의 입증 위 가설 중 두 번째 ...2024.11.30
-
섭취 감소와 관련된 영양부족 위험성2024.09.021. 백혈병 문헌고찰 1.1. 정의 백혈병은 신체의 조혈 기관인 골수의 정상 혈액 세포가 어떠한 원인으로 인해 암세포로 전환, 증식하면서 발생하는 혈액암이다. 백혈병 세포는 무한 증식하여 정상적인 백혈구, 적혈구 및 혈소판의 생성을 방해하여 정상 혈액세포의 수치를 감소시키며, 이는 신체에 치명적인 문제를 야기한다." 1.2. 원인 백혈병의 원인은 분명하지 않다. 그러나 몇 가지 상황에서 백혈병이 잘 발생한다. 갑자기 많은 양의 방사선을 쏘이면 백혈병이 발생한다. 2차 대전 때 일본에서 원폭 피해자에게서 백혈병 환자가 많이 발생...2024.09.02
-
백색증2024.10.181. 유전병 1.1. 유전병이란 '유전병(genetic disease)'이란 '유전물질인 DNA(Deoxyribonucleic acid)의 변형 즉 돌연변이(mutation)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을 의미한다. 유전병은 주로 유전자 결함(DNA에 발생한 돌연변이)으로 인해 일어나며, 그 결과 효소 활성을 상실하게 된다. 인체는 효소 어느 한 가지만 없어도 생명이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생물학적 단백질 유기 촉매제이다. 또한 유전병은 선천성 효소 결핍의 결과로 나타나기도 한다. 어떠한 효소 하나가 활성을 상실해 결핍되면...2024.10.18
-
멜라스증후군2024.12.171. 미토콘드리아와 유전병 1.1.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란? 미토콘드리아는 세포 내에서 에너지를 생산하는 중요한 소기관이다. 세포 내에서 핵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인 세포질에는 다양한 세포 내 소기관들이 존재하는데, 이 중 미토콘드리아는 세포가 생명 현상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인 ATP(adenosine triphosphate)를 생산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우리가 섭취한 음식의 영양분을 세포가 이용할 수 있는 생체 에너지로 전환하는 것이 미토콘드리아의 주된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미토콘드리아는 세포 내 ...2024.12.17
-
하리하라의 바이오 사이언스 독후감2024.10.141. 소개 이 책은 생명공학 분야의 역사와 주요 이슈들을 소개하고 있다. 특히 유전과 관련된 현상과 실험, 그리고 유전자 치료 등 생명과학의 발전 과정을 상세히 다루고 있다. 저자 이은희 씨는 연세대학교에서 신경생물학을 전공했으며, '하리하라'라는 필명으로 칼럼리스트 및 저술가로 활동하고 있다. 저자는 생명공학이라는 분야가 자신의 전공 분야와 일치하고, 출신 대학교인 연세대에서 졸업한 저자가 이 책의 저자라는 점에 흥미를 가지고 있다. 이 책은 유전학의 역사부터 최근의 유전 관련 이슈까지 다루고 있다. 멘델의 유전법칙과 DN...2024.10.14
-
핵분열2024.12.201. 세포분열과 염색체 구조 1.1. 세포주기와 세포분열 과정 진핵생물의 세포주기와 세포분열 과정은 다음과 같다. 세포주기는 크게 간기와 분열기로 나뉘며, 간기에는 세포가 성장하고 핵분열과 DNA 복제에 필요한 영양분을 축적하는 시기이다. 간기는 다시 G1기, S기, G2기로 구분된다. 분열기에는 유전물질의 형태적 차이와 분열장치에 의한 움직임에 따라 전기, 전중기, 중기, 후기, 말기로 세분된다. 전기에는 염색질섬유가 단단하게 꼬이고 접혀 염색체로 전환되며, 중심체로부터 미세소관이 빠르게 자라나와 방추사가 형성된다. 전중기에...2024.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