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관상동맥 우회술2024.10.121. 관상동맥 우회술(CABG) 1.1. 관상동맥 해부 및 병태생리 1.1.1. 심장의 구조와 기능 심장은 크기가 보통 성인의 주먹 크기 정도로 작은 근육기관이다. 심장은 무게가 약 300g 정도로, 종격동의 중앙과 횡경막 위, 흉곽 왼쪽에 위치하고 있다. 심장의 역할은 산소와 영양분을 실은 혈액을 온몸에 순환시키는 것이며, 이를 위해 1분에 60~80회 정도 심근이 수축한다. 심장 1회 수축 시 약 70cc의 혈액이 내뿜어지며, 1분당 약 5L, 하루에 약 7,000L 이상의 혈액을 분출한다. 신체활동이 강해지면 말초조직의 산...2024.10.12
-
불안정 협심증 병태생리2024.08.151. 서론 1.1. 협심증과 심근경색의 개요 협심증은 관상동맥의 내경이 좁아져 심장근육에 충분한 혈류와 산소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하는 가역적인 임상 증상이다. 협심증과 심근경색은 허혈성 심장질환에 속하는 질환으로 그 원인과 증상, 예후가 다르다. 협심증은 관상동맥 내벽의 죽상경화증 또는 혈관 수축으로 인해 관상동맥이 좁아져 심근으로의 혈액 공급이 감소되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심근의 산소 공급이 부족하게 되면 흉통을 동반하는 임상증상이 발생한다. 대부분의 경우 운동이나 스트레스 등으로 심근의 산소 요구량이 증가할 때 흉...2024.08.15
-
회장조루술 case2024.10.28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장폐색은 장의 일부가 내부적 혹은 외부적인 이유로 막혀 장의 흐름이 손상된 질병을 말한다. 이러한 장폐색은 유착, 탈장, 염전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한다. 하지만 이 외에도 장페색을 유발하는 흔한 원인은 과거 개복 수술을 받은 경우이다. 개복 수술을 받은 경우 수술 부위가 아물면서 주위의 장과 유착이 발생하게 된다. 대부분은 그 나름대로 장의 통로가 유지되어 문제가 되지 않지만, 경우에 따라 유착이 심해 장이 막히는 경우가 있다. 이 환자의 경우, 2015.10.05 회장조루술을 받기 전 201...2024.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