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1개
-
생리학 노트정리2024.12.011. 심장과 혈관계 1.1. 심장의 구조와 기능 1.1.1. 심장 구조 심장은 전신순환계와 폐순환계를 포함하는 폐쇄순환계의 중심기관으로, 심방과 심실로 이루어져 있다. 심방은 혈액을 받아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심실은 혈액을 높은 압력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심장은 크게 네 개의 방(chamber)으로 이루어져 있다. 두 개의 상부 방이 심방이고, 두 개의 하부 방이 심실이다. 심방과 심실 사이에는 삼첨판막(우심방과 우심실 사이)과 승모판막(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이 있다. 이 판막들은 혈액이 한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하는 ...2024.12.01
-
부신절제술2025.03.17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이번 수술실에서의 실습 중 많은 수술사례의 관찰 중 33세 여자환자로 쿠싱증후군을 눈에 띄게 관찰할 수 있어 부신의 병태생리 및 부신절제술에 대하여 더 알아보고자 이번 연구를 시행하였다. 부신은 신체의 필수적인 호르몬을 분비하는 내분비샘으로 그 기능이상은 다양한 증상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부신의 구조와 기능, 병태생리, 진단과 치료에 대해 심도 있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특히 부신절제술은 부신종양이나 호르몬 과다분비로 인한 증상을 치료하는 핵심적인 수술로, 수술 전후 정확한 간호중재가...2025.03.17
-
안지오텐신2025.03.071.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CE) 억제제의 작용기전과 임상적 적용 1.1.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시스템(RAAS)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시스템(RAAS)은 신장 내부에서 나트륨 이온의 흡수율과 수분 재흡수 과정을 조절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과정은 삼투압을 통한 세포외액의 부피를 조절하여 혈압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혈압 조절에 가장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알도스테론이다. 알도스테론은 부신피질에서 분비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으로, 집합관과 네프론의 원위세뇨관에서 나트륨 이온을 재흡수하고 칼륨이온을 방출시켜...2025.03.07
-
부신피질기능저하증 간호과정2024.09.291. 부신질환 1.1. 부신피질기능항진증 1.1.1. 쿠싱증후군 쿠싱증후군은 만성적으로 당류피질호르몬 중 코티솔이 과다분비된 상태이다. 코티솔은 ACTH의 자극으로 부신피질에서 분비되므로, 쿠싱증후군은 ACTH 과잉분비에 의한 경우도 있고, 부신피질 자체에서 과잉분비되는 경우도 있다. 과도한 코티솔 분비에 대한 반응으로 환자의 내분비 조직은 특히 프로락틴, 갑상샘 자극호르몬, 생식샘 자극호르몬의 분비가 감소된다. 이로 인해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대사 장애, 염증과 면역반응 장애, 수분과 전해질 대사 장애, 정서적 불안정,...2024.09.29
-
인체생리학2024.09.161. 호르몬 1.1. 콜레스테롤 유래 호르몬의 체내작용 콜레스테롤(cholesterol)은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전구물질로서 인체 내에서 다양한 호르몬을 생성한다. 콜레스테롤에서 유도되는 호르몬에는 당질 코르티코이드, 무기질 코르티코이드, 안드로겐,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등이 있으며, 이들은 각각 고유한 체내작용을 갖는다." 당질 코르티코이드는 대표적으로 코르티솔(cortisol)이 있다. 코르티솔은 대사 효과로 단백질 분해와 단백질로부터 당 신생을 촉진하여 혈당을 상승시키며, 과잉 분비는 쿠싱 증후군을 초래한다. 또한 스트레...2024.09.16
-
인체생리학 문제2024.12.021. 테스토스테론 불감성 증후군과 성 결정 1.1. 유전적 성별의 정의 성의 결정은 유전적으로 1쌍의 성염색체(sex chromosome)에 의해 결정되며, 여성은 XX, 남성은 XY를 가진다. 본문의 김공주는 유전적으로 남성이라고 하였기에 XY의 성염색체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1.2. 테스토스테론의 기능과 생성 테스토스테론은 안드로겐의 주 호르몬이다. 고환의 간질세포(Leydig 세포)에서 분비되며 생식기관의 성장과 발달, 정자 형성과 남성의 이차성징, 성 욕구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분비저하 시, 남성 2차 성징의 퇴축...2024.12.02
-
저칼륨혈증문헌고찰2024.12.161. 갑상선 기능 항진증과 저칼륨혈증 1.1. 갑상선 기능 항진증 1.1.1. 정의 갑상선 기능 항진증(hyperthyroidism)은 갑상선에서 갑상선 호르몬이 과다하게 분비되어 갑상선 중독증을 일으키는 상태이다"." 내분비샘 질환 중 상당히 흔한 질병이며, 갑상선 항진증과 갑상선 중독증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과량의 갑상선 호르몬에 조직이 노출됨으로서 생리적·생화학적 장애를 초래하는 것을 의미한다"." 1.1.2. 병태생리 갑상선 기능 항진증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갑상선기능항진증은 갑상선의 호르몬 분비에 대한 정상적...2024.12.16
-
성인간호학체액 전해질2024.09.051. 체액과 전해질 1.1. 생리 1.1.1. 체액 구성 체액은 성인 체중의 약 60%, 영아 체중의 약 70%를 차지하며, 인체의 생명유지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체액은 크게 세포내액(intracellular fluids, ICF)과 세포외액(extracelluar fluids, ECF)으로 구분된다. 세포내액은 세포 내에 존재하며, 총 체액의 2/3, 체중의 40%를 차지한다. 세포내액은 세포의 화학적 기능이 일어나게 한다. 세포외액은 총 체액의 1/3, 체중의 20%를 차지한다. 세포외액은 혈량을 유지하고 순환계를 통...2024.09.05
-
신장 수분 전해질2024.12.251. 신장과 체액 생리학 1.1. 신장 1.1.1. 신장의 구조 신장의 구조는 바깥층인 과립상의 겉질과 내층인 속질로 구성되어 있다. 신장의 기능적 최소 단위인 네프론은 겉질로부터 속질 쪽으로 배열돼 있고, 한쪽 신장은 약 1백만 개, 양쪽에 2백만 개의 네프론으로 구성돼 있다. 네프론은 신소체(말피기소체)와 세뇨관으로 되어 있으며, 신소체는 사구체(모세혈관 덩어리)와 보먼주머니로 이루어졌다. 사구체의 모세혈관은 일반 조직의 모세혈관과 다르게 토리주머니의 속층과 접촉하고 있다. 다시 말해, 토리여과는 모세혈관 벽과 토리주머니벽을...2024.12.25
-
신장 수분 전해질2024.12.251. 신장과 체액 생리학 1.1. 신장 1.1.1. 신장의 구조 신장의 구조는 바깥층인 과립상의 겉질과 내층인 속질로 구성되어 있다. 신장의 기능적 최소 단위인 네프론은 겉질로부터 속질 쪽으로 배열돼 있고, 한쪽 신장은 약 1백만 개, 양쪽에 2백만 개의 네프론으로 구성돼 있다. 네프론은 신소체(말피기소체)와 세뇨관으로 되어 있으며, 신소체는 사구체(모세혈관 덩어리)와 보먼주머니로 이루어졌다. 사구체의 모세혈관은 일반 조직의 모세혈관과 다르게 토리주머니의 속층과 접촉하고 있다. 다시 말해, 토리여과는 모세혈관 벽과 토리주머니벽을...2024.1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