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RDS)은 폐의 발달이 미숙하여 폐표면활성제가 부족한 상태에서 주로 미숙아에게 발생하는 질환이다. 폐표면활성제는 폐포의 자속적 팽창을 유지시키는 중요한 물질로, 이의 부족으로 폐가 허탈되어 무기폐가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가스교환이 원활하지 않아 저산소증과 고탄산혈증이 초래되며, 이는 다시 폐혈관 저항을 높여 심한 호흡부전으로 이어지게 된다.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은 미숙아의 10~15%에서 발생하며, 주산기 가사, 제왕절개, 다태아, 당뇨병 산모 등의 요인이 발병을 증가시...
2025.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