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5개
-
삼차신경2024.10.311. 뇌의 구조와 기능 1.1. 뇌줄기 뇌줄기는 뇌의 가장 기본적이며 중요한 부분이다. 뇌줄기는 대뇌와 소뇌를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하며, 기초적인 생명 유지 기능을 담당한다. 뇌줄기는 크게 중뇌, 소뇌다리, 교뇌, 연수로 구성된다. 중뇌(midbrain)는 뇌줄기의 가장 윗부분에 해당하며, 시각과 운동 기능을 조절한다. 중뇌는 상위 운동신경로에서 운동명령을 내리며, 시각반사 중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중뇌가 손상되면 안구운동장애, 사시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소뇌다리(cerebral peduncle)는 대뇌반구와 소뇌를 연결...2024.10.31
-
신경계 중추신경계 말초신경계2024.10.261. 신경계의 개요 1.1. 중추신경계 1.1.1. 뇌 1.1.1.1. 대뇌 대뇌(cerebrum)는 뇌의 80%로, 뇌의 가장 고위중추로써 고차원의 정신기능을 담당한다. 표면은 회백질인 피질, 안쪽은 백질인 수질로 되어있다. 표면은 깊게 패인 구와 구에서 융기된 회에 의해 많은 주름이 형성되어 면적이 넓다. 대뇌피질은 부위에 따라 세포층의 구조가 여러 가지로 다른데, 이런 특징을 토대로 대뇌피질은 수십 개의 브로드만 영역으로 세분화된다. 대뇌는 세로로 파인 대뇌세로틈새에 의해 좌우 대뇌반구로 나뉜다. 신경섬유는 척수나 연수에...2024.10.26
-
중추신경계2024.11.031. 중추신경계 1.1. 뇌 1.1.1. 대뇌 1.1.1.1. 대뇌피질 대뇌피질(cerebral cortex)은 뇌의 가장 큰 부분이며, 대뇌를 구성하는 회백질의 최외층에 위치한다. 대뇌피질은 해부학적으로 5개의 엽(엽)으로 구분되며, 각 엽은 고유한 기능을 담당한다. 대뇌피질은 크게 운동영역, 감각영역, 연합영역으로 구분된다. 운동영역은 전두엽의 중앙전회에 위치하며, 이 부위에서 나오는 운동신경섬유는 척수의 추체로를 통해 신체의 골격근을 지배하여 수의운동을 담당한다. 감각영역은 두정엽, 측두엽, 후두엽에 분포하며, 체성감...2024.11.03
-
신경계의 구조2024.09.161. 신경계의 구조와 기능 1.1. 신경계의 구조 1.1.1. 중추신경계 중추신경계는 뇌와 척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체 전반을 직접적으로 통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뇌는 크게 대뇌, 소뇌, 뇌간으로 나누어지며, 각각 고등 정신 기능, 운동 조절, 생명 유지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뇌는 두개골, 수막, 뇌척수액, 척추골 등의 구조물에 의해 외부로부터 보호받고 있다. 대공은 뇌 바닥에서 열려있는 부위로, 두개골의 뇌간이 돌출되어 있다. 수막은 뇌와 척수를 보호하는 결합체이며, 뇌척수액은 뇌와 척수를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2024.09.16
-
두개내압상승,뇌졸증,척수손상 질환을 가진 성인을 위한 간호과정2024.09.161. 뇌의 구조와 기능 1.1. 대뇌겉질 대뇌겉질은 바깥쪽의 겉질과 안쪽의 속질로 이루어지며, 표면은 복잡하게 주름진 회백질로 이루어져 있다. 각 이랑(돌기)은 깊은 함몰인 틈새(열구)와 얕은 함몰인 고랑(구)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마엽(전두엽)은 중심고랑의 앞쪽과 가로틈새의 위쪽에 위치하며, 이마엽 운동중추의 흥분은 숨뇌(연수)에서 교차하여 반대쪽 신체 움직임을 조절한다. 또한 기억력, 사고력, 추리, 계획, 운동, 감정, 문제해결 등 고등정신작용을 관장하며, 다른 연합영역으로부터 들어오는 정보를 조정하고 행동을 조절한다. ...2024.09.16
-
생리학 문제2024.09.291. 항상성과 체액의 조성 1.1. 항상성과 음성되먹임 항상성은 내부 환경의 조건이 변화하더라도 그 변화를 최소화하여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는 생리적 과정이다. 이는 주로 음성되먹임 기전을 통해 이루어진다. 음성되먹임은 내부 환경의 변화가 있을 때 이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작용하여 내부 환경의 변화를 최소화하는 기전이다. 예를 들어, 체온이 상승하면 체온조절 중추에서 발한이 유발되어 체온이 내려가고, 체온이 떨어지면 오한과 오소반사가 유발되어 체온이 올라간다. 이처럼 체온의 변화에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여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2024.09.29
-
인체구조와기능2024.10.041. 서론 최근 COVID-19가 기승을 부리면서 많은 사람들이 불안감 속에 백신 접종을 하고 있다. 하지만 이 백신 접종에는 여러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그 중에서도 미주신경성 실신은 백신 접종 시 자주 발생하는 부작용 중 하나로, 신체적 또는 정신적 긴장으로 인해 발생한다. 이는 신경 심장성 실신이라고도 하며, 극심한 긴장으로 인해 혈관이 확장되고 심장 박동이 느려져 혈압이 낮아지면서 뇌로 가는 혈류량이 감소하여 일시적으로 의식을 잃게 되는 현상이다. 이러한 미주신경성 실신은 백신 접종 외에도 다양한 ...2024.10.04
-
occipital infarction2024.09.301. 신경계 구조와 기능 1.1. 신경계의 구성 신경계는 사고, 기억, 판단, 감각, 운동, 인지, 대화, 행동과 인격을 관장하는 중추로서 환경의 변화를 수용하여 해석하고 반응함으로써 신체와 정신을 통합하고 조절한다. 신경계는 central nervous system(중추신경계)와 peripheral nervous system(말초신경계)로 구성된다. 중추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는 brain(뇌)과 spinal cord(척수)로 이루어져 있으며, 말초신경계(peripheral nervous system...2024.09.30
-
생리학 문제2024.10.271. 생리학 개요 1.1. 항상성과 체액의 조성 생명체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외부 환경 속에서도 내부 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생존하려 노력한다. 이를 "항상성"이라고 한다. 항상성은 음성되먹임 기전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내부 환경의 변화가 감지되면 그 변화를 최소화하는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여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는 것이다. 예를 들어 체온 조절 과정에서 체온이 올라가면 이를 감지하여 발한과 혈관 확장으로 체온을 낮추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인체는 세포내액과 세포외액으로 구성된 체액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세포내액은 전체 체액의 4...2024.10.27
-
해부학기말고사2024.11.211. 중추신경계통 1.1. 뇌 1.1.1. 뇌의 조절 기능 뇌는 심장박동(heart rate), 호흡(respiratory rate), 혈압(blood pressure)과 같은 자율신경계통의 조절과 내분비계통의 조절을 담당한다. 또한 뇌신경을 통해 연결된 머리와 목부위를 지배하며, 가장 복잡한 신경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뇌는 지능(intelligence), 의식(consciousness), 기억(memory), 감각운동 통합(sensory-motor integration), 감정(emotion), 행동(behavior), ...2024.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