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1개
-
사중복음이 신유가 갖는 신학적 의미2024.12.181. 기독교대한성결교회 신앙고백서 요약 및 평가 1.1. 신앙고백서 요약 1.1.1. 성경과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 성경은 구약 39권과 신약 27권으로 이루어진 총 66권의 하나님의 말씀이다. 성경은 다양한 배경 속에서 하나의 주제, 즉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구원을 드러내고 있다. 예수 그리스도는 성경의 중심인물로서 우리에게 구원의 좋은 소식인 복음을 전해주셨다. 이 복음은 성도의 삶에서 중생, 성결, 신유, 재림을 경험하게 한다. 예수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아들이자 우리의 구세주로서, 십자가에 달려 죽으시고 부활 승천하셨으며, ...2024.12.18
-
교단별 장로 직분과 예식서2025.04.011. 예배 형식의 고찰 1.1. 서론 예배는 단순히 외적인 것만이 아니라 영적인 실재의 표지들과 상징들을 포함하고 있다. 예배의 좋은 형식은 회중을 참여의 길로 인도하며, 예배를 드릴 때 모든 마음을 하나님을 향하여 찬양하고, 기도하고, 말씀 속에 거하게 한다. 우리가 보는 성서는 고정된 예배의 순서를 보여주고 있지 않다. 그러나 예배의 표현에 있어서 본질적인 형식을 인정한다. 구약은 형식과 의식을 강조하며, 신약은 예배의 정신과 자유를 역설하나 예배의 형식과 행위를 배격하지 않는다. 예수님과 사마리아 여자와의 예배에 관한 대화를...2025.04.01
-
장로의 직무와 예식서2025.04.011. 장로의 직무와 예식서 장로는 교회를 대표하는 치리자로서, 그 직무와 임직 예식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교회정치의 원칙에 따르면 교회의 자유는 개인에게 양심의 자유가 있는 것과 같이 어느 교회나 교파든지 교인의 입회와 출회, 교인과 직원의 자격, 교회 정치의 조직을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 안에서 설정할 자유권이 있다. 교회의 직원들 중 장로는 교회를 대표하는 치리자로서, 그 자격과 선거, 권한과 임직에 관한 규례는 성경에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교회는 이 규례에 따라 장로를 선택하여 당회를 조직하고 그 당회로 치리...2025.04.01
-
장로의 직무와 예식서2025.04.011. 장로의 직무와 예식서 1.1. 교회정치 기독교는 주후 1517년 마틴 루터의 종교 개혁 이후 구교(카톨릭)와 개신교로 나누어졌다. 개신교는 다시 많은 교파로 분열되어 각각 자기들의 신경, 의식, 규칙, 정치제도에 있어서 그 교훈과 지도하는 것이 다르다. 이를 교황 정치, 감독 정치, 자유 정치, 조합 정치, 장로회 정치로 구분할 수 있다. 장로회 정치는 지교회 교인들이 장로를 선택하여 당회를 조직하고, 그 당회로 치리권을 행사하게 하는 주권이 교인들에게 있는 민주적 정치이다. 당회는 치리 장로와 목사인 강도 장로의 두 반...2025.04.01
-
순복음 영성의 역사적 배경과 그특징2025.04.021. 서론 순복음 예배는 한국교회에서 주요하게 자리잡고 있는 예배 유형이다. 본 서론에서는 순복음 예배의 역사적 배경과 주요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기독교 이단의 정의와 발생 배경을 알아봄으로써 순복음 예배의 역사적 맥락을 이해할 수 있다. 이어서 초대 교회 시대와 중세 교회에 나타났던 이단의 발생 배경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순복음 예배의 신학적 기초와 예배의 특징, 그리고 중요 구성 요소가 형성되는 과정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2. 순복음 예배의 역사적 배경과 특징 2.1. 기독교 이단의 정의와 발생 배경...2025.04.02
-
마르틴 루터 생애와 업적2024.09.161. 루터와 종교개혁 1.1. 루터의 생애와 종교개혁 1.1.1. 루터의 어린 시절 루터는 1483년 11월 10일 아이슬레벤에서 농부 한스 루터의 아들로 태어났다. 루터는 태어난 다음날 세례를 받고 성인의 이름을 받았다. 루터의 부모는 가난했으며 그는 7남매 중 첫째였다. 루터는 힘겨운 어린 시절을 보냈지만 엄격한 교육 속에서 자랐다. 루터의 아버지 한스는 처음에는 농부였지만 후에 광부로 직업을 바꾸어 나중에는 상당한 부를 가지게 되었다. 루터는 당시 사회의 규범에 맞추어 엄하게 교육을 받았다. 그는 3년 동안 아이제나하에...2024.09.16
-
한국교회 예배 문제점2024.09.231. 예배의 성경적 관점에 따른 한국 교회 예배의 문제점과 예배 갱신 1.1. 서론 - 한국 교회의 예배의 문제점 한국 교회의 예배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국의 문화와 역사적 배경, 교회사, 특히 예배의 역사를 이해해야 한다. 한국 교회는 예배 이해를 단지 공예배로만 제한되고 있다. 사실 이와 같은 예배관은 예배 신학적 토대의 부족으로 기인한 것이다. 기독교 예배는 근본적으로 삶과 분리될 수 없다. 그리스도인의 예배는 육체적 순종 안에서 행해진다. 그리스도인들은 항상 '하나님의 존전'에 서 있는 자들이다. 종교개혁 이후 설교는 ...2024.09.23
-
루터의 3대 논문 요약 및 분석2024.09.211. 마르틴 루터와 종교개혁 1.1. 종교개혁의 역사적 배경 종교개혁의 역사적 배경은 다음과 같다. 16세기는 전면적인 사회적, 경제적 변동의 소용돌이 속에서 종교개혁이 일어난 시대이다. 중세 유럽이 재편성되어 오늘날 우리가 보는 생활모습의 모체가 된 이 시기에는 기존의 종교적인 체제가 파괴되었을 뿐만 아니라 사회의 세속적인 면도 크게 변하였다. 이 시대는 역동적인 민족주의가 일어나서 5세기 이래 모든 기독교국을 지배하고 있던 대제국이 분단되고 근대적인 국민 국가가 모습을 나타낸 시대이다. 경제면에서는 중세의 길드 조직이 붕...2024.09.21
-
묻고 답하는 예배학 독서보고서2024.10.311. 서론 1.1. 문제의식 저자는 10여 년 동안 대학에서 예배학을 강의하면서 예배에 대한 학생들의 질문이 공통적이고, 그 질문들이 매학기 반복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를 통해 저자는 한국교회에도 올바른 예배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다는 데에 문제의식을 가지게 되었다"" 저자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서를 통해 예배에 대한 성도들의 보편적인 질문들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1.2. 저자의 접근법 저자의 접근법은 "목회자와 평신도들이 예배 현장에서 직접 부딪치는 구체적인 질문들에 대한 해답"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저자...2024.10.31
-
역사의 거울 앞에서2024.10.151. 중세교회사: 어둠 속에서 빛을 찾다 1.1. 중세교회 시대에 대한 오해와 진실 중세교회 시대는 암흑기가 아니다. 중세교회 시대는 단순히 어둠 속에 갇혀 있었던 것이 아니라 역동적으로 변화하며 빛을 찾아가는 시기였다. 먼저, 중세교회 시대를 암흑기라고 부르는 것은 부적절하다. 이는 주로 일반 문화사가들이 내린 평가이다. 이들은 중세 시대 세속문화와 세속 학문이 교회 조직에 의해 눌려 제대로 발전하지 못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또한 기독교인들 중에서도 중세를 암흑기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중세가 초대교회와 종교개혁기...2024.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