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공무집행방해죄의 성립요건
1.1. 공무집행의 적법성
공무집행의 적법성은 공무집행방해죄 성립의 핵심적인 요건이다. 공무집행방해죄는 공무원의 직무집행이 적법한 경우에 한하여 성립하는 것이다. 즉, 공무집행이 법령에 정한 요건과 절차를 준수하여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먼저, 공무원의 직무집행이 해당 공무원의 추상적 직무권한에 속해야 한다. 공무원의 직무는 보통 사안별 또는 장소적으로 한정되어 있으므로, 그 범위를 초과하는 행위는 직무집행행위로 볼 수 없어 적법성이 인정되지 않는다. 다만 내부적인 사무분담에 의한 것은 직무범위...
2024.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