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개
-
안전문화 현 실태 및 방향2024.11.051. 서론 현대사회는 기후변화, 경제적, 사회적 변경 등 재난환경이 변화하면서 재난으로부터 안전은 중요한 국가정책으로 자리잡게 되었으며 안전에 대한 국민의 의식 수준이 점점 높아지면서 사회안전에 대한 다양한 욕구가 나타나고 있다. 안전문제가 일상화되면서 안전은 하나의 생활문화가 되었으며 안전을 보다 체계적으로 다루기 위해서 안전문화가 정착될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무엇보다 우리나라는 세월호부터 작년 할로윈 사고까지 사회적 참사가 발생하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안전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한 노력은 매우 중요하다...2024.11.05
-
생활속의 안전미국, 영국, 일본과 한국의 인적 산업재해 통계2025.04.181. 서론 1.1. 미국, 영국, 일본, 한국의 최근 사고 통계 개요 미국은 2019년 교통사고로 인한 사망자 수가 36,096명이었고, 이후 2020년 38,824명, 2021년 42,915명으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또한 자동차 1만대 당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2019년 1.2명, 2020년 1.1명, 2021년 1.3명이었다. 영국은 2019년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1,808명, 2020년 1,516명, 2021년 1,560명으로 나타났다. 교통사고 발생 건수도 2019년 123,212건, 2020년 95,222건, ...2025.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