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개
-
유득공 발해고 사학사적 의의 및 역사인식 총정리2025.06.131. 서론 유득공은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실학자로, 발해사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로 한국 역사학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渤海考』를 통해 발해와 고구려의 관계를 밝히고, 신라와 발해가 병존했던 시기를 '남북국시대'로 정의하여 한국사 체계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더하여 그의 역사인식과 연구 역량은 당시 학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으며, 후대 학자들의 연구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유득공의 생애와 교유관계, 역사인식의 배경과 특징, 그리고 『발해고』를 통해 드러나는 그의 역사관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그의 사학...2025.06.13
-
이수광2025.07.121. 이수광과 지봉유설 1.1. 이수광의 생애와 업적 이수광은 조선 중기의 관리이자 학자였다. 그의 본관은 전주이며, 자는 윤경, 호는 지봉이었다. 이수광의 아버지는 병조판서 이희검이었고, 어머니는 문화 유씨였다. 이수광은 16세 때 초시에 합격하였고, 17세에 아버지를 여의었으며, 20세에는 진사가 되었다. 23세 때인 1585년(선조 18)에는 별시문과에 급제하여 승무원 부정자로 벼슬길에 나섰다. 27세 때에는 성균관 전적을 역임하였고, 그 이듬해에는 호조와 병조의 좌랑을 지냈으며 성절사의 서장관으로서 명나라에 다녀왔다....2025.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