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미생물학 감염사고 및 질환2024.09.021. 감염 관리 1.1. 감염의 정의 및 발병 1.1.1. 감염의 정의 감염이란 병원체가 다양한 경로로 침입해 증식하는 상태로 보통 사람을 포함해 병원체가 숙주의 표면, 세포, 체액, 조직 및 기관에 정착하여 증식하는 것을 말한다."" 1.1.2. 발병의 정의 발병은 감염의 결과로 숙주의 정상적인 조직형태 등 이상이 생기는 병의 시작을 말한다."발병은 병에 따라서는 상당히 병이 진전된 후에 처음으로 알게되는 경우도 있다."이는 감염이 되었어도 숙주의 감염 방어기전이 작용하여 증상이 나타나지 않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병이 진행되어 ...2024.09.02
-
성홍열 case2025.03.131. 문헌고찰 1.1. 정의 성홍열은 인두염, 고열, 전신에 퍼지는 발진이 나타나는 급성 전염병이다. 성홍열의 명칭은 발진이 나타난 피부의 빨간색이 중국의 상상의 동물인 성성이의 얼굴색과 유사하다고 해서 붙여졌다. 성홍열은 용혈성 연쇄상구균 감염에 의해 발생하며, 환자나 보균자로부터의 비말감염이 가장 흔한 감염경로이다. 주로 인두부위에 병변이 나타나지만 드물게는 피부상처를 통한 감염도 가능하다. 성홍열은 늦가을부터 봄에 걸쳐 호발하며, 주로 3~12세 아동에게서 발생하나 어른도 걸릴 수 있다. 최근에는 항생제 사용과 생활수준 향상...2025.03.13
-
장티푸스2024.11.161. 장티푸스 개요 1.1. 장티푸스의 정의 장티푸스는 살모넬라 균종의 특정 아종에 감염되어 발생하며, 이는 몸속으로 침투하여 발열과 복통 등의 신체 전반에 걸친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장티푸스는 주로 장티푸스 환자나 병원체를 보유하고 있는 보균자의 대소변에 오염된 음식물이나 물에 의해 전파된다. 선진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나라에서 발생하며 동남아시아가 가장 위험한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질병에 걸려 있는 기간 내내 보통 수일에서 수 주까지도 대소변을 통해 균이 배출되고,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는 경우, 발병 후 3개월까지도 ...2024.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