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동아시아2024.08.141. 동아시아 개관 1.1. 지리적 의미의 동아시아 지리적 의미의 동아시아는 아시아 대륙의 동쪽에 위치한 지역을 뜻한다. 이 지역은 주로 온대 기후대에 속하며, 벼농사를 중심으로 하는 농경 사회가 형성되어 왔다. 동아시아 지역의 범위는 대체로 한국, 중국, 일본 등 3개국을 포함하지만, 인문지리적 관점에서 볼 때 베트남 또한 동아시아 문화권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지리적으로 동아시아는 동쪽으로 태평양, 남쪽으로 남중국해에 면하고, 서쪽으로는 아무르강 남안의 대싱안링 산맥으로부터 중국 본토의 서쪽 경계를 통과하여 베트남 국경 근...2024.08.14
-
조선통신사2024.10.061. 조선통신사의 역사적 배경과 목적 1.1. 임진왜란 이후 조일 관계의 변화 임진왜란 이후 조일 관계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조선과 일본 사이의 관계는 크게 변화하게 되었다. 조선은 임진왜란으로 인해 막대한 인적, 물적 피해를 입었고, 이를 계기로 일본에 대한 불신과 경계심이 크게 높아졌다. 반면 일본은 조선을 침략하여 막대한 전리품을 획득하였고, 조선에 대한 우월감을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전쟁 이후 동아시아 정세가 변화하면서 조선과 일본 모두 관계 개선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후금(청)의 부상으로...2024.10.06
-
금오신화 읽고 느낀점2024.09.031. 한문과 한문학의 개요 1.1. 한문의 정의 및 의의 한문은 고대 중국어를 바탕으로 한 문어(글말)이자, 전근대 동아시아에서 유일무이했던 공통 서면언어이다. 학술적인 명칭은 고전 중국어(Classical Chinese)이며, 국가마다 부르는 표현이 약간씩 다르다. 중국이나 대만에서는 고문(古文) 혹은 문언문(文言文), 한국과 일본에서는 한문(漢文), 베트남에서는 고문(古文, c? v?n) 또는 문언(文言, v?n ngon)이라고 한다. 한문이 동아시아 문화에 미친 영향은 크기 때문에, 사어(死語)이지만 한중일 삼국 모두 여전...2024.09.03
-
한자 문화권의 특징2025.04.281. 한자 문화권의 특징 한자는 은의 갑골문자에 뿌리를 두고 한대에 와서 완성되었다. 한자는 언어가 다르고 아직 문자를 갖지 못한 주변국가에 전파되어 동아시아 세계의 한자문화권을 형성하고 나아가 중국의 사상과 학술의 전파수단으로 이용되었다. 유교와 불교와 율령체제 역시 한자를 매개로 동아시아 각국으로 전파되어 나갔다. 그러나 한자는 동아시아 체제의 다른 기본 요소들과는 달리 일반대중이 접근하기 어려운 귀족층의 문자라는 성격으로 인해 당대까지는 중국만이 아니라 각국이 모두 계층 간의 심각한 문화의 차별성을 가지고 있었다. 그런데 한자...2025.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