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1개
-
lung cancer 성인간호학 케이스 스터디2024.11.061. 서론 1.1. 대상자 소개 대상자는 73세 남성으로, 현재 우측 폐 또는 기관지 하엽의 악성 신생물(malignant neoplasm of lower lobe, bronchus or lung, right) 진단을 받은 환자이다. 대상자는 2015년 7월 기침을 주소로 내원하여 검사 결과 우하엽의 종양이 발견되었고, 이후 수술, 화학 요법 등의 치료를 받아왔으나 병이 지속적으로 진행되는 상태이다. 현재 마약성 진통제와 산소 요법 등의 처치를 받고 있으며, 가래 배출 곤란, 연하 곤란, 우울감 등의 증상을 호소하고 있다. 대상자...2024.11.06
-
연하곤란과 관련된 흡인위험성2024.11.171. 뇌경색(cerebral infarction) 1.1. 개요 뇌경색(허혈성 뇌졸중)이란 뇌의 혈관이 막히고 그 앞의 뇌조직이 괴사하게 되는 질환이다. 목 부분에 있는 경동맥, 척추-기저동맥부터 우리 뇌 안에 있는 아주 작은 지름의 동맥까지 어떤 혈관이든 막힐 수 있다. 혈관이 지배하던 부위의 뇌가 괴사하여 지속적인 증상이 남는다. 막힌 기전에 따라 혈전성과 색전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혈전성 뇌졸중은 뇌에 혈액을 공급해주는 혈관에 발생한 동맥경화증으로 인해 혈관이 좁아져서 막히는 경우를 말한다. 발병속도, 병소의 크기, 측...2024.11.17
-
호흡기계 간호진단2024.11.121. 간호진단 목록 1.1. 비효과적 호흡양상 1.1.1. 평가 비효과적 호흡양상에 대한 평가는 다음과 같다. 호흡양상을 사정하여 얕게 들이마시고 내쉬는 호흡(평균 20회/분)을 확인하였다. 산소포화도는 4월 17일 94%, 4월 18일 93%로 낮게 유지되고 있었다. 객담량이 4월 17일 30cc, 황색-녹색-혈액 섞인 객담이 배출되고 있었다. 이는 기도 분비물의 과다한 축적으로 인한 호흡기능 저하를 나타낸다. 기침으로 인해 숨가쁨을 호소하였고, 병실에서는 주로 앉아서 호흡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를 통해 비정상적인 호흡양상과 ...2024.11.12
-
뇌혈관질환 뇌경색 간호2025.03.18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뇌경색은 1년에 인구 10만명 당 약 70명이 사망하며 50대 이후 사망원인의 1위를 차지한다. 뇌경색은 증상 발견 시 빠른 치료를 한다면 사망 등의 극단적인 결과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뇌경색의 위급상황 발생 시 대처하는 기술과 간호에 대한 지식을 자세히 공부할 필요가 있다. 1.2. 문헌고찰 뇌는 우리 몸 속에서 산소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곳이다. 산소와 영양분은 동맥을 통해 뇌조직으로 들어온다. 그런데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뇌혈관에 폐색이 발생하여 뇌에 공급되는 혈액량이 감소하면 뇌조직...2025.03.18
-
폐렴 고체온2025.03.051. 폐렴 환자의 고체온 관리 1.1. 간호사정 사례 대상자 나숨차(M/73)님은 Rt MCA infarction으로 3일 전 입원하였으며 의식이 명료하고 Lt hemiparesis, dysarithria가 있다. 입원 시 EKG 상 심방세동이 있으며 현재 오른손에 Heparin mix 된 정맥주사(22G)를 주입받고 있다. 간호사가 아침 회진을 하며 환자를 확인한 결과, 환자의 호흡이 빠르며 신체에서 열감이 느껴졌다. 주관적 자료에 따르면, 대상자는 "몸이 뜨거워요. 머리도 아프고 추워요."라고 호소하였고 "기침이 자꾸 나오...2025.03.05
-
연하곤란과 관련된 기도흡인 위험성2024.09.081. 뇌경색 1.1. 병태생리 뇌의 혈류는 윌리스 환을 통해 순환이 유지된다. 그러나 혈관의 폐색으로 인한 뇌혈류의 감소로 산소 공급이 줄어들면 신경세포는 혐기성 호흡을 하게 되고 젖산과 같은 대사산물이 쌓이면서 pH가 낮아져 뇌세포 기능이 저하된다. 혈액 공급이 저하된 부위의 세포는 칼슘의 양이 증가하고 글루탐산염을 유리하면서 세포막이 파괴된다. 칼슘과 글루탐산염은 혈관을 더욱 수축시키고 자유기를 생성하게 된다. 단백 생성이 감소하며 결국 세포가 손상되고 사멸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허혈경계영역이 확대되며, 뇌...2024.09.08
-
TICU2025.02.101. 중환자실 간호진단 1.1. 혈압 상승과 관련된 급성통증 대상자는 지속적인 두통을 호소하고 있다. 두통의 강도가 매우 심한 편이며, '찢어질 것 같은' 양상을 보인다. 환자는 큰 소리가 들리면 통증이 악화된다고 말한다. 활력징후 측정 결과, 수축기 혈압이 150mmHg 이상으로 상승한 것이 확인된다. 환자의 얼굴 표정을 살펴보면 찡그린 모습이 관찰된다. 현재 금식 중인 상태이다. 두통은 외상으로 인한 뇌손상으로 발생한 것으로 보이며, 이로 인해 혈압이 상승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급성 통증은 환자의 불편감을 가중시키고 있...2025.02.10
-
근거기반 간호 실무2024.09.021. 근거기반 간호실무 1.1. 주제 선정 이유 및 배경 호흡기 내과에서 실습을 하며 많이 관찰되었던 것이 이완운동이라 불리는 45도 침대를 기울인 상태에서 무릎 밑에 베개를 둔 후 신장운동을 하는 모습, 옆으로 눕혀서 배액이 되도록 하는 모습, 손을 컵 모양으로 만든 후 흉곽부분을 두드리는 모습 등이었다. 호흡기 내과 특성답게 대부분의 환자들이 호흡에 문제가 있어서 힘들어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는데, 전문지식이 없었던 우리는 선생님들과 간병인들이 하는 중재들을 바라만 보았었다. 직접 본 중재들을 바탕으로 근거기반을 조사하여 남은...2024.09.02
-
환자사례 사레보고서2025.03.071. 환자사례 사례보고서 1.1. 기본정보 수집 본 환자는 73세 남성 M/73으로, 뇌경색 Rt MCA infarction으로 3일 전 입원하였다. 의식은 명료하나 Lt hemiparesis와 dysarithria 증상이 있다. 입원 당시 심방세동이 있었으며, 현재 오른손에 Heparin이 섞인 정맥주사(22G)를 투여받고 있다. 주호소는 "왼쪽 손과 다리가 힘이 없어요."이며, 과거력으로 고혈압(10년 전 진단, 약물 복용 중)과 심방세동이 있다. 결혼 상태는 기혼이며, 신장 175cm, 체중 100kg, 혈액형 O+이다. 직...2025.03.07
-
자간증 간호과정2024.08.311. 자간증 간호과정 1.1. 경련 발생 전 간호 1.1.1. 고혈압, 경련 및 감소된 신장관류와 관련된 모체 손상 위험성 자간증 산모의 경련 발생 전 간호에서는 고혈압, 경련 및 감소된 신장관류와 관련된 모체 손상 위험성이 중요하다. 자간증 산모는 갑작스러운 고혈압 상승과 경련 발생, 신장관류 감소로 인한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자간증 산모의 주관적 증상으로는 "머리가 깨질 듯이 아프고 물체가 두 개로 보여요. 점점 더 심해지는 것 같아요"라고 호소하였다. 객관적 자료로는 진단명이 PIH(임신성 고혈압)...2024.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