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소년보호사건 성추행 부모탄원서2024.09.201. 아동학대 및 성폭력 예방을 위한 대책 1.1. 아동학대 부모교육과 관리 서비스 우리나라에서 아동학대의 가해자 비율의 80%는 부모이다. 그런데 현재 아동학대에 대한 대처 방안은 처벌 위주로 이루어져 있어 아동이 다시 부모가 있는 집으로 돌아가거나 경제적인 상황으로 인해 가해자가 다시 피해 아동을 포함한 가족과 살게 될 경우 학대는 계속해서 반복되며 가해자가 보복의 심리를 바탕으로 더 강도를 높여 학대를 하는 경우도 많다. 학대 피해 아동을 더 큰 위기로 몰아넣지 않고, 아동에 대한 학대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아동학대 위험군 ...2024.09.20
-
청소년 인권침해 딥페이크2024.10.061. 서 론 현대사회에서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은 우리의 삶에 다양한 혜택을 가져다주었지만, 동시에 새로운 형태의 범죄도 발생시키고 있다. 그 중 하나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 성범죄이다. 최근 수년간 급격히 증가한 '딥페이크'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성범죄는 피해자들에게 심각한 피해를 야기하고 있으며, 이는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디지털 성범죄는 디지털 기기와 정보통신 기술을 매개로 발생하는 성인지 기반 폭력으로, 동의 없이 상대의 신체를 촬영하거나 유포·유포 협박·저장·전시하는 행위, 그리고 사이버 공간에서 타인...2024.10.06
-
디지털 성폭력의 영향에2024.08.241. 서론 1.1. 디지털 성범죄의 등장과 확산 디지털 성범죄의 등장과 확산이다. 한국 사회에서 2000년대 전후로 온라인 성폭력의 개념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초기 온라인 성폭력은 원치 않는 성적 언어, 음담패설이나 이미지를 전달하거나 상대의 신체 및 성적 관심이나 행위에 대한 언급, 성추행 위협 등으로 상대에게 불쾌감 혹은 수치심 등의 피해를 주는 행위로 정의되었다. 당시 온라인 성폭력은 언어적 성폭력에 한정된 개념이었으며, 사이버 성폭력의 개념과 혼용되어왔다. 아울러 현재까지도 온라인상에서의 성범죄에 대한 용어의 모호성 ...2024.08.24
-
양육권탄원서2025.02.011. 서론 아동학대는 신체적, 정서적, 성적 학대와 방임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아동학대와 성폭력은 사실 넓은 범주에서 전부 아동학대에 포함되지만, 성폭력의 경우 아동을 성적 대상으로 인식한 범죄라는 점에서 더욱 심각하다. 따라서 아동학대와 성폭력은 별도로 엄격한 예방과 대처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그러나 이들 모두 사회적 약자인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범죄라는 점에서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에 중점을 두고 근본적인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 아동학대와 성폭력은 아동의 발달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며 이로 인한 부정적 결과는 피해 아동의 삶...2025.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