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개
-
공무원 전기직 경력면접2024.08.291. 공무원 개요 1.1. 공무원의 정의 공무원은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공무에 종사하는 모든 자를 의미한다. 이는 행정에 한하지 않고 입법·사법에 종사하는 자도 포함한다. 공무원의 정의는 세 가지 개념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공무원의 최광의의 개념은 한국의 실정법에 입각하여 일체의 공무담당자를 의미한다. 즉, 국가 또는 지방공공단체의 모든 기관구성자가 이에 해당한다. 둘째, 공무원의 광의의 개념은 국가 또는 공공단체와 광의의 공법상 근무관계를 맺고 공무를 담당하는 기관구성자를 말하며, 그 신분과 지위에 있어 일반 사...2024.08.29
-
지방자치기능과 사무 질문3가지2024.10.111. 공무원제도와 지방자치제 1.1. 공무원의 의의 1.1.1. 공무원의 개념 공무원이라 함은 직접 또는 간접으로 국민에 의하여 선출되거나 임용권자에 의하여 임용되어 국가 또는 공공단체와 공법상의 근무관계를 맺고 공공적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자를 말한다. 공무원은 국가 또는 공공단체와 공법상의 근무관계를 맺으며, 국민 전체에 대한 봉사자로서의 지위를 가진다. 이들은 국민에 의해 선출되거나 임용권자에 의해 임용되어 국가 또는 공공단체를 위해 공공적 업무를 수행하는 자들이다. 1.1.2. 공무원의 종류와 구분 공무원의 종류와 구분은...2024.10.11
-
학교행정사무원2024.11.241. 국가공무원과 지방공무원의 제도상 공통점 및 차이점 1.1. 국가공무원과 지방공무원의 구별 국가공무원은 입법·사법·행정의 각부의 각급 기관에서 공무에 종사하는 모든 공무원을 말한다. 국가공무원은 이를 경력직공무원과 특수경력직공무원으로 구분한다. 국가공무원은 대통령*총리*소속 장관과 임명권을 위임받은 자에 의하여 임명되고, 국가 소속의 공공기관에 소속되어, 국가기관사무를 처리하는 공무원을 말한다. 반면 지방공무원은 지방자치단체의 장과 임명권을 위임받은 자에 의하여 임명되고, 지방 소속의 공공기관에 소속되어, 지방기관사무를 처리하...2024.11.24
-
서울교육청 교육공무직2024.10.161. 국가공무원과 지방공무원의 인사제도 차이 1.1. 국가공무원과 지방공무원의 개념 국가공무원은 대통령과 그로부터 임용권을 위임 받은 자에 의해서 임용되어 국가(중앙정부)에 고용되어 국가 기관에 소속되어 국가 사무를 처리하는 공무원이다. 주로 행정부에서 근무하며 특수하게 국회나 법원, 헌법재판소, 선거관리위원 등의 기관에서 일을 하기도 한다. 지방공무원은 각 지방자치단체에 소속되어 봉급을 받으면서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사무를 보는 사람이다. 지방자치단체나 지방의 교육청에 의해서 임용되기 때문에 이들의 근무지는 주로 도청, 시청,...2024.10.16
-
통신직 공무원2025.07.151. 공무원 제도 개요 1.1. 국가공무원과 지방공무원의 공통점 대한민국 헌법 제7조에 따르면 공무원은 국민전체에 대한 봉사자이며, 국민에 대하여 책임을 진다. 공무원은 민주주의 원칙과 법률에 따라 업무를 수행하며, 공무원으로서의 엄중한 유지의무를 가진다. 또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으로 임명되기 위해서는 일정한 시험을 통과해야 하고, 일정한 규정에 따라 인사되고 관리된다. 즉,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공무원은 국가나 지방 정부에서 근무하는 공무원으로, 국가 및 지방정부의 원활한 운영을 지원하는 주요 역할을 수행한다. 국가와 지...2025.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