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교과교육론2024.09.211. 개정누리과정의 이해 1.1. 개정누리과정의 특징 개정 누리과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주도적인 '놀이중심 교육과정'으로의 전환이다. 기존의 교사 주도적인 교육활동에서 벗어나 유아의 흥미와 요구에 초점을 맞춰 자유놀이를 지원하는 것이 핵심이다. 유아의 자발적 놀이를 통해 즐겁고 능동적으로 배우도록 하는 것이 목표이다. 교사는 유아의 놀이를 관찰하고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는 조력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둘째, 유아의 전인적 발달을 도모하는 인성교육이 강조된다. 기존의 지식·기능 중심 교육에서 벗어나 유아의 건강한...2024.09.21
-
표준보육과정과의 연계성 (인간상, 목표, 영역 등2024.10.151. 서론 「2019 개정 누리과정」은 유치원과 어린이집 '공통의 교육·보육 과정'이다.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다니는 3~5세 유아에게 적용되는 교육과정을 총칭, 2020년 3월 시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2019 개정 누리과정」은 유아가 주체가 된 놀이를 통한 통합 배움을 경험할 수 있는 유아 중심 · 놀이 중심 2019 개정의 누리과정을 말한다. 「2019 개정 누리과정」은 교육과정 해설서, 현장지원 자료 놀이이해자료, 놀이 실행자료, 놀이운영사례집 5종, 누리과정 지원 누리 집으로 구성이 되어 있다. 또한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라...2024.10.15
-
고교학점제 토론2025.07.161. 서론 고등학교 교육과정에도 대학과 유사한 학점제를 도입하려는 '고교학점제'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이는 학생들에게 진로와 적성에 따른 과목 선택권을 보장하고, 교사의 자율성을 확대하며, 획일적이고 경직적인 교육체제를 유연화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제안되었다. 미국과 핀란드 등 주요 국가의 고교학점제 도입 배경과 운영 방식을 살펴보고, 한국의 고교학점제 도입 현황과 과제를 파악함으로써 이 제도의 성공적인 정착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한 선결 과제와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2025.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