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개
-
법의간호사2024.09.121. 간호사의 법적 의무 1.1. 환자관리 및 처치의 의무 간호사의 환자관리 및 처치의 의무는 간호사가 환자의 관리와 처치를 위한 주사, 투약, 안전관리 등의 의무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간호사는 환자에게 최선의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간호행위가 위임되었을 경우에도 그 행위가 정확하게 이루어지는지를 지속적으로 확인해야 한다. 의료법 제16조 제1항에 따르면 "의료인은 진료 또는 조산의 요구를 받은 때에는 정당한 이유 없이 이를 거부하지 못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는 생명의 존엄성과 신체의 완전성이라는 헌법상 기본권을 보장하기 ...2024.09.12
-
간호조무사 공중보건2025.07.181. 간호법 개요 1.1. 우리나라 간호법의 역사 우리나라 간호법의 역사는 1907년 '대한의원관제'로 시작되었다. 이는 대한의원에서 간호교육을 실시하도록 한 최초의 규정이었다. 이후 1914년 제정된 '간호부규칙'과 '산파규칙'은 우리나라 최초의 간호에 관한 법규였다. 이를 통해 30여 년 동안 '간호'라는 이름의 독립적인 법적 체계가 존재하였다. 이후 1951년 9월 국민의료법이 제정되었다. 국민의료법에서는 국민의 보건 향상과 국민의료의 증진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의료업자를 3종으로 구분하였다. 이 중 제3종 의료업자에 보...2025.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