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악물요법과 관련된 간기능장애의 위험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대퇴골절(Femur fracture)
1.1. 개요
1.2. 원인 및 위험요인
1.3. 골절 종류
1.4. 대퇴골절 임상증상
1.5. 진단검사 및 임상검사
1.6. 치료
1.7. 간호
1.8. 합병증
2. 자궁내막증
2.1. 정의
2.2. 원인
2.3. 증상
2.4. 진단
2.5. 치료
2.6. 간호
3. 난소낭종(Ovarian cysts)
3.1. 정의
3.2. 원인
3.3. 증상
3.4. 진단
3.5. 치료
3.6. 예방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대퇴골절(Femur fracture)
1.1. 개요
대퇴골절(Femur fracture)은 뼈가 부러진 상태를 의미하며, 대부분은 외부의 과도한 힘에 의해 발생한다. 노년층에서 발생 빈도가 높고, 하반신 움직임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대퇴(고관절) 부위의 골절은 서고 걷는 등의 기본적인 활동이 어려워지며 삶의 질이 떨어진다.
대퇴골절은 대부분 노인들의 신체적 유연성 및 균형 감각이 떨어지고 뼈가 약하기 때문에 가벼운 낙상에도 쉽게 발생한다. 최근 50세 이상 성인 남녀의 고관절 골절이 증가한 이유는 도시화와 이에 따른 생활 습관의 변화로 운동량이 감소하고 외부 활동이 줄어들면서 비타민 D의 생성이 부족해져 뼈의 강도가 약해졌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대퇴골절은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여러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골절의 형태와 위치, 관련 조직 손상 여부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골절의 심한 통증, 압통, 근육경련, 다리 길이 단축, 내전과 외회전 등이 대표적인 임상증상이다.
방사선 촬영, 컴퓨터단층촬영(CT), 자기공명영상(MRI) 등의 진단검사를 통해 골절, 뼈밀도 및 위치변화, 탈구, 관절손상 등을 확인할 수 있다. 골절 치료의 목표는 최대한 정상 형태와 기능을 회복하는 것으로, 교정(reduction), 고정(immobilization), 재활(rehabilitation)의 과정을 거친다.
간호사는 골절 환자의 간호에 유의해야 한다. 특히 신경혈관 손상 예방, 통증 완화, 감염 예방, 근육 강도 사정, 보행 보조기구 교육, 영양 공급 등이 중요하다. 지방색전증, 구획증후군, 신경 손상, 유합장애, 무혈관괴사 등의 합병증에 대한 관찰과 예방도 필요하다.
1.2. 원인 및 위험요인
대퇴골절의 원인 및 위험요인은 다음과 같다.
대부분의 노인들은 신체의 유연성 및 균형 감각이 떨어지고 뼈가 약하기 때문에 가벼운 낙상에도 뼈가 쉽게 부러질 수 있다. 따라서 미끄러운 길에서 넘어지거나 화장실에서 미끄러져 대퇴 골절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최근 50세 이상 성인 남녀의 고관절 골절이 증가하였는데, 이는 사회적으로 급격히 진행된 도시화와 이에 따른 생활 습관의 변화를 원인으로 들 수 있다. 운동량이 감소하고 외부 활동이 줄어들면서 비타민 D의 생성이 부족해져 뼈의 강도 자체가 약해졌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1.3. 골절 종류
대퇴골절은 골절의 위치와 형태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되며, 이는 치료 방법과 예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첫째, 폐쇄성 골절(Closed fracture)과 개방성 골절(Open fracture)로 구분된다"" 폐쇄성 골절은 골절부위의 피부가 온전한 경우이며, 개방성 골절은 골절부위가 피부 밖으로 노출되어 있는 경우이다"" 개방성 골절은 감염 위험이 높아 치료가 더 복잡하다""
둘째, 선상골절(linear fracture)은 횡선, 사선, 종선, 나선 등의 균열 형태를 보이며, 전위골절(displaced fracture)은 골절편이 정상 위치에서 벗어난 경우이다"" 분쇄골절(comminuted fracture)은 골절된 뼈가 여러 조각으로 부서진 형태를 말한다""
셋째, 매복골절(impacted fracture)은 한 쪽 골절면이 다른 쪽 골절면에 박혀 있는 경우이며, 압박골절(pathologic fracture)은 뼈의 병리적 변화로 인해 발생한 골절이다"" 생나무골절(greenstick fracture)은 어린이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불완전 골절로, 뼈의 한쪽 피질만 부러진 경우이다""
넷째, 스트레스골절(stress fracture)은 반복적인 압박이나 충격으로 인해 발생하며, 찢김골절(avulsion fracture)은 뼈에 붙어있는 힘줄이나 인대가 강하게 당겨져서 발생한다""
이처럼 다양한 골절 유형은 치료 방법과 예후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정확한 진단과 골절 유형 파악이 중요하다""
1.4. 대퇴골절 임상증상
대퇴골절은 골절의 위치와 양상에 따라 매우 다양한 임상증상을 나타낸다"" 골절의 형태와 위치, 관련 조직 손상 유무에 따라 심한 통증, 압통, 근육경련, 다리가 짧아짐(shortening), 내전과 외회전이 나타난다"" 관절강 내 골절의 경우 하지가 특히 많이 짧아지고 심하게 외회전되는 특징이 있다"" 양반다리 시 통증이 더욱 심해지는 양상도 보인다"" 따라서 골절 부위와 관련 증상을 정확히 파악하여 적절한 치료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1.5. 진단검사 및 임상검사
진단검사 및 임상검사는 대퇴골절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위해 실시되는 다양한 검사들이다.
첫째, 뼈와 관절 X-ray 검사는 골절의 위치와 정도, 관절의 손상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기본적인 검사이다. X-ray 영상을 통해 골절의 유형을 판단하고, 뼈의 밀도 변화와 위치 이동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컴퓨터단층촬영(CT) 검사는 골절 부위의 종단면을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어 X-ray보다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다. 골절의 범위, 전위 정도, 관절 손상 등을 파악할 수 있어 치료 계획 수립에 도움이 된다.
셋째, 자기공명영상(MRI) 검사는 통증이 없고 조영제 투여가 필요 없어 안전한 검사 방법이다. CT에 비해 더 선명한 이미지를 제공하여 골절 외에도 인접 연부 조직의 손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넷째, 이중에너지 X-선 흡수검사(DEXA)는 골밀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어 골다공증 등 뼈 질환의 진단과 관리에 유용하다. 대퇴골절 환자의 경우 골다공증 여부를 확인하고 향후 재골절 위험을 평가하는 데 활용된다.
다섯째, 갈륨조사와 인듐영상 검사는 뼈의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다. 방사성 동위원소를 주입한 후 감염 부위에 집적되는 양상을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혈청 효소 검사 중 ALP(alkaline phosphatase)는 골 형성의 지표로 이용된다. 골절 치유 과정에서 뼈모세포의 활성이 증가하면 ALP 수치가 높아지므로, 이를 통해 골 치유 과정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다양한 진단검...
참고 자료
황옥남 외 공저, 2019,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p.235-259(통증간호), p.283-302(노인간호)
황옥남 외 공저, 2019, 『성인간호학(하)』, 현문사, p.292-318(골절), p.497-505(알츠하이머병)
성미혜 외 공저, 2019,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 수문사, p.240-340 (NANDA 간호진단)
강지연 외 공저, 2019, 『간호사를 위한 건강사정』, 군자출판사, 17장 근골격계
김종임 외 공저, 2018, 『EBN 기본간호학Ⅱ』, 수문사, 18장 활동과 운동
송주현, 2006, <대퇴골 전자간부 골절의 수술적 치료>, 대한고관절학회지 제18권 4호
대한민국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main.asp
서울아산병원 > 질환백과 > 대퇴골절(사진)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64
서울아산병원 > 검사/시술/수술정보 > 개방정복술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202
이영숙 외 (2014), 여성건강간호학 Ⅱ , 현문사, (P.410~P.415)
Michael Patrick Adams, Leland Norman Holland Jr, 김금순 외 (2011), 간호사를 위한 약리학, 서원미디어
원종순 외 (2012),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 현문사, (P.199~P.267)
차영남 외 (2013),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 현문사
이강이 외 (2013), 건강사정 , 현문사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간호학생 교육자료(GY)』
Meg Gulanick, Judith L. Myers,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2015
http://www.snuh.org/health/encyclo/search.do , 서울대학교병원 의학백과 사전
http://www.health.kr 약학정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