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분만이란 엄마의 뱃속에서 생명이 태어나는 중요한 과정이다. 10개월 동안 뱃속에서 엄마를 의지하는 태아에게 있어 산모의 건강과 정서 상태는 아주 중요하다. 임신 후반기 임부와 태아는 분만을 위한 준비를 하게 된다. 즉 태아는 자궁 밖의 삶을 준비하기 위해 성장 발달하며, 임부는 출산과 어머니로서의 역할을 준비하기 위해 임신 시 다양한 생리적인 적응을 하고 있다. 분만은 임신의 끝이라고 하지만 신생아는 자궁 밖 삶의 시작이 된다. 그러므로 간호사는 분만의 기본요소, 분만 과정에서 임부와 태아가 분만을 어떻게 적응하는가를 이해하며 임산부와 그 가족에게 적당한 간호를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1.2. 이론적 배경
분만은 임신의 끝이라고 하지만 신생아는 자궁 밖 삶의 시작이 된다. 그러므로 간호사는 분만의 기본요소, 분만 과정에서 임부와 태아가 분만을 어떻게 적응하는가를 이해하며 임산부와 그 가족에게 적당한 간호를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분만 및 출산 과정은 일반적으로 예측 가능한 일련의 사건으로 조화로운 형태를 이루며 모체도 건강하고 또한 건강한 신생아를 출산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는 여러 가지 환경적 이고 개별적인 요인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개인마다 분만과정과 출산에 대한 독특한 경험을 갖게 된다. 따라서 모체의 분만 및 출산 과정을 정확하게 사정하고 대상자의 요구를 예측 하여 적절하고 효과적인 간호를 제공하려면, 분만과정과 출산 동안 일어나는 해부, 생리적인 변화에 대한 완전한 이해가 있어야한다"".
분만진통으로 시작하여 폐쇄되어 있는 자궁경관의 개대를 거쳐 먼저 태아, 이어 태반의 만출로 끝난다. 이것을 분만 제 1기, 분만 제 2기, 분만 제 3기로 나눈다. 산욕기란 분만 후 생식기가 정상적인 비임신 상태로 복구되는 기간을 말하며, 이 시기를 산욕기(산후기간, Puerperium) 혹은 임신 4기라고 한다"".
출산 후 몸이 자연스럽게 임신 전의 건강한 상태로 되돌아가는 것은 아니다. 임신 전의 건강한 몸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핵심은 임신 중의 건강상태와 더불어 출산 후 올바른 산후조리에 달려있다. 여성에게 있어서 임신과 분만, 산욕은 정상적인 발달과정 중 중요한 생식적 과정으로서 이중 산욕은 산모의 자가간호와 육아에 있어 매우 중요한 과정 중의 하나이다"".
2. 본론
2.1. 간호사정
2.1.1. 일반적 간호 정보
이00님은 29세의 기혼 여성으로 천주교를 믿고 있으며 교사로 직업을 가지고 있다. 그의 결혼 상태는 기혼이며 임신 전 체중은 52Kg이었으나 현재 입원 시 체중은 64Kg이다. 키는 162cm이며 활력징후는 BT 36.5°C, PR 76회/분, RR 20회/분, BP 120/80mmHg이다. 혈액형은 O+형이며 에이즈와 매독 검사 결과가 음성이다. 흡연과 음주를 하지 않으며 모유수유를 계획하고 있다.
2.1.2. 가족력
가족력은 임신 및 출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유전적 요인들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00님의 경우 "시댁이나 친정 쪽으로 임신 및 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력이 없다"고 하였다. 이는 임신과 출산과 관련된 유전적 위험 요인이 없음을 의미한다. 즉, 이00님의 가족력상 임신 및 출산과 관련된 특별한 문제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1.3. 임부의 과거력
임부의 과거력으로는 특이사항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00님은 임신 전 사고 및 상해, 수술 경험이 없었으며, 임신 전 질병 병력 또한 없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임신 전 평소 생활습관인 식습관, 잠자는 습관, 기호식품 섭취, 운동 등에서도 특이사항은 없었다. 이를 통해 이00님의 임신 및 출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과거력이 없다고 볼 수 있다."
2.1.4. 임부의 산과력
임부의 산과력은 임신 및 출산에 관한 과거력을 의미하는 것으로, 임부의 건강상태와 태아의 안녕을 평가하는데 중요한 정보가 된다" 임부의 과거 임신력, 분만력, 유산력 등은 임신과 분만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