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병원 투약 오류 사고

  • 1
  • 2
  • 3
  • 4
  • 5
  • 6
  • 7
>

상세정보

소개글

"제주대병원 투약 오류 사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사례 분석
2.1. 영아 사망 사건
2.1.1. 사건 개요
2.1.2. 문제점 분석
2.2. 베카론 오투약 사건
2.2.1. 사건 개요
2.2.2. 문제점 분석

3. 투약오류 현황 및 유형
3.1. 투약오류 발생 현황
3.2. 투약오류 유형

4. 투약오류 예방 방안
4.1. 투약 환경 및 시스템 개선
4.2. 의료진 교육 및 관리
4.3. 환자안전 문화 조성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의료서비스가 전문화, 대형화됨에 따라 의료진들의 책임의식과 안전의식 등이 저하되면서 병원 내 안전관리 관련 의료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의학적 치료와 직접 관련된 의료과오 외에도 전반적인 환자안전과 관련된 의료소송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국외에서는 국가마다 차이가 있으나 입원당 5.0~16.3%의 위해 사건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그중 12.5~19.8%가 사망을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발생한 위해 사건은 최소 29%에서 최대 83%까지 예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부터 의료기관들이 자발적으로 환자안전사고에 대해 신고하는 '환자안전보고학습시스템' 시행 이후 환자에게 위해가 발생한 사건은 2016년 382건, 2017년 2,538건, 2018년 4,785건으로 확인되었으며 2016년 7월부터 2019년 9월 약 22,800여 건의 환자안전사고가 보고되어 지속해서 증가하는 추세이다. 환자안전과 관련된 의료사고는 의료의 질 저하와 재정적인 손실 등을 초래할 수 있다. 이때 병원 내 안전관리 영역에서 간호사가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다. 간호사는 24시간 환자 곁에 머물며 상호관계를 맺고 있어 간호사의 업무는 환자안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2. 사례 분석
2.1. 영아 사망 사건
2.1.1. 사건 개요

2022년 3월 10일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고 재택치료를 하던 13개월 영아 강유림 양이 상태가 악화되어 11일 제주대학교병원에 입원했다. 담당 의사는 영아의 호흡곤란 증상을 치료하기 위해 12일 오전 '에피네프린' 약물 5㎎을 희석하여 연무식 흡입기를 통해 투여하라고 처방했다. 그러나 담당 간호사는 에피네프린 5㎎을 영아에게 정맥주사로 투여했다. 에피네프린은 기관지 확장 및 심정지 시 사용하는 약물로, 정맥주사 시 적정량은 0.1㎎이지만 간호사는 기준치의 50배에 달하는 용량을 투여했다. 이에 따라 영아의 상태가 더욱 악화되어 중환자실로 옮겨졌으나 결국 이틀 후 사망했다.


2.1.2. 문제점 분석

처방된 에피네프린을 정상적인 용량이 아닌 50배 많은 용량으로 정맥주사한 것은 간호사의 명백한 주의의무 위반이다"" 에피네프린은 영아에게 주사로 투약될 경우 매우 위험한 약물이므로 반드시 용량을 정확히 확인해야 한다. 또한 투약 오류 발생 후 즉시 상위 관리자에게 보고하지 않고 은폐하려 한 것은 환자안전에 대한 책임감이 부족했음을 보여준다"" 이번 사건에서 간호사들은 투약 원칙 준수, 환자 상태 관찰, 보고체계 등 의료 전반에 걸친 안전관리에 실패했다고 볼 수 있다"" 해당 병원은 이번 사건을 계기로 투약오류 예방을 위한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을 마련하고, 간호사들의 투약 안전교육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2.2. 베카론 오투약 사건
2.2.1. 사건 개요

인천의 한 종합병원 간호사가 손가락 골절 수술을 받은 20대 군인에게 약물을 잘못 투여해 숨지게 하였다"" 의사가 처방전에 쓴 약물은 궤양방지용 '모틴'과 구토를 막는 '나제아'였지만, 간호사는 마취할 때 기도삽관을 위해 사용하는 근육이완제인 '베카론'을 잘못 투약했다"" 환자는 투약 후 3...


참고 자료

전우용. 「경찰, 제주대학교 병원 압수수색...“투약 오류사고, 간호사 실수”」. 2022.04.28
https://www.sisamagazi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442676
문준영. 「13개월 영아 약물 과다 투약, 간호사 5명이 알고 있었다.」. 2022.05.06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457277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 의료법, 의료법 시행규칙
송경애 외(2019). 최신 기본간호학 Ⅱ. 수문사. p31~32
장금성 외(2016). 간호윤리학과 전문직 제3판 수정판. 현문사. p35~38
서문경애 외(2020). 간호관리학 제2판. 현문사. p627~634
법제처, ‘의료법’, https://www.moleg.go.kr/
한겨레, [‘투약오류’ 영아 숨지자 은폐...제주대병원 간호사 3명 구속], 허호준 기자, https://www.hani.co.kr/arti/area/jeju/1064205.html, (마지막 접속 일자: 2022, 11.12)
한겨레, [‘투약오류’ 숨진 제주 12개월 영아 유족, 병원 국가 상대 손배소송], 허호준 기자, https://www.hani.co.kr/arti/area/jeju/1041814.html, (마지막 접속 일자: 2022.11.12.)
한국일보, [‘투약오류 사고’ 코로나 영어 사망,,,제주대병원 “간호사 실수”], 김영헌 기자,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004676?did=NT, (마지막 접속 일자: 2022, 11.12)
헤드라인 제주, [제주대병원, 영유아 사망사고 발생,,,‘투약 오류’ 유족께 죄송], 오영재 기자, http://www.headlinejeju.co.kr/news/articleView.html?idxno=483957, (마지막 접속 일자: 2022, 11.12)
제주일보, [경찰, 제주대병원 사망 영아 의료기록 수차례 수정 정황 확인], 진유한 기자, https://www.jej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192167, (마지막 접속 일자: 2022, 11.12)
제주대병원 약물 오투약 영아 사망사고 간호사 항소 모두 기각
https://www.jejusori.net/news/articleView.html?idxno=418476
간호사 오투약 실수로 군인 사망…병원은 조직적 증거 은폐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160620/78756562/2
이순영, 2012, 간호사의 투약오류에 대한 인식과 경험, 한국자료분석학회, 14권, 6호
윤숙희, 2022, 병원급 의료기관에서의 투약오류 관련 요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지
이슬희 외 1명, 2021, 임상간호사의 투약오류보고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