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위험관리와 보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위험관리와 보험
1.1. 위험관리의 발전 및 목적
1.1.1. 위험관리의 발전
1.1.2. 위험관리의 의의
1.1.3. 위험관리의 목적
1.2. 위험처리기법
1.2.1. 위험회피
1.2.2. 위험보유
1.2.3. 보험 외 전가
1.2.4. 손실통제
1.2.5. 보험
1.3. 위험관리기능
1.3.1. 경영관리기능과 위험관리기능
1.3.2. 위험처리의 계획
1.3.3. 위험처리조직
1.3.4. 위험처리지도
1.3.5. 위험처리통제
1.4. 참고문헌
2. 시중 보험 상품에 대한 이해
2.1. 생명보험 상품
2.1.1. 상품 선택 이유
2.1.2. 상품의 특성
2.1.3. 실제 가입 과정
2.2. 손해보험 상품
2.2.1. 상품 선택 이유
2.2.2. 상품의 특성
2.2.3. 실제 가입 과정
2.3. 개인연금 상품
2.3.1. 상품 선택 이유
2.3.2. 상품의 특성
2.3.3. 실제 가입 과정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위험관리와 보험
1.1. 위험관리의 발전 및 목적
1.1.1. 위험관리의 발전
위험관리의 발전은 미래가 불확실하기 때문에 위험이 항상 존재한다는 것에서 시작된다. 아무도 미래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모든 사람은 필연적으로 위험관리자가 된다. 위험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된 배경은 1916년 프랑스의 Henri Fayol이 저술한 "General and Industrial Management"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다.
미국에서는 1929년 대공황 이후 경영자들이 기업방위를 위해 기업 위험관리 활동을 시작했다. 1931년 미국경영자협회는 기업 위험관리의 중요성을 인정하고 협회 내에 보험 부문을 독립적으로 설치했다. 이를 계기로 기업 위험관리를 담당하는 사람들을 '위험관리자(risk manager)'라고 부르게 되었다. 이처럼 미국에서는 1930년대 이후 기업의 과학적 위험관리가 지속적으로 발전해 왔다.
그러나 "risk management"라는 용어는 처음부터 사용된 것은 아니며, 이 용어가 일반화된 것은 1950년대 이후이다. 본격적인 위험관리론의 전개는 1963년 이후부터 이루어졌는데, 이는 보험자의 경직화에 대처하고 비용절감을 모색하기 위해 더 체계적인 위험관리 방법과 통제 수단을 사용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컴퓨터와 금융시장의 발전은 캡티브 보험이나 자가보험 등 위험재무기법의 발전을 촉진시켰다.
최근에는 위험관리의 범위가 외환헤징, 이자율 변동, 현물거래 위험, 신용 위험 등 투기적 위험까지 확대되고 있다. 이처럼 위험관리는 기업 방어와 기업 유지 관리라는 방어적 성격에서 출발하여, 점차 기업의 성장과 시장 확대를 지원하는 적극적인 관리 개념으로 발전해 왔다고 볼 수 있다.
1.1.2. 위험관리의 의의
위험관리의 의의는 가계, 기업 및 공공기관이 당면하는 갖가지 위험을 사전에 최저의 비용으로 또는 합리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위험의 발생으로 이들 주체에 미치는 악영향과 역효과를 최소한도로 감소시키는 체계적인 과정을 의미한다. 따라서 위험관리는 적극적으로 기업을 성장시킨다든지, 시장점유율을 확대해서 기업이윤에 도움을 주는 것이 아니라, 소위 기업방위와 기업의 유지, 관리라는 방어적인 관리라고 할 수 있다.
1.1.3. 위험관리의 목적
위험관리의 목적은 크게 손실 발생 전과 손실 발생 후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손실 발생 전의 목적은 앞으로 발생할지 여부를 알 수 없는 순수위험에 대하여 효율적인 사전관리방법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에는 경제적 위험관리, 불안감소, 외부기관의 요구조건 충족 등이 포함된다.
경제적 위험관리는 재정적 분석을 통해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위험처리기법을 강구하는 것을 말한다. 불안감소는 위험관리자가 모든 손실위험을 합리적으로 처리함으로써 불안과 우려를 최소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외부기관의 요구조건 충족은 가계 및 기업이 정부나 지방행정기관이 법적으로 요구한 의무를 충족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손실 발생 후의 목적은 이미 발생한 순수위험에 대한 신속하고 효율적인 관리방법에 중점을 둔다. 이에는 생존, 계속적 활동, 소득의 안정, 계속성장, 사회적 책임 등이 해당된다.
생존은 손실발생 후 가계 및 기업이 적절한 기간 내에 적어도 부분적인 활동을 재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계속적 활동은 가계, 기업, 공공기관 등이 위험발생 후라도 적극적으로 그들의 활동의 일부나 전부를 계속하여 사명을 다하는 것이다. 소득의 안정은 계속적 활동의 목적과 유사하다. 계속성장은 위험발생 후라도 연구개발비나 판매촉진비 투입 등을 통해 성장을 지속하는 것을 말한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책임은 손실이 다른 사람이나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요약하면, 위험관리의 목적은 손실을 예방하고 발생한 손실에 신속히 대응함으로써 가계, 기업, 공공기관의 경제적 안정과 지속가능한 성장을 도모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1.2. 위험처리기법
1.2.1. 위험회피
위험회피(risk avoidance)란 예상되는 위험을 차단하기 위해 그 위험에 관계된 활동 자체를 개시하지 않는 것이다. 즉, 위험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위험회피의 핵심이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배상책임위험을 회피하기 위해서 자동차의 소유를 고려하지 않거나 이미 소유하고 있는 자동차들을 모두 처분해 버리는 경우가 위험회피에 해당한다.
위험회피는 위험처리기법 중 가장 강력한 방법이지만, 그 대신 위험과 관련된 활동 자체를 포기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위험회피는 위험이 크고 회사의 생존에 직결되는 경우에 주로 선택되며, 일반적인 위험관리에서는 보험이나 손실통제 등 다른 방법들과 병행하여 사용된다. 위험회피는 위험발생의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므로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지만, 그만큼 위험을 완전히 회피할 수 없거나 위험회피를 위해 혁신적인 활동을 포기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위험회피 전략은 신중하게 검토되어야 하며, 다른 위험처리기법과의 조화를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
1.2.2. 위험보유
위험보유"란 위험으로부터 초래되는 손실의 일부 혹은 전부를 회사가 인수하는 것을 말한다. 위험보유에는 소극적 보유와 적극적 보유 두 가지 유형이 있다.
먼저, 소극적 보유(passive retention)는 비계획적 위험보유라고도 한다. 이는 위험관리에 대한 무관심으로 인해 위험을 의도적으로 보유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보험에 가입하지 않고 우발적인 손실을 감수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소극적 보유는 위험관리에 대한 무지나 무관심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바람직한 위험관리 방법은 아니다.
반면, 적극적 보유(active risk retention)는 계획적 보유라고도 하며, 어떤 개인이 위험을 의식적으로 알고 있고 의도적으로 위험의 일부 혹은 전부를 보유할 것을 계획하는 것을 의미한다. 위험관리기법상 위험보유란 일반적으로 적극적 보유방법을 말한다. 적극적 보유는 손실 발생 시 그 손실을 자체적으로 부담할 수 있는 능력이 있고, 그렇게 함으로써 오히려 보험료 지출을 줄일 수 있다는 판단 하에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자가보험이나 공제기금 등을 통해 위험을 자체적으로 보유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적극적 보유는 위험관리 측면에서 볼 때 비교적 바람직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보유 가능한 위험의 한계를 초과하거나, 예상치 못한 대규모 손실이 발생할 경우 기업의 재무구조를 크게 악화시킬 수 있다는 단점이 ...
참고 자료
하나손해보험, 하나손해보험의 ‘무배당 하나 Grade 건강보험_약관이용 Guide Book’, 2021.8.9, pp.13~14.
KB 생명보험, 무배당 KB착한정기보험II(공시용), 2021.8
DGB 생명 마케팅기획부, HighFive그랑에이지변액연금보험무2109_약관합본, 2021.9
잡코리아 2019년 KOTRA 연봉 기준, 과장 연봉 5,333만 원,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8691743&memberNo=9028903
한국재무관리센터 연령별 설계 참고,
http://korfinance.co.kr/page1409/contents.php?category=fp&cnt=7
보험다모아, 정기보험 상품비교, “낮은보험료순”,
https://e-insmarket.or.kr/tempIns/tempInsList.knia
KB 생명보험, 종신/정기보험, “무배당 KB착한정기보험II”,
https://www.kblife.co.kr/insurance-product/productDetails.do?id=1206776
하나손해보험, 건강보험, “무배당 하나 Grade 건강보험”
https://www.educar.co.kr/w/product/accidentHealth/hanaGradeHealth
DGB 생명, 연금보험, “HighFive그랑에이지변액연금보험 무배당 2109”,
https://www.dgbfnlife.com/BC/Intro.do?ID=GJ2101
DGB 생명, 상품공시실, “전체상품공시”,
https://www.dgbfnlife.com/BA/BA_A020.do
방갑수, 최신보험학, 박영사, 1993
박은희, 정영동, 리스크관리론, 보험연수원, 1995
김동훈, 보험론, 학현사, 1993
송 일, 위험관리론, 법문사, 1989
조병갑, 위험관리의 이론과 실무, 법론사, 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