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해피캠퍼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자원봉사의 개념과 특성
2.1. 자원봉사의 정의와 특징
2.2. 자원봉사의 필요성
3. 산업복지의 개념과 중요성
3.1. 산업복지의 개념
3.2. 산업복지의 필요성 및 목적
4. 장애인 통합교육의 이해
4.1. 장애인 통합교육의 개념과 목적
4.2. 장애인 통합교육의 배경 및 원리
5. 자원봉사, 산업복지, 장애인 통합교육의 현황과 과제
5.1. 자원봉사 활동의 현황 및 과제
5.2. 산업복지 실태 및 향후 전망
5.3. 장애인 통합교육의 현황 및 한계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자원봉사(voluntarism)는 개인 또는 단체가 지역사회·국가 및 인류사회를 위하여 자발적으로 시간과 노력을 제공하는 행위이다. 이러한 자원봉사 활동을 통해 개인과 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해 고찰해볼 필요가 있다. 특히 자원봉사의 필요성과 가치에 대한 인식을 높여 보다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내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더불어 산업복지와 장애인 통합교육 또한 현대사회에서 주목받고 있는 주제로, 이들 개념과 실천 영역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현황과 과제를 파악하는 것 역시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원봉사, 산업복지, 장애인 통합교육의 개념과 특성, 그리고 현황 및 과제에 대해 종합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2. 자원봉사의 개념과 특성
2.1. 자원봉사의 정의와 특징
자원봉사의 정의와 특징은 다음과 같다.
자원봉사는 개인 또는 단체가 지역사회·국가 및 인류사회를 위하여 대가 없이 자발적으로 시간과 노력을 제공하는 행위이다. 「자원봉사활동 기본법」에 따르면, 자원봉사활동은 무보수성, 자발성, 공익성, 비영리성을 바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자발성은 자신의 의사로 시간과 재능, 경험을 무대가 없이 활동하는 것을 의미하며, 무보수성은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금전적 대가를 받지 않는 것을 말한다. 또한 공익성은 이웃과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활동이고, 지속성은 일정 기간 동안 정기적으로 봉사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자원봉사는 정파와 종파에 상관없이 수행되며, 누구나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즉, 자원봉사는 공공복지를 향한 가치이념이자 민주적 방법에 의한 자주적·협동적 실천 노력으로, 개인·집단·지역사회에서 발생하는 제반 사회문제를 예방 및 해결하고 사회적 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무보수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2.2. 자원봉사의 필요성
자원봉사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자원봉사활동은 국민의 협동적인 참여 능력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추진해야 하며, 무보수성, 자발성, 공익성, 비영리성을 바탕으로 한다. 자원봉사는 '공공복지를 향한 가치이념임과 동시에 민주적 방법에 의한 자주적·협동적 실천 노력이며 개인·집단·지역사회에서 발생하는 제반 사회문제를 예방 및 해결하고 사회적 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공사의 조직체를 통해 무보수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개인적으로 자원봉사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이미 토론을 통해 간략히 언급한 바 있다. 자원봉사 활동을 수행하게 된 동기는 다양할 수 있지만 이유 여하를 막론하고 작은 노력들이 모여 결국에는 거대한 강과 바다를 이룬다는 점을 고려하면, 개개인의 자원봉사 활동은 반드시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행정가나 정책 입안자들의 입장에서는 다수의 의견이 결집되는 상황에 주목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자원봉사자들이 활동하는 공간에 동참하고 그들의 의견을 청취하려는 노력 등을 보이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선의의 자원봉사 활동가들이 보여주는 사회활동을 통해 국가에서 미처 인지하지 못했거나 자원을 배분하지 못한 곳들에까지 골고루 자원이 배분될 수 있는 선한 영향력을 발휘할...
참고 자료
김동배, 『시민사회와 자원봉사』, 서울:학지사, 2008.
이금룡 외, 『노인자원봉사실천론』, 서울:학지사, 2009.
1365자원봉사포털(https://www.1365.go.kr)
국가법령정보센터(https://www.law.go.kr)
신현길, ‘기업복지가 사회적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석사논문, 2021
안향숙, ‘생산적 복지시대의 산업복지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논문, 2002
정종진, 『새 인사관리』, 서울: 법문사, 1985.
한겨레(https://www.hani.co.kr)
YTN(https://www.ytn.co.kr)
경향신문(https://www.khan.co.kr)
강영심 외, 『교사를 위한 특수교육입문 통합교육』, 서울:학지사, 2007.
최윤영·이경준, 『장애인복지론』, 서울:학지사, 2012.
한국장애인고용공단, 『2022 장애인통계』,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22,
국가법령정보센터(https://www.law.go.kr/)
한국장애인 고용공단(https://www.kead.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