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갑상선절제술 로봇수술 성인간호학"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의의 및 목적
2. 문헌고찰
2.1. 정의
2.2. 원인
2.3. 종류
2.4. 진단
2.5. 증상
2.6. 치료
3. 본론
3.1. 간호정보조사지
3.2. 현재 투약상태
3.3. 일반검사(Lap)
4. 간호과정
4.1. 간호진단 #1
4.2. 간호진단 #2
5. 결론 및 제언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2018년 국립암센터 중앙암등록본부가 발표한 국가암등록 통계자료에 따르면 갑상선암은 전체 암에서 3위(11.4%)를 차지할 정도로 발병빈도가 높다. 우리나라에서 발생수가 가장 빨리 늘어나는 암으로, 연 증가율이 25%난 된다. 특히 남녀 성비가 0.3대 1로, 여성 갑상선암 환자가 훨씬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암 중에서는 갑상선암이 2위를 차지하였다. 이처럼 갑상선 암은 여성암 발생률 중 두 번째로 나타날 만큼 흔한 질환이기에 많은 환자들이 갑상선 암 치료의 일환으로 갑상선 절제술(thyroidectomy)를 많이 진행한다. 이러한 환자들을 적절하고 효율적으로 간호하기 위해 이 질환과 수술에 대해여 연구해보고자 한다.
1.2. 연구의 의의 및 목적
본 연구는 2021년 04월 14일 00병원 수술실에서 Thyroidectomy Operation을 관찰한 것을 기반으로, 전반적인 수술 방법과 절차에 대해 파악하였고, EMR상의 기록과 자료를 활용하였다. 또한 회복실에서 대상자를 관찰한 것을 바탕으로 진행하였다. 책과 인터넷 자료를 이용하여 문헌고찰을 하며 갑상선암에 대한 일반적인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러한 것을 토대로 간호학생으로서 배워왔던 간호과정에 대한 이론적 지식과 임상을 접목하여 전략적인 간호를 제공함으로써 실무에서 간호학생의 전문적 역량을 강화하기 위함에 목적을 둔다.
2. 문헌고찰
2.1. 정의
갑상선은 목의 앞부분 중앙에 위치한 내분비 기관으로, 갑상선 호르몬을 만들어 저장하고 분비하여 몸의 대사를 조절한다. 갑상선 결절은 비교적 흔한 질환으로 결절의 종류에 따라 양성, 악성(암), 낭종 등으로 나뉘는데, 이 중 악성 종양은 갑상선 결절의 약 5%를 차지한다. 갑상선암은 우리나라 인구 10만 명당 1년에 여자는 3.9명, 남자는 0.8명의 빈도로 발생되며 주로 30~40대 여자에서 가장 높은 발생 빈도를 보인다. 갑상선암의 대부분은 병리학적으로 유두상암(80%)이며 여포상암(15%) 및 기타 암의 발생도 발견되고 있다."
2.2. 원인
갑상선암의 원인은 명확하지 않지만, 대부분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 그러나 갑상선암의 발병률을 높이는 요인으로는 방사선 노출, 유전적 요인, 과거 갑상선 질환 병력 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방사선 노출은 갑상선암의 가장 잘 알려진 위험 요인이다. 노출된 방사선의 양이 많을수록 갑상선암의 발병 위험도가 증가한다. 특히 머리와 목에 과량의 방사선 조사를 받은 사람에게 갑상선암이 흔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여러 가족성 증후군이 있는 경우 갑상선암 발생률이 증가한다. 유전적 요인이 갑상선암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그 외에도 식이 요인이나 호르몬 요인 등이 갑상선암 발병률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 중이다.
갑상선암은 암 사망의 약 0.2%를 차지하며, 주로 40~60세에 발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성에서 2.5배 정도 더 많이 발생하는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방사선 노출, 유전적 요인, 기존 갑상선 질환 병력 등이 갑상선암 발병의 주된 원인으로 볼 수 있다.
2.3. 종류
갑상선암은 크게 유두암, 여포암, 수질암, 퇴화성암의 4가지 종류로 구분된...
참고 자료
갑상선 유두상 암종에 대한 임상적 고찰-대한이비인후과학회지 두경부외과학, 2004
성인간호학. 박정숙 외. Elsevier Health Sciences KR, 2013.
윤은자 외 공저, 「성인간호학Ⅱ」, 수문사(2020), 1286-1295p.
박준욱. (2021). 갑상샘 수술치료의 새로운 개념: 구강내시경수술 및 로봇수술. 대한의사협회지, 64(3), 208-213.
서울아산병원, “갑상선절제술”,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 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395
Thyroidectomy, https://blog.naver.com/dmswn7878/222252968671
윤은자 외(2019), 성인간호학Ⅱ(아홉번째판), 파주: 수문사, P1287~1289, P1293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갑상선암, Retrieved from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94
삼성서울병원, 질환백과, 내분비/유방 질환-갑상선암, Retrieved from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_ID=09a4727a8000f399&CONT_SRC=CMS&CONT_ID=2038&CONT_CLS_CD=00
1020001010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main.asp
박금주 외 공저(2019). 비판적 사고와 간호과정. 계축문화사. 241p~256p. 297p~311p
서울대학교병원, 수술치료, 갑상선 수술환자의 퇴원 후 주의사항, Retrieved fromhttp://www.snuh.org/board/B016/view.do?bbs_no=3580&searchKey=&searchWord=&pageIndex=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