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대류 열전달 실험
1.1. 실험 목적
열전달의 한 형태인 대류를 이해하고, 자연대류에 있어서 대류 대상물의 시간경과에 따른 온도변화를 기록 관찰함으로 열전달 계수와 Grashof, Prandtl Number와의 관계를 조사하고, 그 현상을 이해하는 것이 실험의 목적이다. 또한 강제대류에 있어서 온도와 시간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자연대류와 강제대류의 차이점을 이해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대류 현상은 유체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자연대류란 온도상승과 같은 자연적인 유체의 이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유체의 순환을 의미하며, 강제대류란 선풍기, 송풍기 등과 같이 기계적인 요소를 사용하여 강제적으로 유체를 순환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번 실험은 강제대류와 자연대류에서의 열전달 현상을 이해하고 비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대류 열전달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실험값과 이론값을 비교함으로써 대류 열전달 계수와 무차원 수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조건에서의 열전달 특성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실생활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높이는데 이 실험의 의의가 있다.
1.2. 실험 이론
1.2.1. 열전달의 형태
열전달은 크게 전도(Conduction), 대류(Convection), 복사(Radiation)의 세 가지 메커니즘으로 이루어진다.
전도는 고체나 정지한 유체 내에 온도차가 있을 때 열이 이동하는 현상이다. 열이 온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며, 열전도율이 높을수록 열전달이 잘 일어난다.
대류는 유체의 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열전달 형태이다. 유체의 움직임이 있는 경우 표면과 유체 사이의 온도차에 의해 열이 전달된다. 대류는 자연대류와 강제대류로 구분된다. 자연대류는 유체의 온도 차이로 인한 밀도 차이로 생기는 부력에 의해 유체 운동이 발생하는 경우이고, 강제대류는 외부 힘에 의해 유체를 강제로 이동시키는 경우이다.
복사는 물체 표면에서 전자기파의 형태로 에너지가 방출되어 전달되는 열전달 메커니즘이다. 복사열전달은 매개체가 필요 없으며, 표면의 복사율과 온도에 따라 달라진다.
이와 같이 세 가지 열전달 메커니즘은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실제 열전달 과정에서는 이 세 가지 메커니즘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1.2.2. 대류 열전달 계수
대류 열전달 계수는 표면에서 유체로의 열전달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유체의 유동 특성, 유체의 물성치, 표면의 기하학적 형상 등에 따라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대류 열전달 계수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정의된다:
q = h A (Ts - T∞)
여기서 q는 단위 면적당 대류 열전달률, h는 대류 열전달 계수, A는 열전달 면적, Ts는 표면 온도, T∞는 유체의 온도를 나타낸다. 이때 h의 단위는 W/m2·K이다.
대류 열전달 계수 h는 유체의 유동 특성, 기하학적 형상, 물성치 등에 따라 다양한 범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인 대류 열전달 계수의 값은 다음과 같다:
- 자연대류의 경우: 2 ~ 25 W/m2·K
- 강제대류의 경우: 25 ~ 250 W/m2·K
- 비등 및 응축의 경우: 2,500 ~ 100,000 W/m2·K
즉, 강제대류의 경우가 자연대류보다 열전달이 더 잘 일어나며, 비등 및 응축과 같은 상변화가 일어나는 경우가 가장 큰 열전달 계수를 가진다.
대류 열전달 계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다음과 같다:
1. 유체의 유동 특성: 유체의 속도, 난류성, 유동 방향 등에 따라 달라진다.
2. 유체의 물성치: 점성, 밀도, 열전도도, 비열 등에 따라 달라진다.
3. 표면의 기하학적 형상: 평판, 원관, 핀 등 표면의 형상에 따라 달라진다.
4. 표면 거칠기: 표면이 거칠수록 대류 열전달 계수가 증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