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사회복지조사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사회복지조사의 중요성과 필요성
1.1. 사회적 위험에 대한 사회복지의 대응
1.2. 사회복지조사와 사회문제의 해결
1.3. 사회복지조사 방법론의 의의
2. 코로나19가 사회에 미친 영향
2.1. 코로나19로 인한 소득불평등 심화
2.2. 통계지표를 통해 살펴본 소득불평등 현황
2.3. 소득불평등 해결을 위한 정책 방안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사회복지조사의 중요성과 필요성
1.1. 사회적 위험에 대한 사회복지의 대응
사회적 위험에 대한 사회복지의 대응은 개인의 인간다운 생존을 위협하는 현상이 대부분의 사회구성원들에게 보편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사회적으로 개입하여 이를 예방하고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질병, 노령, 장해, 폐질, 실업, 자녀의 출생과 양육, 사망 등이 대표적인 사회적 위험이며, 이러한 위험들은 개인의 노동능력을 감소시키거나 직업능력을 상실케 하고, 소득능력의 감소나 상실을 초래한다.
산업사회 속의 인간들은 점차 풍요를 누릴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다수의 구성원들이 그러한 기회를 갖지 못하게 되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러한 현상들의 발생원인은 주로 당사자의 잘못보다는 현대사회의 구조적인 특성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대량실업, 직업병, 환경오염, 교통사고, 노후빈곤과 같은 현상은 산업화 이전에는 보기 드물었던 사회적 위험이다.
즉 초기 산업화과정에서 노동시장에서 노동자층에게 가장 보편적으로 발생하는 질병, 사망, 노령, 산업재해, 실업 등이 빈곤의 주요 원인이 되었고 이것은 전통적 사회적 위험(Old Social Risks)이라고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최근 급격한 글로벌 경제화, 산업구조의 변화, 인구구조의 변화로 인하여 노동시장의 불안정, 가족해체, 젠더문제, 돌봄문제 등 기존의 산업화 시대와 다른 새로운 사회적 위험(New Social Risks)이 등장하고 있다.
새로운 사회적 위험은 "후기 산업사회로의 이행과 연관된 경제·사회변동의 결과 사람들이 생애기간에 직면하는 위험들"로 규정되는데 이는 가족구조의 불안정, 노동시장의 유연화, 세계화의 움직임 등으로 가시화되고 있다. 빈곤, 질병, 실업, 노령 등 전통적 사회적 위험은 복지국가의 사회정책을 통해 보호가 가능한 것이다. 그렇지만 지속적인 경제발전과 높은 취업률, 보육과 노인보호, 국가경제의 성공적인 관리 등으로 가능했던 안정적 시기가 끝나면서 탈산업사회의 경제적 정치적 변화의 결과로써 새로운 문제가 등장하게 된 것이다.
이처럼 사회복지는 이러한 사회적 위험에 대한 공적인 대응과 개입을 의미한다. 사회복지는 한 사회가 개인이 아닌 사회적인 이유 때문에 발생...
참고 자료
유정원, 이영미, 이미영, 이사라(2018). 경기도 한부모가족복지시설 평가지표 개발연구. 경기복지재단.
김양호, 유계숙, 전춘애 ,박정희(2002). 모자보호시설 입소모자가정의 가족생활실태에 관한 연구- 서울시 모자보호시설 종사자와 입소 어머니의 요구도 조사를 중심으로 -. 한국가족상담교육연구소. 40(3). 99-113.
김미숙(2016). 자립을 준비하는 한부모가족 여성의 삶의 양식에 관한 탐색적 사례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문영신(2017). 모자가족복지시설 여성가구주의 생활사건 스트레스가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 동의대학교대학원.
김영희(1996), 빈곤층 편모의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원에 관한 질적내용 분석, 안성산업대학교논문집, 28집, p245-252.
통계청, kostat.go.kr
e-나라지표,
https://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581
모자가족복지시설.
사회복지조사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사회복지조사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경향신문, 코로나로 불평등 심화…현 정부 들어 ‘임금 지니계수’ 첫 상승 고희진 기자, 2021.01.24 11:47 입력
통계청 e-나라지표(www.index.go.kr)’
통계청, 지역별고용조사, 202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