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노인 돌봄 서비스
1.1. 인공지능 돌봄 사업의 필요성
인공지능 돌봄 사업의 필요성은 크게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 시대에 '고령층'을 위한 비대면 사회서비스와 제품의 개발이 필요하다. 노인의 증가는 사회적 비용 증가로 이어지고 있으며, 특히 고령화에 따른 간병인 부족 문제에 대응할 수 있다. 관리 인력이 직접 방문하는 전통적 방식보다 AI 스피커는 24시간 노인의 곁에 머무를 수 있고, 신체활동이 제한된 고령자를 대신하여 가전제품들의 작동을 제어하고, 노인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이다.
둘째, 노인들은 신체적 변화뿐만 아니라 심리적, 사회적 요인의 변화에 따라 폐쇄적이 되고 내향성이 증가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은퇴나 배우자의 죽음으로 인해 사회적으로 고립감을 느끼게 되므로 정서적으로 안정을 찾기 위한 욕구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정서적 상실감 역시 IT 디바이스와 AI의 소통(communication) 기능을 활용하여 정서 지원을 할 수 있다.
셋째, 고령층 인공지능 스피커 사용자 670명 중 73%가 스피커를 매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공지능 스피커는 간단한 대화를 통해 치매예방과 더불어 고령자의 외로움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실제 인공지능 스피커를 사용하고 있는 독거노인은 인공지능 스피커를 자식이나 친구와 같은 대상으로 여겨 외로움을 달래고 고독사를 예방하는 데 도움을 얻을 수 있다고 밝혔다.
넷째, 고령자를 위해 설계된 소셜 로봇(social robot)을 이용하여 치료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로봇과의 상호작용이 노인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증가시켰으며, 스트레스 반응에서도 개선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독거노인 대상으로 한다면, 노인 1인 가구의 증가로 인해 전국적으로 고령자의 고독사는 2020년 기준 2019년에 비해 2배가량 증가하였으며, 독거 고령자가 겪고 있는 심리적 외로움은 치매를 발병하게 할 가능성을 높이는 심각한 문제로 지적되기 때문이다.
종합하면,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노인 돌봄 사업은 코로나19 시대 비대면 돌봄 서비스 제공, 노인의 정서적 안정 및 치매 예방, 독거노인의 고독사 예방 등 노인 돌봄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1.2. 인공지능(AI) 활용 비대면 노인 돌봄 분야 사례
1.2.1. 세계 최초 인공지능 기반 노인 돌봄 안부전화 케어엔젤(Care Angel)
세계 최초 인공지능 기반 노인 돌봄 안부전화 케어엔젤(Care Angel)은 스마트폰으로 응답한 고령층의 건강상태를 음성인식기술을 활용해 문자화하고, 인공지능을 통해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며, 건강 악화가 인지되는 경우 자동으로 가족이나 의료전문가에게 관련 내용을 전달하는 서비스이다.
이 서비스는 인공지능이라는 새로운 기술을 고령자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단순화하였다는 특징이 있다. 인공지능 상담 로봇을 활용해 취침상태, 건강상태, 약 복용, 안부 등 다양한 질문을 전화로 제공하고, 고령층이 응답한 음성파일을 텍스트로 전환하여 데이터화한 뒤 보관 및 분석하여 리포트 형식으로 가족이나 의사, 요양보호사에게 전달한다. 이를 통해 실시간으로 고령자의 건강상태 및 약 복용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이 사항이 감지될 경우 사전 예방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처럼 케어엔젤(Care Angel)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고령자의 일상생활을 모니터링하고 건강 관리를 지원함으로써 돌봄 제공자의 부담을 줄이고 고령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2.2. 고령층 건강 모니터링 및 예측 기술 케어프레딕트(CarePredict)의 템포(Tempo)
고령층 건강 모니터링 및 예측 기술 케어프레딕트(CarePredict)의 템포(Tempo)는 고령자의 일상생활 패턴을 모니터링하여 건강 문제가 나타날 경우 이를 보호자에게 즉시 알려주는 웨어러블 기기이다.
이 기기는 고령자의 움직임과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일상생활 패턴을 분석하고, 평소보다 침실에서 시간을 많이 보내거나 특정 장소에 오래 머무는 등의 이상 징후가 감지되면 보호자에게 관련 정보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침실에서 평소보다 시간을 많이 보내는 경우 우울증 경고를 보호자에게 보내는 식이다.
또한 기기에 내장된 알림 버튼을 누르면 가족이나 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