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청소년센터 사례조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청소년운영위원회 개요
1.1. 청소년운영위원회의 개념
1.2. 청소년운영위원회의 법적 근거
1.3. 청소년운영위원회의 주요 기능
2. 청소년운영위원회 사례 조사
2.1. 전국 청소년운영위원회 운영현황
2.2. 개별 청소년운영위원회 사례
2.2.1. 시립은평청소년센터
2.2.2. 은평구 청소년 문화의집 신나는 에프터센터
2.2.3. 강릉시 청소년 수련원 문화원
2.2.4. 아산시청소년교육문화센터
2.2.5. 대전시 갈마청소년문화의집
3. 청소년 자치활동의 관점에서 청소년운영위원회 평가
3.1. 자발적인 참여
3.2. 긍정적인 삶의 방향 제시
3.3. 사회성 발달
3.4. 리더십 향상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청소년운영위원회 개요
1.1. 청소년운영위원회의 개념
청소년운영위원회는 생활권 청소년수련시설의 운영관련 자문평가를 통해 청소년이 주인이 되는 시설이 되도록 마련된 제도적 기구이다. 청소년수련시설의 운영 및 프로그램 등을 청소년들이 직접 자문· 평가토록 함으로써 청소년의 수요와 의견을 반영하는 청소년이 주인이 되는 시설이 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청소년 수련시설 청소년 문화시설 청소년 수련원 등에서 청소년 스스로가 운영하는 위원회이다.
1.2. 청소년운영위원회의 법적 근거
청소년운영위원회의 법적 근거는 청소년활동진흥법 제4조(청소년운영위원회)에 따른 것이다. 청소년활동진흥법 제4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내용이 명시되어 있다.
① 제10조제1호의 청소년수련시설(이하 "수련시설"이라 한다)을 설치·운영하는 개인·법인·단체 및 제16조 제2항의 규정에 의한 위탁운영단체(이하 "수련시설단체"라 한다)는 청소년활동을 활성화하고 청소년의 참여를 보장하기 위하여 청소년으로 구성되는 청소년운영위원회를 운영하여야 한다.
② 수련시설운영단체의 대표자는 청소년운영위원회의 의견을 수련시설 운영에 반영하여야 한다.
③ 제1항의 규정에 의한 청소년운영위원회의 구성·운영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즉, 청소년운영위원회는 청소년활동진흥법에 따라 청소년수련시설을 운영하는 개인, 법인, 단체에서 청소년활동을 활성화하고 청소년의 참여를 보장하기 위해 운영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또한 청소년운영위원회의 의견이 시설 운영에 반영되어야 한다는 점과 구성 및 운영에 관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해진다는 점이 법적 근거로 명시되어 있다.
1.3. 청소년운영위원회의 주요 기능
청소년운영위원회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청소년들의 청소년수련시설 및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참여와 모니터링을 하고, 지역사회 문제해결을 위한 참여 및 의견을 반영하며, 청소년 시설 및 청소년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주체적인 책임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즉, 청소년운영위원회는 청소년수련시설의 운영 및 프로그램에 대한 청소년들의 자문과 평가를 통해 청소년들의 수요와 의견을 반영하여 청소년이 주인이 되는 시설이 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2. 청소년운영위원회 사례 조사
2.1. 전국 청소년운영위원회 운영현황
전국 청소년운영위원회 운영현황은 청소년활동진흥법에 따라 청소년수련시설을 설치·운영하는 개인·법인·단체 및 수련시설 운영단체가 청소년활동을 활성화하고 청소년의 참여를 보장하기 위하여 청소년으로 구성되는 청소년운영위원회를 운영하도록 되어있다.
2020년 4월 기준, 전국에는 총 816개의 청소년수련시설이 운영되고 있으며, 이 중 청소년운영위원회가 운영되고 있는 곳은 305개소이다. 2006년 210개소에서 2018년 305개소로 증가하였으며, 공공 청소년수련관과 청소년문화의집을 중심으로 ...
참고 자료
김영인, 김민 공저, 청소년지도방법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여성가족부 청소년백서 최종본 PDF 2019.
조수빈(2020). 자치활동 참여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 (활동역량의 매개효과).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여성가족부(2018). 2018 청소년백서, 여성가족부.
윤동엽(2010). 청소년참여 경험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운영위원회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네이버 지식백과. 청소년수련시설 (토지이용 용어사전).
구립 망원청소년문화센터. www.mwyouth.org.
여성가족부. www.mogef.go.kr.
한국청소년수련시설협회. http://youthnet.or.kr.
조성연, 『최신 청소년복지론』, 창지사, 2016.
뉴시스, 손정빈, “[기자수첩]아이들의 극단적 선택, 남의 일 아니다”,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81008_0000437011&cID=10201&pID=10200, 2018.10.15.
천지일보, 김빛이나, “[강릉 펜션 참사] 서울시교육청 “대성고 학생•학부모 심리상담 운영...장례비 전액 지원””,
http://www.newscj.com/news/articleView.html?idxno=583658, 2018.12.19.
한국일보, 손영하, “앳된 고교생 눈물배웅 이번이 마지막이길...”,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812211339388112?did=NA&dtype=&dtypecode=&prnewsid=, 2018.12.21.
복지로 홈페이지 (http://www.bokjiro.go.kr/nwel/bokjiroMain.do)
Wee프로젝트 홈페이지 (https://www.wee.go.kr/home/main.php)
은평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 (http://www.woori1318.or.kr/woori13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