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치료적 의사소통과 인간관계
1.1. 환자 기초정보 및 주증상
홍○○ 환자는 54세 남성으로, 전신피로, 체력저하, 불면, 우울, 불안 등의 주증상을 가지고 있다. 진단명은 Alcohol Related Disorders이며, 2020년 2월 13일 5차 입원하였다.
환자의 신체적, 정신적 증상들은 만성적인 알코올 중독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오랜 기간 지속된 과도한 음주로 인해 전반적인 건강 상태가 저하되었으며, 불면, 우울, 불안 등의 정신 증상도 함께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복합적인 증상들은 환자의 일상생활과 사회적 기능에 큰 지장을 초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입원을 반복하고 있다는 점에서 환자의 상태가 안정적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체계적인 치료와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
1.2. 의사소통 과정 기록
1.2.1. 9월 2일 의사소통
9월 2일 대상자와의 의사소통에서 학생간호사는 대상자의 언어적·비언어적 행위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으며, 치료적 의사소통 기법을 적절히 활용하여 대상자와의 신뢰관계 형성에 힘썼다고 볼 수 있다"".
먼저, 학생간호사는 관찰한 바를 말하기 기법을 사용하여 대상자의 건강상태 호전을 긍정적으로 표현했다. 이를 통해 대상자와의 관심과 관심사에 대한 공감을 전달하였다"".
이어서 대상자의 침묵에 대해 시간을 주어 감정을 다스릴 수 있게 하였고, 반영을 통해 대상자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려 노력했다"". 특히 대상자의 아들에 대한 애착과 그리움을 공감적으로 반영하면서 대상자와의 라포 형성을 돈독히 하였다"".
그러나 대상자의 과거 경험을 탐지하듯 물어보는 등 비치료적인 의사소통 기법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는 대상자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할 수 있는 위험이 있었으므로 추후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전반적으로 학생간호사는 치료적 의사소통 기법을 적절히 활용하여 대상자와의 신뢰관계 형성에 힘썼으며, 이를 통해 대상자의 감정과 경험을 깊이 있게 탐색하고자 노력한 것으로 평가된다"".
1.2.2. 9월 4일 의사소통
9월 4일 의사소통은 대상자의 투석 받는 날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상자는 투석을 받으면서 여러 불편함과 스트레스를 겪고 있었다"" 대상자는 평소에도 움직임을 좋아하는 편이었는데, 투석실에서는 몇 시간 동안 누워있어야 하는 것이 힘들고 괴로웠다고 말하였다"" 이에 대해 학생간호사는 공감하며 대상자의 반응을 잘 이해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대상자는 투석실에서 듣는 특유의 냄새와 소음도 견디기 어려운 부분이라고 토로하였다"" 그리고 보통은 활동적이었던 자신이 투석실에서는 꼼짝도 못하고 있어야 하는 것이 너무 힘들다고 말하였다"" 이에 학생간호사는 다시 한 번 공감을 표현하며, 투석을 받는 것이 쉽지 않은 상황임을 인정해주었다""
이처럼 9월 4일 의사소통에서는 투석 과정에서 겪는 대상자의 스트레스와 어려움에 대해 자세히 다루고 있다"" 학생간호사는 공감적 태도로 대상자의 말을 경청하고 이해하려 노력하였으며, 이를 통해 대상자와의 치료적 관계 형성에 도움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1.2.3. 9월 7일 의사소통
9월 7일 의사소통은 대상자의 학교생활에 대한 어려움과 이를 극복하려는 노력에 대해 다루고 있다". 대상자는 특수학교의 시간강사로 일하면서 학교 선생님들과의 관계에서 갈등을 겪고 있었다. 특히 평소 잘해주시던 특수교육지도사님이 말을 걸지 않으시자 과거의 부정적 경험이 떠올라 스트레스를 받고 있었다.
대상자는 학교에서 겪는 부당한 대우와 인간관계의 어려움으로 인해 공부에 집중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