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돌봄교실지원동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초등돌봄서비스에 관한 질적 개선 정책
1.1. 배경 및 문제점
1.2. 정책제안
1.2.1. 초등돌봄교실, 방과후 학교 통합 운영
1.2.2. 체험학습 확대
1.3. 분석적 차원의 개선
1.4. 기대효과
1.5. 참고문헌
2. 맞벌이가족의 현황과 문제점
2.1. 맞벌이가족 현황
2.2. 맞벌이가족 문제점
2.3. 맞벌이가족 복지대책과 제안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초등돌봄서비스에 관한 질적 개선 정책
1.1. 배경 및 문제점
최근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늘고 있지만, 연령대별 차이가 있다. 여성 고용률은 30세 미만의 연령대에서는 증가하다가 30~40세 연령대에서 감소하고, 40세 이후부터는 증감을 반복하는 'M자형 곡선'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초등학생 자녀를 둔 여성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부족하기 때문으로 파악된다. 또한, 돌봄 지원에 대한 정책이 영유아 중심(양육수당 및 보육료 지원, 누리과정 시행 등)으로 설계되다 보니, 상대적으로 초등 돌봄 정책이 부족하여 초등 자녀를 둔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에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정부는 돌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2022년까지 돌봄교실 3500실을 확충하고 돌봄 운영시간을 7시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발표하는 등 양적인 개선을 주로 정책을 진행하고 있다.
1.2. 정책제안
1.2.1. 초등돌봄교실, 방과후 학교 통합 운영
초등돌봄교실, 방과후 학교 통합 운영은 보육과 교육을 통합적으로 제공하고 가정환경에 따른 수혜의 차이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이다. 현재 초등돌봄교실은 보육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저소득층 가정이나 맞벌이 가정의 자녀들은 학습의 기회를 충분히 누리지 못하고 있다. 반면 방과후 학교는 교육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어 돌봄이 필요한 학생들은 프로그램 선택에 제약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초등돌봄교실과 방과후 학교를 통합 운영하여 보육과 교육을 모두 제공하고 학생의 선택에 따라 프로그램 참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통합 운영을 위해서는 먼저 '보육'과 '교육'을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또한 가정환경에 따른 선택이 아닌 학생의 선택에 의한 교육 혹은 보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더불어 소외계층에 대한 우선적인 신청권을 부여하여 안배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한 실행전략으로 첫째, 돌봄전담사와 방과후 학교 강사가 협력하여 보육과 교육을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운영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둘째, 돌봄전담사와 방과후 강사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을 실시하여 질 높은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초등돌봄교실과 방과후 학교의 유사 프로그램을 통합하고 미래 교육 방향의 프로그램을 강화해야 한다. 이를 통해 학생과 학부모의 요구를 반영한 창의적인 교육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1.2.2. 체험학습 확대
체험학습 확대는 다양하고 복잡한 사회적 과업 및 역할을 요구받는 학령기 아동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기존 초등돌봄교실 프로그램은 단순한 놀이 활동 및 교과 보충 수준에 그치고 있어 아동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실정이다. 또한 방과후 학교의 다양한 프로그램들도 미래 교육을 기반으로 한 체험 활동은 아직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체험학습 확대를 위한 실행전략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프로그램의 분야를 나누어 돌봄교실 운영이 체계적으로 변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한다. 체험학습 내에서도 활동의 범위에 제한을 두지 않고 학습, 진로 등 폭넓게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지역사회자원을 활용하여 지역의 인적자원, 물적 자원을 동원하기 위한 확보 노력이 요구된다. 셋째, 체험학습의 대상자는 '아동'이라는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 돌봄전담사의 관점이 아닌 아동의 관점에서 체험학습을 구사하는 것이 지속적인 체험학습 도입의 중심축이 된다....
참고 자료
김진숙 외 2명. 2017. “4차 산업혁명시대의 미래교육 준비하기(초등)”. KERIS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교육부. 2019. “초등돌봄교실 운영 길라잡이”. from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72756&boardSeq=88915&lev=0&searchType=null&statusYN=W&page=1&s=moe&m=031304&opType=N
한성민. 2019. 초등학교 돌봄 서비스의 효과성과 효율적 정책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정책연구시리즈
한국교육개발원. 2020. “2021 방과후학교 운영 길라잡이”. from http://www.kedi.re.kr
권희재. 2021. “2021. 달라지는 경남교육청 미래교육국 주요 정책”. 한남일보. from http://www.hannam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269573
매일경제. 2021. “[기고] 미래교육모델을 위한 제언”. from https://www.mk.co.kr/opinion/contributors/view/2021/06/549943/
KERIS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21. “박혜자 교육학술정보원장, 전남대학교병원에서 미래교육 특강 개최”. from https://www.keris.or.kr/main/na/ntt/selectNttInfo.do?mi=1088&nttSn=37624
한성민. 2021. 여성 경제활동 증가에 대응한 초등돌봄 체계 개선방안. 한국개발연구원
정부24. 2021. “초등돌봄교실 운영”. from https://www.gov.kr/portal/service/serviceInfo/753000000011
서울교육. 2021. “미래사회 교육평가 패러다임, 왜 ‘과정 중심 평가’인가”. 2021년 8월 24일. from http://webzine-serii.re.kr/%EB%AF%B8%EB%9E%98%EC%82%AC%ED%9A%8C-%EA%B5%90%EC%9C%A1%ED%8F%89%EA%B0%80-%ED%8C%A8%EB%9F%AC%EB%8B%A4%EC%9E%84-%EC%99%9C-%EA%B3%BC%EC%A0%95-%EC%A4%91%EC%8B%AC-%ED%8F%89%EA%B0%80%EC%9D%B8%EA%B0%80/
부산광역시교육청. 2021. “2021학년도 방과후학교 운영 계획서(연일초-내용수정)”.부산방과후학교지원센터-방과후학교-학교별운영계획-초등학교. from https://home.pen.go.kr/afterschool/na/ntt/selectNttInfo.do?mi=14330&bbsld=4169&nttSn=646811
[네이버 지식백과] 자유학기제 (시사상식사전, 2018. 03.09., PMG 지식 엔진연구소). from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968111&cid=43667&categoryId=43667
KERIS 한국교육학술정보. 미래교육체험관. from https://www.keris.or.kr/eng/uclass/view/selectAppMain.do
포스트 COVID-19 대응 미래교육 체제 전환을 위한 에듀테크 동향 분석
김재근(1985). 맞벌이 가정 아동과 홀 벌이 가정 아동의 제 심리적 변인에 관한 비교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현옥, 김경호(2009). 맞벌이가정의 보육지원서비스 활용이 양육죄책감과 가족기능에 미치는 영향연구: 진주시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59: 305-328.
김현경, 이아영, 황선유, 이병재, 정성미, 양정승(2022). 코로나19 위기로 인한 근로연령층 사회적 위험의 경험과 대응의 격차.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세종시.
서현숙(2021). 맞벌이부부의 가족복지서비스 욕구에 관한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명신(1998). 기혼취업여성의 가족생활 및 직업생활 경험과 심리적 복지. 「한국 사회복지학」, 통권 36권.
이태경(2012). 맞벌이가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애착과 가족관계지각의 매개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혜숙, 문진영(2022). 위드 코로나 시대 학령기 아동돌봄 실태와 지원방안. 서울연구원: 서울.
중앙신문, “[사설] 맞벌이 학부모 돌봄 한숨 언제까지”, 2022. 12. 06. joongang.tv/news/arti
cleView.html?idxno=58563
차경아(2003). 맞벌이 가족의 복지개선 방안 연구.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통계청(2022.06.21). 2021년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맞벌이 가구 및 1인 가구 고용 현황.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