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비치료적 의사통을 치료적 의사소통"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정신질환과 치료적 의사소통
1.1. 등장인물 소개
1.2. 정신질환 소개
1.2.1. 불안장애
1.2.2. 강박장애
1.3. 치료적 의사소통 기법 분석
1.3.1. 불안 및 강박 관련 장애 상황
1.3.2. 의사소통 상황 분석과 치료적 의사소통 기법
2. 의사소통 분석 보고서
2.1. 의사소통 대상 선정 및 분석
2.2. 치료적 관계 형성과 의사소통 기술
3. 의사소통 반영 보고서
3.1. 의사소통 대상 선정
3.2. 의사소통 상황 분석 및 평가
3.3. 소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정신질환과 치료적 의사소통
1.1. 등장인물 소개
드라마 《괜찮아 사랑이야》에는 다양한 정신질환을 겪는 인물들이 등장한다. 이중 주요 등장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장재열은 화장실에서만 잠을 잘 수 있을 정도의 강박증을 앓고 있다. 그는 어릴 때의 학대의 기억과 상처로 인해 이러한 강박증상을 겪고 있다.
지해수는 어릴 적 엄마의 불륜을 목격한 후 불안장애와 관계기피증을 겪고 있는 대학병원 정신과 전문의이다.
박수광은 뚜렛 증후군 환자로, 지해수와 조동민이 같이 살고 있다.
조동민은 정신과 상담소를 개업한 의사로, 지해수와 박수광의 치료를 돕고 있다.
이처럼 《괜찮아 사랑이야》에는 다양한 정신질환을 겪는 인물들이 등장하여, 그들의 삶과 극복 과정을 보여준다.
1.2. 정신질환 소개
1.2.1. 불안장애
불안장애는 여러 형태의 비정상적이고 병적인 불안 및 공포로 인하여 일상생활에 장애를 일으키는 정신질환이다. 불안장애는 불안의 느낌이 광범위하고 심하게 나타나며 동시에 여러 신체증상이 발생한다.
불안장애에는 범불안장애, 공황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사회불안장애, 공포증 등 다양한 유형이 존재한다. 범불안장애는 만성적이고 지속적인 걱정과 긴장으로 특징지어지며, 공황장애는 예기치 못한 심각한 불안 발작이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심각한 외상 경험 후 나타나는 지속적인 불안 증상이고, 사회불안장애는 타인의 관찰이나 평가에 대한 지나친 두려움을 보인다. 공포증은 특정 대상이나 상황에 대한 극심한 공포와 회피 행동으로 나타난다.
불안장애 환자들은 지속적인 긴장과 걱정으로 인해 수면 장애, 근육 긴장, 두통, 소화기 증상 등의 신체적 증상을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신체 증상은 다시 불안을 악화시키는 악순환을 만들어낸다. 또한 불안장애 환자들은 사회적 상황에서 위축되거나 회피하는 등의 행동 문제를 보이기도 한다.
불안장애의 원인은 다양한데, 유전적 요인, 뇌 신경화학적 불균형, 스트레스와 역경 경험 등이 주요 원인으로 지적된다. 유전적 요인은 불안장애 발병의 취약성을 높이며, 스트레스와 외상 경험은 불안장애 발병을 촉발시킬 수 있다. 또한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이 불안장애와 연관되어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불안장애 치료에는 약물치료와 심리치료가 주로 활용된다. 약물치료로는 항불안제, 항우울제 등이 사용되며, 심리치료로는 인지행동치료가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지행동치료는 불안을 유발하는 비합리적인 사고와 행동 양식을 수정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최근에는 마음챙김 기반 치료, 수용전념치료 등의 새로운 심리치료 기법도 도입되고 있다.
불안장애의 경우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증상 호전과 함께 일상생활 기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치료에 반응하지 않거나 재발하는 환자도 있어 지속적인 관리가 중요하다. 따라서 불안장애 환자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사회 복귀를 위한 사회적 지지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1.2.2. 강박장애
강박장애는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반복되는 강박적 사고와 강박행동으로 특징지어지는 정신질환이다. 강박장애 환자들은 내재된 불안을 경감시키기 위해 특정 행동을 반복하게 되는데, 이러한 행동을 중지할 경우 불안증세가 다시 나타나게 된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청결에 대한 강박, 순서나 대칭에 대한 강박, 타인이나 자신에게 가해질 수 있는 ...
참고 자료
김선아 외 『정신간호총론 제 8판』 수문사
삼성서울병원, “불안장애”,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bv/disease/info/view.do?CONT_ID=1615&CONT_SRC_ID=09a4727a8000f255&CONT_SRC=CMS
삼성서울병원, “강박장애”,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bv/disease/info/view.do?CONT_ID=1707&CONT_SRC_ID=09a4727a8000f1a2&CONT_SRC=CMS
괜찮아 사랑이야 공식홈페이지, “괜찮아 사랑이야”,
https://programs.sbs.co.kr/drama/oklove/main
공성숙 외, 『정신건강간호학』, 군자출판사,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