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의사소통과 리더십
1.1. 의사소통의 중요성
의사소통은 자신이 얼마만큼 알고 있는가보다는 자신의 생각을 잘표현하고 상대방의 의견을 잘들어주는가, 이것이 가장 중요한 시대가 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 발표나 토론 문서 작성, 경청 등 의사소통에 관련한 내용을 담은 서적들이 수없이 출간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나 요즘 같은 시대에서는 의사소통능력이 중요한데, 이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못하면 그만큼 직업생활 뿐만 아닌 기타 사회생활에서도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따라서 인간관계에 있어서 의사소통은 매우 중요한 기능이다.
1.2. 사티어의 의사소통 유형
1.2.1. 회유형
회유형은 타인의 비위를 맞추는데 급급하여 자신의 감정을 잘 표현하지 못하는 유형이다. 이들은 화를 잘 내지 못하고 사죄와 변명을 하거나 타인의 의견에 쉽게 동조하는 경향이 있다. 자존감 3요소 중 '상황'과 '타인'을 중요하게 여기지만 '자기'를 완전히 무시한다. 즉, "이 상황에서 저 사람이 화가 날 수 있겠구나"라고 생각하면서 상대방의 감정을 맞추기 위해 노력하지만, 정작 자신이 받은 억울한 감정은 무시하고 억눌러 버리는 것이다. 이러한 회유형의 자존감은 매우 낮은 편이라고 볼 수 있다.
1.2.2. 비난형
이 '비난형'은 회유형과 정반대의 유형이다. 위 자존감 3요소 중 자기와 상황은 어느정도 고려하지만, 타인을 무시하는 경향이 크다. 즉 자신의 기분이 가장 중요한 유형이다. 그렇기 때문에 타인에게 쉽게 본인의 감정을 쏟아내는 편이다. 이들은 자신의 의견과 감정을 잘 표현하며 타인의 반응에 크게 신경 쓰지 않는다. 자신의 주장이 강하고 말을 잘하는 편이어서 자존감이 높아 보일 수 있지만, 내면에는 상처를 받을까봐 두려워하는 연약한 자아가 숨어 있다. 그래서 회유형의 아첨과 의존을 통해 자존감을 높이려는 경향이 매우 크다.
1.2.3. 일치형
일치형 자존감을 가진 사람은 자기, 상황, 타인 모두를 고려하면서 의사소통을 한다. 그들은 자신의 감정과 태도가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주의하며, 상황에서 다른 사람이 화를 낼 만한 이유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한다.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대화하면 서로에게 좋을지를 고민하며, 더 좋은 의사소통 결과를 위해 노력하고 실행한다. 따라서 일치형의 자존감이 가장 높다. 즉, 일치형 자존감을 가진 사람은 자신의 감정을 잘 조절하며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상호 이해하려 노력하는 균형잡힌 의사소통을 한다고 볼 수 있다.
1.3.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의사소통 유형 분석
내가 주로 쓰는 의사소통 유형은 회유이다. 너무 눈에 보이지도 않고, 다른 사람의 심기를 거스르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이다. 도저히 어떤 말도 통하지 않을 것 같은 사람을 만났을 때는 그 사람의 의견에 적당히 동조해주는 방식을 취한다. 싸운다고 해도 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