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심리학과 신학의 통합"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게리 콜린스의 심리학과 신학 통합 전망
1.1. 저자 소개
1.2. 내용 요약
1.2.1. 통합: 그 접근법들
1.2.2. 통합: 적용(1)
1.2.3. 통합: 적용(2)
1.2.4. 통합: 인접자들
1.2.5. 통합: 그 진전
1.3. 이 책의 구성/주장/증명방법/접근방법
1.4. 느낀 점/비평
2. 제임스 파울러의 신앙발달 이론
2.1. 파울러의 생애
2.2. 파울러의 신앙발달론 분석
2.3.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의 강점과 한계
2.4.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의 연령별 신앙발달교육의 초점
2.5.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의 기독교교육의 방향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게리 콜린스의 심리학과 신학 통합 전망
1.1. 저자 소개
게리 콜린스(Gary R. Collins)는 1934년 10월 22일 생으로, 캐나다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고, 맥매스터(McMaster)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리고 영국의 런던 대학교에서 수학했다. 1958년 콜린스는 캐나다 토론토 대학교에서 심리학 석사(M.A) 학위를 취득했다. 그는 메릴랜드(Maryland) 대학교에서 처음으로 학생들을 교수하였다. 그는 미국 퍼듀(Purdue)대학교로 유학하여 임상심리학을 전공하여 1963년에 철학박사 학위(Ph.D.)를 취득했다. 그는 포틀랜드 주 오리건에 위치한 오리건 대학교 의과 대학 부속병원에서 임상심리 인턴과정을 이수했다. 그러던 중 그는 포틀랜드의 서부신학교(Western Seminary)에서 1년간 신학을 연구했다. 그는 1964년에 결혼하여, 베델 대학에서 심리학을 가르치면서 두 딸을 낳았고, 필라델피아에 있는 콘웰 신학대학에서 1년간 교수한 후, 일리노이로 이사하여 트리니티 복음주의 신학교(Trinity Evangelical Divinity School)로 옮겨 여기서 20여 년간 봉직하고 있으며, 심리학부의 학부장을 지내기도 했다. 그는 기독교 상담학계에서 신학과 심리학의 통합을 적극적으로 주도했다. 그의 저서 대부분이 통합적 시각에서 기술되었으며, 대표적으로 1980년대에는 통합적 관점으로 기술한 30권의 기독교 상담 시리즈 편집을 담당하기도 했다. 1987년 이후 콜린스는 강단을 떠나 강연 활동과 저술에 전념하고 있으며, 1991년에는 미국 기독교 상담자 협회(AACC, American Association of Christian Counselors)의 공동회장을 맡아 7년 동안 이 단체를 이끌기도 했다. 그는 나중에 AACC의 대표회장을 맡아 이 협회를 운영했다. 또 AACC의 공식 간행물 [오늘의 기독교 상담(Christian Counseling Today)]이라는 저널을 만들어 수년 동안 편집장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1998년 10월 콜린스는 AACC를 떠나 기독교 상담의 발전을 위하여 세계 기독교 코칭(Christian Coaching Worldwide)이라는 단체를 조직했다. 최근에 콜린스는 상담을 완성시키는 개념으로 코칭에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했다. 그는 코칭이 상담, 컨설팅, 멘토링 등을 통합한 개념이기도 하지만 과거적이고 치료적인 상담보다 진취적이고 예방적인 개념으로서 상담을 온전하게 한다며 이 운동을 펼치고 있다. 콜린스는 전 세계 50여 개국에서 강연을 한 바 있으며, 현재도 북미를 순회하며 신학과 심리학의 통합 및 기독교 상담과 관련된 다양한 세미나의 주강사로 활약하고 있다.
1.2. 내용 요약
1.2.1. 통합: 그 접근법들
심리학과 신학이 갈등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때때로 경쟁관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심리학과 신학의 통합은 심리학자들과 기독교인들에게 가장 큰 도전 중의 하나이다"" 만일 통합이 가능하다고 하면 무엇이 문제인가?
첫째, 전체적인 주제를 무시하는 사람이 있다는 점, 둘째 노골적으로 통합을 반대한다, 셋째 통합이 필요 없다, 넷째는 통합은 필요하며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다"" 우리가 실제로 심리학과 신학 사이의 경계를 허물려는 것이 아니고, 통합이란 두 가지의 분리되어 있지만 독특한 영역들이 비슷한 주제에 관한 우리의 이해에 대해 빛을 비추어주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통합의 목적은 무엇인가? 첫째, 신학과 심리학은 함께 서로의 질문들에 대답 할 수 있고 연구를 자극할 수 있는 관점들을 공유할 수 있으며, 하나님의 진리에 대한 더 위대하고 분명한 발견과 이해들로 인도할 수 있다"" 둘째, 통합 임무는 신학과 심리학 사이에 대화의 통로를 열어 놓을 수 있다""
이를 위한 접근법들로는 부인하는 접근법, 철로접근법, 분석수준 접근법, 통합된 모델을 통한 접근법, 강탈접근법, 재건 접근법 등이 있다"" 이런 접근법들을 보며 통합을 향한 기독교적인 접근에 있어서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1.2.2. 통합: 적용(1)
기독교 심리학자들과 그들의 심리학적인 결론들이 그리스도의 몸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영역은 적어도 6가지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영역들은 중앙의 축을 둘러싸고 도는 바퀴로 묘사되고 있다.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이 중앙에 있다. 이것은 우리의 심리학자들이 둘러싸고 돌아야 하는 핵심이다. 6개의 부분으로 구성된 원의 외곽 부분 중 세 가지는 사람들과 관계되어 있고, 반면에 세 가지는 프로그램들과 더 관련되어 있다.
(a) 전문적으로 사람을 도와 주는 일(Professional People-Helping)
사람들을 도와주는 것을 전문으로 하는 사람들은 심한 혼돈 상태에 빠진 사람들을 상담하기 위하여 훈련을 받지만, 이러한 전문가들은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다. 한 집단으로서의 그들은 훈련과 감독 그리고 목회와 평신도 상담자들을 도와주는 일들을 할 수 있고 해야만 한다.
(b) 목회적인 사역으로 사람을 도와주는 일(Pastoral People-Helping)
목사들은 전문상담자들보다 접근하기가 더 쉽고, 수적으로도 더 많으며, 비용이 적게 든다. 더욱이 목회상담자들은 자신의 직책상 흠집이 적다. 그래서 그들은 냉담한 독심술사 혹은 정신과 의사들로 여기서는 전문가들보다는 더욱 자주 신뢰 받고 있다.
(c) 동료들이 도와주는 일(Peer People-Helping)
...
참고 자료
인터넷 검색 - http://cafe.daum.net/3bless<종교심리학 카페> 2008. 10. 23.; http://cafe.daum.net/por08
<종교심리학 카페> 2008. 10. 24.
이금만,「발달심리와 신앙교육」(서울: 상담과 치유, 2008), 221.
이금만 , “제임스 파울러” 교육목회, 2002, 가을호. 266. (266-267)
James W. Fowler, Faithful Change, 46-53; 강희천,「종교심리와 기독교교육」268-70에서 재인용.
박원호,「신앙의 발달과 기독교교육」(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1996), 66-67.
William Meissner, Psychoanlysis and Religious Experience (New Haven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1984; 김진영, “J. 파울러의 신앙발달론을 통하여 본 신앙 성숙과 자아실현의 문제”, 293-94에서 재인용.
김진영, “J. 파울러의 신앙발달론을 통하여 본 신앙 성숙과 자아실현의 문제”, 295-96.
Gabriel Moran, Religious Education Development, 사미자,「종교교육 발달」160.
사미자, “신앙이론의 대가 제임스 파울러”, 교육교회, 1996, 3월호,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