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피아제와 비고츠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2.1. 도식
2.2. 내면화
2.3. 동화와 조절
2.4. 인지발달 단계와 특징
3. 비고츠키의 사회문화적 인지이론
3.1. 근접발달 영역 이론
3.2. 비고츠키 발달단계
4. 피아제와 비고츠키 이론 비교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발달은 인간의 전 생애에 걸쳐 연령의 증가와 일어나는 모든 변화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겉으로 보이는 신체변화, 어휘력등의 양적 변화와 언어로 의사소통을 하게 되는 질적인 변화를 의미한다.""발달은 성장, 성숙, 학습의 과정이 맞물리면서 이루지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인간의 발달에 미치는 요인으로 발달이론가들은 오랜기간 논쟁을 하였으며 유전, 성숙을 강조하는 학자와 양육, 환경, 학습을 강조하는 학자들과 성숙과 환경을 모두 강조하는 학자들이 있다.""피아제는 영유아의 인지발달에 있어 성숙과 환경의 관계를 상호작용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일반적인 상호작용설에서 제시한 "유전+환경" 이라는 단순한 견해를 배제하고 환경과의 관계에서 개체의 주체성이나 특수성을 강조하였다.""비고츠키는 영유아의 인지발달에서 사회적 상호작용과 문화가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영유아 발달에서 사회문화적인 맥락을 강조하였고 사회문화는 영유아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근원이며 영유아는 성인이나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발달된다고 강조 하였다.""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과 비고츠키의 사회문화적 인지이론은 같은 듯 다른 이론이며 본 과제를 통해 두 이론에 대해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각각의 이론을 교육현장에서 어떻게 적용할 지를 사례를 통해 논하겠다.""
2.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2.1. 도식
도식은 지식의 기본단위로서 한 유기체가 주변 세계를 이해하고 생각하는 심리적 구조의 틀 즉 이해의 틀을 말한다"" 피아제는 아동은 몇 가지의 감각운동을 가지고 태어나며, 도식은 아동과 환경과의 원초적인 상호작용의 틀을 제공해준다고 주장한다""아동의 초기 경험은 감각운동 도식에 의해 결정되고, 도식이 아동경험의 한계를 설정해줄 수 있다고 말한다"" 그러나 경험을 통해 기존의 도식은 수정될 수 있으며, 경험은 아동의 인지구조를 조절시킬 새로운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아동의 인지구조가 변화하고, 경험이 계속적으로 늘어날 수 있다""
2.2. 내면화
피아제는 정교한 인지구조가 발달함에 따라 아동은 복잡한 문제 상황에 반응할 수 있게 된다고 말한다. 아동은 점차적으로 물리적 환경에 의존이 낮아지며, 자신의 인지구조를 보다 많이 활용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내면화라고 말한다. 아동의 초기 경험은 생등적 도식의 활용과 정교화를 포함하게 된다. 초기 경험들의 결과는 인기주고에 등록되고 점차적으로...
참고 자료
영유아발달 교안
영유아 발달의 이해, 정옥분, 학지사, 2015
이해경 외(2002), 인지발달에 대한 삐아제 이론과 비고츠키 이론의 비교, 사회과학연구, 20-1.
임문숙(2001), Piaget와 Vygotsky의 인식론에 비추어 본 구성주의의 학습 원리, 청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개념획득과 언어발달의 관련: 피아제와 비고츠키 심리이론의 교육학적 해석(이병숙희,울산대학교.2014)
비고츠키 이론에서 ‘생각과 말’에 대한 유아교육적 고찰(김혜연.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2021)
피아제의 놀이 이론의 교육학적 해석(김덕영.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2017)
피아제 발달이론의 논리적 정당화와 교육적 함의(은은숙. 경북대학교 대학원.2012)
비고츠키의 사회적 구성주의 이론에 근거한 화학과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김수연.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