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국내외 대형화재 사례 1건 분석/정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제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전환
1.1. 제4차 산업혁명의 개념
1.2. 디지털 전환의 개념과 중요성
2. 국내외 기업의 디지털 전환 사례
2.1. 쿠팡의 디지털 전환
2.2. 아마존의 디지털 전환
2.3. 알리바바의 디지털 전환
3. 대한항공-아시아나 인수합병과 항공운송산업 변화
3.1. 대한항공의 아시아나항공 인수 과정
3.2. 인수에 따른 항공운송산업의 변화
3.3. 예상되는 문제점
4. 정치인의 SNS 활용과 언론보도
4.1. 이재명 경기도지사의 SNS 사례
4.2. SNS 활용이 언론보도에 미친 영향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제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전환
1.1. 제4차 산업혁명의 개념
제4차 산업혁명의 개념은 이전의 세 차례 산업혁명과 비교했을 때 그 발전 속도와 규모가 매우 빠르고 크다는 것이 특징이다. 제4차 산업혁명은 2016년 다보스 포럼에서 클라우스 슈밥에 의해 처음 언급된 개념으로, 기존의 산업혁명과 질적으로 다른 경제·사회적 변혁을 예고하고 있다.
제1차 산업혁명은 18세기에 시작되었으며, 증기기관의 발명을 통한 기계화로 생산성이 비약적으로 증가하여 농경사회에서 산업화 사회로 변모하게 되었다. 제2차 산업혁명은 19세기~20세기 초에 발생했으며, 전기 에너지를 기반으로 한 대량생산 혁명이었다. 제3차 산업혁명은 1960년대에 시작되었으며, 컴퓨터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지식정보 혁명이었다.
제4차 산업혁명은 21세기 초반에 나타났으며, 지능과 정보가 융복합된 새로운 방식의 디지털 혁명을 기반으로 구축되었다. 제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은 디지털 기술, 물리학 기술, 생물학 기술 등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디지털 기술에는 빅데이터, AI, IoT, 블록체인 등이 포함되며, 물리학 기술에는 로봇공학, 무인 운송수단, 3D프린팅, VR/AR/MR/XR 등이 포함된다. 생물학 기술에는 생명공학과 나노기술이 포함된다. 이러한 기술들은 서로 밀접하게 융합되어 초지능, 초연결의 특성을 가지게 된다.
제4차 산업혁명은 이전의 산업혁명과 비교했을 때 그 속도와 규모가 매우 크다는 점이 특징이다. 클라우스 슈밥은 제4차 산업혁명의 속도를 '쓰나미'라고 표현했다. 이처럼 제4차 산업혁명은 기존의 산업, 사회, 삶의 구조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1.2. 디지털 전환의 개념과 중요성
디지털 전환의 개념과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디지털 전환은 급속한 주변 환경의 파괴적인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cloud, IoT, Big Data와 같은 최신 디지털 기술을 적용하여 조직과 비즈니스 모델을 혁신하는 것으로 지속 가능한 경영을 위한 전략이다. 즉,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기업의 내부 프로세스와 외부 활동을 변화시키고, 이를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디지털 전환의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전환을 통해 기업은 고객의 니즈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고객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개인화된 서비스와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고객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
둘째, 디지털 전환은 기업의 내부 프로세스를 혁신하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디지털 기술을 생산, 물류, 관리 등 기업 전반의 프로세스에 도입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디지털 전환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할 수 있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기존 사업에 혁신을 가져오거나 완전히 새로운 사업 기회를 발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업은 시장에서의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
넷째, 디지털 전환은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기업의 사회적, 환경적 책임을 이행하고 지속가능한 경영을 실천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전환은 기업의 경쟁력 강화, 효율성 증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창출, 지속가능성 제고 등을 위해 필수적인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2. 국내외 기업의 디지털 전환 사례
2.1. 쿠팡의 디지털 전환
쿠팡의 디지털 전환은 다음과 같다.
쿠팡은 디지털 혁신 기술을 이용하여 고객에게 신선식품의 경우, 밤 12시 이전에만 주문하면, 아침이 되기 전까지, 일반 상품의 경우 주문으로부터 1일 이내에 집 앞으로 가져다준다는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였다. 쿠팡이 적용한 4차산업혁명 기술은 다음과 같다.
첫째, AI와 머신러닝, 자동화 로봇 기술을 집약하여 최첨단 물류 인프라를 구축하였다. AI와 머신러닝은 급격한 수요가 발생하기 전에 이를 예측하여, 물류와 배송 네트워크에 선제적으로 상품을 배치하고, 수억 건의 주문에 대한 동선을 효율적으로 설계한다. 또한 배송지에 따라 물품을 분류하고, 배송트럭의 물품 적재 순서, 최적 배송 경로를 산출하는데 AI가 활용된다. 이때, 피킹 로봇은 물류센터의 바닥을 돌아다니며 바코드를 읽고 상품을 작업대에 싣고 작업자에게 전달하며, 포장이 끝난 제품을 작업자가 다시 분류 로봇에 올려놓으면, 이 로봇은 운송장의 주소를 스캔하여 지역별로 분류한다.
둘째, 빅데이터를 이용한 수요예측 시스템과 머신러닝을 활용한 재고관리 시스템을 중소상공인에게 지원하여 디지털 전환과 안정적인 성장에 기여하고 있다.
셋째, AI 기술이 적용된 상품검색과 추천 서비스로 동일 상품 중 소비자 경험이 가장 좋은 제품을 우선순위로 노출하고, 상품평을 한곳으로 모아 볼 수 있도록 하여 고객이 최적화된 상품을 쉽게 확인하고 구매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쿠팡의 디지털 전환을 바탕으로 매출 증가뿐만 ...
참고 자료
윤경배 외 17인 공저(2020), 4차 산업혁명의 이해, 일진사
https://www.mk.co.kr/economy/view/2016/741275, [ISSUE INSIDE] 클라우스 슈밥 ‘4차 산업혁명’ 성공전략…“강소기업 중심 네트워킹으로 혁신해야”, 매일경제, 김경민, 2016.10.24.
이석준 외 3인 공저(2021), 산업별 디지털 전환 결정요인 사례연구, 정보화연구 제18권 4호
https://www.yna.co.kr/view/AKR20240518031600030, 대형마트 5년새 35개점 폐점…'올해 재단장이나 출점 나선다', 성혜미, 연합뉴스, 2024.05.19.
신동한(2023), 디지털 전환과 유통산업의 구조 변화 연구-기업 동학적 접근, 산업연구원
https://www.ibtomato.com/View.aspx?no=11224&type=2, 격변하는 유통 생태계…디지털 전환 속 양극화 심화, 박예진, IB토마토, 2024.01.02.
이정섭 외 2인 공저(2021), 4차산업혁명 시대, 첨단 유통기업의 사례 : 디지털 전환을 중심으로, 경영컨설팅 연구 제21권 제1호
http://webzine.koita.or.kr/, 확장하는 디지털 경제, ‘사람과 AI의 팀플레이’를 통한 쿠팡의 혁신, 권남용, 기술과혁신 2023년 1/2월호 vol.457,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https://www.dnews.co.kr/uhtml/view.jsp?idxno=202402261140422640554, “쿠팡, 작년 연매출 32조”…국내 유통업계 1위 오른다, 문수아, 대한경제, 2024.02.26.
https://www.thedailypost.kr/news/articleView.html?idxno=104431, 아마존 '건재 과시'...美이커머스 점유율 40%, 김정은, 데일리포스트, 2024.04.23.
조원태 회장 “아시아나 인수합병, 혼연일체 돼 철저히 준비”, 이은영, 조선비즈, 2022.03.23.
대한항공-아시아나, 결국 조건부 승인…10년 간 슬롯·운수권 반납, 배윤경, 매일경제, 2022.02.22.
대한항공·아시아나 통합 성공하려면...경쟁 체제 유지·구조조정 논란 정면돌파가 관건, 연선옥, 조선비즈, 2020.11.17.
대한항공, 아시아나 인수·합병 ‘조건부 승인’… 공정위 “10년간 일부 노선 반납 조건”, 김민범, 동아닷컴, 2022.02.22.
대한항공, 아시아나 인수·통합 작업 속도 낸다…"베트남서 기업결합 승인", 방영덕, 매일경제, 2021.11.16
사례1 관련 자료
이재명 경기도지사의 3월 12일자 트위터 내용 5건
https://twitter.com/Jaemyung_Lee/status/1238000826028707840?s=20
https://twitter.com/Jaemyung_Lee/status/1238002541729681408?s=20
https://twitter.com/Jaemyung_Lee/status/1238003878030790656?s=20
https://twitter.com/Jaemyung_Lee/status/1238006209795391488?s=20
https://twitter.com/Jaemyung_Lee/status/1238009835083292672?s=20
이재명 경기도지사의 트위터 내용을 반박하며 쓴 이데일리 기사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18&aid=0004596687
사례2 관련 자료
이재명 경기도지사의 8월 25일자 트위터 내용
https://twitter.com/Jaemyung_Lee/status/1298180923058352128?s=20
이재명 SNS 도민제안 반영을 알리는 기사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417&aid=0000584805
사례3 관련 자료
조세연의 연구보고서 공개 후 뉴스를 인용하며 반박한 첫 번째 글
https://www.facebook.com/jaemyunglee/posts/4396896733685455
다른 뉴스를 인용하며 반박한 두 번째 글
https://www.facebook.com/jaemyunglee/posts/4398017110240084
조세연의 발표가 잘못된 이유 5가지를 논리적으로 정리한 세 번째 글
https://www.facebook.com/jaemyunglee/posts/4398241893550939
조세연에게 4가지를 질문하는 반박 글 네 번째 글
https://www.facebook.com/jaemyunglee/posts/4403241553050973
국민일보기사 – 지역화폐는 국고낭비, 이재명 때린 국책연구기관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5012860&code=61141111&cp=nv
한겨레 기사 – 이재명, 지역화폐 비판한 국책연구원에 “얼빠진 기관”
http://www.hani.co.kr/arti/politics/assembly/962312.html
중앙일보 기사 – 이재명 유독 조세연에 발끈...
https://news.joins.com/article/23884615
한겨레 기사 – 여 “지역화폐, 지역경제 효자” 긍정 자료 대며 이재명 옹호
http://www.hani.co.kr/arti/politics/assembly/962613.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