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미래의 간호사 편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 리더십의 발휘
1.1. 차세대 간호사의 정치입문 지원
1.2. 남자 간호사의 권익 향상과 간호 발전
1.3. 환자 중심의 돌봄과 전문성 발휘
1.4. 열악한 간호 환경 개선과 후배 간호사 지원
1.5. 간호학의 리더로서 변혁적 역할
2. 간호 리더십의 역사와 사례
2.1. 플로렌스 나이팅게일의 변혁적 리더십
2.2. 김수지 박사의 간호 철학과 실천
2.3. 김현아 간호사의 간호 환경 개선 노력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 리더십의 발휘
1.1. 차세대 간호사의 정치입문 지원
차세대 간호사의 정치입문 지원은 간호계의 정치세력화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간호계 리더인 김희걸 회장은 이를 위해 적극적인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김희걸 회장은 현재 대한간호정우회 회장으로 재직하며, 차세대 간호사들의 정치 입문을 지원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는 "중견간호사 리더십트레이닝 만큼이나 젊은 간호사들의 정치에 대한 관심이 장기적인 간호계 정치세력화를 위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젊은 간호사들의 정치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이들의 정치적 입문을 지원하는 것이 김 회장의 장기적인 목표이다. 그는 간호정우회 내에 간호정치연구회를 만들어 간호정치의식 함양을 위한 교육을 강화하고 있으며, 젊은 간호사와 예비 간호사들에 대한 투자와 지원에도 집중하고 있다.
또한 김 회장은 선거 기간 동안 활동했던 젊은 간호사들에 대한 정치교육과 정치에 대한 관심 유도, 그리고 간호사 출신의 정치인 배출 사실 자체를 적극적으로 홍보하는 등의 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를 통해 차세대 간호사들이 정치에 관심을 가지고 실제로 입문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자 한다.
간호계의 정치세력화는 간호계의 권익 향상과 전문성 제고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김 회장의 이러한 노력은 장기적으로 간호계가 정치적 영향력을 확보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1.2. 남자 간호사의 권익 향상과 간호 발전
남자 간호사의 권익 향상과 간호 발전이란 남자 간호사들의 권익 보호와 처우 개선을 통해 간호 분야의 발전을 도모하는 것이다. 남자 간호사들은 병역 문제, 열악한 근로 환경, 성 차별 등의 어려움에 직면해있어 이들의 권익 향상이 필요하다.
김장언 수간호사는 대한남자간호사회를 설립하여 남자 간호사들의 단합과 권익 향상을 이끌어냈다. 그는 남자 간호사들의 방향을 제시하고 군 복학 후 커리큘럼 문제, 경력단절 등의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공중보건간호사제도' 추진을 통해 이들의 고충을 해결하고자 노력했다. 또한 남자 간호사 멘토링 사업 및 교육을 통해 후배 간호사들을 지원하며 앞으로의 방향을 제시하는 리더십을 발휘했다. 이러한 노력으로 현재 남자 간호사들의 권익이 향상되고 간호계 내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
이처럼 남자 간호사들의 권익 향상은 간호의 전문성과 위상 제고에 기여할 수 있다. 여성 중심의 간호계에서 남자 간호사들의 참여와 발전은 간호 분야의 다양성을 높이고 보건의료 현장에서의 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향후 간호사 인력 수급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남자 간호사들의 권익 보호와 처우 개선을 위한 노력은 간호 분야 전반의 발전을 이끌어내는 핵심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1.3. 환자 중심의 돌봄과 전문성 발휘
환자 중심의 돌봄과 전문성 발휘는 간호사의 가장 핵심적인 역할이다. 간호사는 환자의 건강과 안녕을 최우선으로 여기면서 전문지식과 기술을 활용하여 최선의 간호를 제공해야 한다.
환자 중심의 돌봄이란 환자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적 요구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간호사는 환자 개개인의 특성과 상황을 고려하여 차별화된 간호를 제공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환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환자의 요구를 파악하고 공감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특히 중증 환자나 말기 환자의 경우 신체적 간호뿐만 아니라 심리적 지지와 돌봄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환자 중심의 돌봄은 환자의 만족도와 치료 효과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전문성 발휘란 간호사가 간호 실무, 교육, 연구, 관...
참고 자료
정면숙, 박광옥, 고문희, 김덕희, 김세영, 김은경, 김종경, 김진현, 박은준, 서문경애, 조성현 외 공저. 『간호학 개론』. 현문사, 2020년.
김현아. 『나는 간호사, 사람입니다』. 쌤앤파커스, 2018년.
남혜리, 이은자, 허하송. "노인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가 경험하는 감정노동과 의사소통능력이 노인간호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020. 29권(1호) p.20-27
신연선. "김현아 "환자를 살리고 싶다면, 간호사가 살아야 한다". 『채널예스』, 2018년 7월 3일
의학신문 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2567
이용권,“김장언‘명감보다 재밌겠다 싶어 선택……아직 男간호사 영역 개척중’”, 문화일보, 2014.07.23.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4072301033527163007
김수지(2013). 사랑의 돌봄은 기적을 만든다. 비전과 리더십
채널예스인터뷰(글 신연선), “김현아 ‘환자를 살리고 싶다면, 간호사가 살아야 한다.’”, 18.10.20., http://ch.yes24.com/Article/View/36365
tank manual nursing management 간호관리학 퍼시픽 학술 편찬국 (2017)
염영희 외 공저, 「개정 6판 학습성과기반 간호관리학」, 수문사: 경기도 파주(2017)
간호사의 셀프 리더십 수준이 개인과 팀의 직무역할 수행에 미치는 영향 (2016) 김세영,김은경, 김병수, 이은표
리더십의 조직 효과성에 관한 경험적 연구:단순 최소자승 모형과 순위 프로빗 모형의 비교 (2015) 정호준, 김도형, 오정일
네이버 지식백과, “사회학습이론”, 18.10.20,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232659&cid=40942&categoryId=31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