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으)ㄴ 적이있다 없다 수업지도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수업지도안 작성 연습
1.1. '여행 경험'을 주제로 '-(으)ㄴ 적이 있다/없다'를 지도하는 1차시 수업지도안
1.2. 문법교육을 위한 종결어미 '-(으)ㄴ 다음에'의 수업 지도안
2. 종결어미 '-(으)ㄴ 다음에'의 수업 설계
2.1. 한국어 문법교육의 개요
2.2. '-(으)ㄴ 다음에' 종결어미의 의미와 기능
2.3. '-(으)ㄴ 다음에' 종결어미의 수업 지도안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수업지도안 작성 연습
1.1. '여행 경험'을 주제로 '-(으)ㄴ 적이 있다/없다'를 지도하는 1차시 수업지도안
'여행 경험'을 주제로 '-(으)ㄴ 적이 있다/없다'를 지도하는 1차시 수업지도안은 다음과 같다"
먼저 수업의 도입 단계에서 교사는 학생들과 가벼운 대화를 나누며 여행에 관한 경험을 환기시킨다. 교사는 "여러분, 여행가고 싶어요?"라고 질문하며 학생들의 관심을 유도한다. 그리고 "서울에 가 본 적이 있어요?"라고 묻고 학생들의 대답을 듣는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으)ㄴ 적이 있다/없다'를 자연스럽게 사용하도록 한다.
제시 단계에서는 '-(으)ㄴ 적이 있다/없다'의 문법적 의미와 형태를 설명한다. 먼저 '적'이 과거의 어떤 '때'를 나타내는 것임을 확인하고, 이 표현이 과거의 경험을 말할 때 사용된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어서 동사의 활용 형태에 따라 '-은 적이 있다', '-ㄴ 적이 있다'로 구분됨을 설명한다.
연습 단계에서는 단어카드와 문장카드를 활용하여 다양한 동사와 결합된 문형을 연습한다. 교사가 먼저 단어를 제시하면 학생들이 '-(으)ㄴ 적이 있다'의 형태로 발화하는 연습을 한다. 이때 규칙 동사에서 시작하여 불규칙 동사로 난이도를 높여 가며 연습을 진행한다. 또한 문장카드를 활용하여 교사-학생, 학생-학생 간의 질문-대답 형식의 연습도 병행한다.
활용 단계에서는 여행과 관련된 사진이나 단어카드를 제시하여 학생들이 자신의 경험을 '-(으)ㄴ 적이 있다/없다'를 사용하여 표현하도록 한다. 교사는 학생들이 목표 문법을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필요시 피드백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교사는 '-(으)ㄴ 적이 있다/없다'의 의미와 용법...
참고 자료
조민하, '-는데'의 종결기능과 억양의 역할, 우리어문학회, 2011.
유민애, 한국어 학습자의 연결어미 ‘-는데’의 오류 원인 분석, 국제어문학회,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