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백일해 case"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백일해 CASE STUDY
1.1. 발작적인 기침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해결을 위한 간호과정 적용사례
1.2. 간호과정
1.2.1. 간호사정
1.2.2. 간호진단
1.2.3. 간호중재
1.2.4. 평가
2. 폐렴
2.1. 정의
2.2. 원인
2.3. 병태생리
2.4. 증상
2.5. 진단적 검사
2.6. 치료
2.7. 간호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백일해 CASE STUDY
1.1. 발작적인 기침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해결을 위한 간호과정 적용사례
백일해(Pertussis, Whooping cough) 진단받은 학령전기 남아의 발작적인 기침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해결을 위한 간호과정 적용사례이다.
이 환아는 백일해(Pertussis, Whooping cough) 진단을 받은 5살 된 남아로 내원 2주 전 미열, 경미한 기침 증상이 있어 지역 의원에서 급성 세기관지염 진단을 받아 약물 복용 중이었다. 그러나 증상이 완화되지 않고 밤사이 발작적인 기침과 구토가 반복되어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환아는 기침을 한번 시작하면 잘 멈추지 않는 발작적인 기침(Paroxysmal cough)을 보였고, 기침 발작 이후 구토를 동반하며 끈적한 객담이 발생하였다. 흡기 시에는 '흡(Whoop)'소리가 관찰되었다. 입원 당시 활력징후는 체온 37.2도, 맥박 90회/분, 호흡수 32회/분이었고, 산소포화도는 96%였으나 발작적인 기침 시 88%까지 저하되어 nasal cannula로 산소 2L/분을 적용하고 있었다.
간호사정 결과, 발작적인 기침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간호진단을 도출하였다. 이에 대한 간호계획으로 호흡 상태와 활력징후, 호흡곤란 증상을 지속적으로 사정하고, 기침과 객담 양상을 확인하며, 가습화된 산소공급과 Nebulizer 치료, 수분섭취 격려 등의 간호중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환아의 발작적인 기침과 구토가 줄어들고 산소포화도가 97%로 유지되는 등 호흡양상이 호전되었다. 이를 통해 발작적인 기침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이 해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2. 간호과정
1.2.1. 간호사정
간호사정은 간호과정의 첫 단계로, 대상자의 건강상태와 간호요구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본 사례의 간호사정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으로 환아는 만 5세 된 남아로, 입원 당시 체중은 17kg, 키는 106.5cm였다. 예방접종 상태는 D-Tap 4차까지 접종하였으며, 한 달 전 키즈카페 방문 시 백일해를 앓던 아동과 접촉한 적이 있었다.""
둘째, 현병력을 살펴보면 내원 2주 전 미열과 경미한 기침 증상으로 인해 LMC에서 급성 세기관지염 진단을 받고 약물 치료를 받았으나 증상이 호전되지 않고 밤사이 발작적인 기침과 구토가 반복되어 응급실을 통해 입원하였다. 입원 시 체온은 37.2°C, 맥박 90회/분, 호흡수 32회/분, 산소포화도는 96%였다.""
셋째, 검사 결과를 보면 세균배양 검사에서 bordetella pertussis 균이 검출되어 백일해로 확진되었고, 혈액검사 결과 백혈구 17.6 k/uL, C-반응단백 25 mg/dL로 감염 소견이 있었다. 방사선 검사상 폐실질 내 침윤 소견은 없었다.""
넷째, 약물 처방으로는 항생제 Erythromycin, 진해거담제, 기관지확장제, 수액요법 등이 이루어졌다.""
마지막으로, 행동 특성 관찰 결과 발작적인 기침을 할 때마다 산소포화도가 88%까지 저하되어 nasal cannula로 산소 2L/분을 적용 중이었다.""
이상과 같이 간호사정을 통해 환아의 일반적 특성, 현병력, 검사 결과, 약물 처방, 행동 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하였다.""
1.2.2. 간호진단
발작적인 기침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이다"".
이는 백일해(Pertussis, Whooping cough) 진단을 받은 5살 된 학령전기 남아의 증상이다. 환아는 기침을 한번 시작하면 잘 멈추지 않는 발작적인 기침(Paroxysmal cough)을 보였고, 기침 발작 이후 구토를 동반하며 끈적한 객담양상을 확인했다. 흡기 시에는 '흡' 소리가 관찰되었다. 이는 백일해 감염에 의한 기도 내 염증으로 인해 기도가 좁아지면서 발생하는 증상이다.
환아의 호흡양상은 비정상적인데, 호흡수가 빠르고 얕은 양상을 보이며 천명음(Wheezing)과 그르렁거리는 소리가 동반되었다....
참고 자료
아동간호학Ⅰ 제2판. 윤희옥 외. 현문사.
아동간호학Ⅱ 제2판. 윤희옥 외. 현문사.
최신아동간호학Ⅰ. 홍경자 외. 수문사.
최신아동간호학Ⅱ. 홍경자 외. 수문사.
기본간호학Ⅰ. 손정태 외. 현문사.
기본간호학Ⅱ . 손정태 외. 현문사.
기본간호중재와술기. 송경애 외. 수문사.
정용선, 이용화, 박기원, 이자형. (2008). 아동의 발열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대처방법. 부모자녀건강학회지, 11(2), 105-114.
Yong Sun Jeong, Yong Hwa Lee, Ki Won Park, Ja Hyung Lee. (2008). Parent`s Knowledge and Cope of Their Child Fever.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11(2), 105-114.
김순주, 김상은, 김종현, 이정현, 오진희, 고대균, 성화영, 유재연. (2009). 영아 백일해의 임상 양상.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16(2), 167-174.
Soon Ju Kim, Sang Eun Kim, Jong Hyun Kim, Jung Hyun Lee, Jin Hee Oh, Dae Kyun Koh, Hwa Young Sung, Jae Yon Yu. (2009). The Clinical Features of Pertussis in Infancy. Pediatr Infect Vaccine, 16(2), 167-174.
서혜경, 김란희, 김성헌, 김혜영, 박수은, 박희주, 이승주, 김혜정. (2011). DTaP 접종력이 없는 3개월 미만 영아의 백일해 3례. Pediatric allergy and respiratory disease, 21(1), 56-60.
Hyung Kung Seo, Ran Hee Kim, Seong Heon Kim, Hye Young Kim, Soo Eun Park, Hee Ju Park, Seung Ju Lee, Hye Jung Kim. (2011). Three Cases of Pertussis in Infants younger than Three Months without Immunization of DTaP. Pediatric allergy and respiratory disease, 21(1), 56-60.
김경효. (2013). 다시 출현하는 감염병: 홍역, 볼거리, 풍진, 백일해의 진단을 중심으로.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20(3), 115-122.
Kyung-hyo Kim. (2013). Reemerging Old Infectious Diseases: Diagnosis of Measles, Mumps, Rubella, and Pertussis. Pediatr Infect Vaccine, 20(3), 115-122.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searchDrug/search_detail.asp
급성 기관지염 문헌고찰 /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간호사정, 임상검사 / 성인간호학1,2 수문사
약물 / 약학정보원
특수검사 / 간호학대사전
Denver Ⅱ 검사 / 아동간호학1 수문사
Wong-Baker의 얼굴 통증 척도
NANDA 간호진단
간호과정 / 아동간호학1, 아동간호학2, 기본간호학,
김희순 외, 아동건강간호학Ⅱ, 수문사, 2016
방경숙 외, 아동간호학, 정담미디어, 2016
권윤정 외, 소아청소년을 위한 아동건강간호학, 퍼시픽북스, 2017
진단적 검사와 간호(김정애 외. 수문사. 2016)
질환별 간호과정1(신은주. 한언. 2016)
드러그인포(www.druginf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