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HTP(집,나무,사람) 검사 해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HTP(House-Tree-Person) 그림검사
1.1. HTP 검사의 발달
1.2. 정상 성인의 그림
1.3. HTP 검사의 구성 및 실시
1.3.1. 도구 및 지시
1.3.2. 실시순서
1.4. HTP 검사의 장단점
1.5. 그림 해석
1.5.1. 집(House) 그림 해석
1.5.2. 나무(Tree) 그림 해석
1.5.3. 사람(Person) 그림 해석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HTP(House-Tree-Person) 그림검사
1.1. HTP 검사의 발달
HTP 그림검사의 발달은 다음과 같다.
Goodenough(1926)는 아동기부터 청소년기까지 인물화가 어떤 식으로 그려지는지에 대한 발달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는 인물화 그림을 통해 아동의 지능을 평가하였다. 이후 House, Tree, Person 검사가 독립적으로 발달하게 되었다. Buck(1953)은 H-T-P를 묶어 하나의 검사로 구성하였고, Hammer(1971)는 이를 임상적으로 확대 적용하였다. Machover(1949)는 투사적 그림에 대한 상세한 임상해석을 제시하였다. Koppits(1968)는 투사적 채점체계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Burns(1987)는 기존의 HTP 검사를 변형하여 동작성 HTP(kinetic-HTP)를 고안하였다. 동작성 HTP는 Maslow의 욕구위계설에 이론적 기초를 두고 있다.
1.2. 정상 성인의 그림
정상 성인의 그림 작품은 일반적으로 종이의 약 2/3 크기로 그려지며, 대략 10~12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그림이 종이의 2/3크기이다." 정상 성인들은 보통 먼저 머리와 얼굴 부분을 그리기 시작하며, 그림 요소들 간의 비율이 적절하고 자연스러우며 활동적인 분위기를 표현한다."그림 요소간의 정상적인 비율, 자연스럽고 활동적이다" 또한 정상 성인의 그림은 비교적 대칭적이고 유쾌한 느낌을 주며, 일정한 필압을 유지하며 적게 지우고 지운 부분을 개선하는 모습을 보인다."비교적 대칭적, 유쾌한 느낌 / 일정한 필압유지 / 적게지우고, 지우고나서 그림의 질이 개선" 정상 성인은 주로 동성의 인물을 먼저 그리며, 남자의 이차성징은 넓은 어깨, 짧은 머리, 작은 엉덩이 등으로 표현한다."동성의 그림을 먼저 그린다 / 남자의 이차성징은 넓은 어깨, 짧은 머리, 작은엉덩이등으로 표현" 또한 정상 성인들은 눈동자나 콧구멍을 그리지 않으며, 남자의 옷에는 벨트를 표현하고 다리와 귀는 강조하지 않는다."눈에 동공을 그리거나 코에 콧구멍을 그리지 않는다 / 남자의 옷을 그릴 때 벨트를 그린다 / 다리와 귀는 강조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정상 성인들은 그림에서 빠진 부분이나 잘못된 부분에 대해서 유머로 받아들인다."그림에서 빠진 부분이나 잘못된 부분에 대해 유머로 받아들인다"
1.3. HTP 검사의 구성 및 실시
1.3.1. 도구 및 지시
HTP 검사를 실시하기 위한 도구 및 지시는 다음과 같다.
HTP 검사에 필요한 도구는 B...
참고 자료
상담이론과 실제 / 양명숙, 김동일, 김명권 외 2명 저 / 학지사 / 2013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현대상담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 윤순임 저 / 중앙적성출판사 / 2011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상담 및 치료의 이론과 실제 / Richard Nelson Jones 저 / 김성봉 외 1명 역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htp 미술 심리검사와 심리치료 진단평가
HTP(House, Tree, Person Drawing Test) 투사 그림검사 해석의 원리와 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