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자동차산업"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자동차 산업의 현황과 미래
1.1. 자동차 산업의 특성
1.1.1. 높은 부가가치와 다양한 연관 산업
1.1.2. 자동차 부품 산업 구조의 변화
1.1.3. 산업 구조의 수평화와 제휴 관계 증가
1.2. 미래 자동차 산업의 변화 요소
1.2.1. 친환경화: 전기차와 수소차의 부상
1.2.2. 지능화: 자율주행 기술의 발전
1.2.3. 서비스화: 공유 모빌리티와 플랫폼 비즈니스
1.3. 자동차 산업의 미래 전망
1.3.1. 전통 자동차 기업의 대응
1.3.2.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규제
1.4. 국내 자동차 산업의 현황과 과제
1.4.1. 강점과 약점
1.4.2. 정부와 기업의 대응 방안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자동차 산업의 현황과 미래
1.1. 자동차 산업의 특성
1.1.1. 높은 부가가치와 다양한 연관 산업
자동차 산업은 높은 부가가치와 다양한 연관 산업을 가지고 있다. 첫째, 자동차 산업은 여러 산업들 중에서 부가가치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제시장에서 매출액이 1조 달러를 넘으며 1천만명 이상을 고용하는 최대의 제조업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로 인해 자동차 산업을 보유한 국가들에게는 경제성장에 있어서 상당한 동력을 제공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둘째, 자동차 산업은 다양한 산업들과 연관성이 높기 때문에 부상하고 있다. 자동차 차체를 만드는 철강부터, 엔진 등 다양한 자동차 관련 기계장치들을 만드는 기계 산업, 자동차에 설치하는 전자장비를 만드는 정보기술 산업, 다양한 소재를 자동차에 제공하는 소재산업, 그 외에 바이오 기술까지 다양한 산업들이 자동차 산업과 연관되어 있다. 최근에는 환경과 에너지 이슈가 대두되면서 이와 관련된 기술들도 자동차 산업에 적용되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산업들이 자동차 산업과 연계되어 있어 시너지 효과를 누릴 수 있으며, 생산유발과 기술파급효과는 물론이고 일자리 제공 등 높은 수준의 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 그래서 자동차 산업을 육성하는 나라들은 자동자산업과 연관된 산업들도 함께 발전하는 경향이 있다.
1.1.2. 자동차 부품 산업 구조의 변화
자동차 부품 산업 구조의 변화는 기존의 내연기관 부품에서 전기차 부품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 기존의 엔진, 변속기, 클러치 등의 내연기관 관련 부품들은 점차 필요가 없어지고 전기모터, 배터리, 인버터 등의 전기차 관련 부품들이 대체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 부품 산업은 크게 3개의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현재 자동차에 사용되는 부품이 미래에도 계속해서 사용되는 경우로, 타이어, 윈도우, 바디 등 자동차의 외관과 안전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부품들이 여기에 해당한다. 두 번째는 새로운 기술들이 도입되면서 소재와 통신 분야에서 기존 부품들과의 경쟁이 없는 경우로, 기존 부품사들과의 경쟁 없이 착실한 공급자로서 정착할 가능성이 크다. 세 번째는 기존 기술이 폐기되면서 사라지는 부품 대신 새로운 기술이 대체하는 경우로, 자금력과 높은 수준의 기술을 보유한 IT 업체들과 자동차 기술에 특화된 기존 부품사들의 경쟁이 예상된다.
이처럼 자동차 부품 산업은 기존의 수직적 구조에서 수평적 구조로 변화하고 있다. 이는 완성차 기업들이 핵심역량에 집중하고 부품기업들과 수평적 파트너십을 구축하여 부품을 조달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테슬라는 배터리 기업인 파나소닉과 합작사를 설립하여 배터리 기술개발과 물량 확보에 협력하고 있으며, 다른 글로벌 완성차 기업들도 친환경 부품기업들과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이처럼 자동차 부품 산업은 기존의 수직적 하청구조에서 핵심역량 개발과 부품기업과의 수평적 협력관계 구축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1.1.3. 산업 구조의 수평화와 제휴 관계 증가
자동차 산업의 수평화와 제휴 관계 증가
기존 자동차 산업은 수직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완성차 기업이 자동차 부품을 직접 생산하거나 특정 부품 공급업체와 장기적인 거래 관계를 맺는 형태였다. 이는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수 있으나 완성차 기업의 문제가 협력업체로 전달되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최근 자동차 산업 구조가 수평화되고 제휴 관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완성차 기업은 핵심역량에 집중하고 부품과 기술 공급은 전문 협력업체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조달하고 있다. 특히 친환경차 부품 생산에서 이러한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테슬라는 배터리 기술 개발과 생산을 위해 파나소닉과 합작사를 설립하였다. 이를 통해 배터리 기술 및 생산 역량을 확보하였다. 다른 완성차 업체들도 배터리, 전기모터 등 핵심 친환경차 부품업체와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있다. 폭스바겐, GM, 도요타 등 글로벌 완성차 기업들은 배터리, 전기차 부품 업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공동 기술개발과 부품 조달을 추진하고 있다.
이처럼 수직적인 산업구조에서 벗어나 수평적인 협력관계가 증가하고 있다. 완성차 기업은 핵심역량에 집중하고 부품과 기술은 전문 협력업체와의 제휴를 통해...
참고 자료
관계부처합동 (2019.10). 미래자동차 산업 발전 전략
박정국 (2019). 미래 자동차 산업 전망과 현대모비스 전략 방향성. 오토저널, 41(7), 35-39
손영욱 (2021). 한국의 기술진보와 자동차산업의 미래. 국제노동브리프. 67-82.
국토교통부, 「친환경 전기차와 수소차 혜택! 통행료 50% 할인된다? 자동차 혜택 총정리」, https://blog.naver.com/mltmkr/221582224220
국토교통부, “자율주행 자동차 단점”, https://blog.naver.com/mltmkr/222147739212
노병우, 「제네시스 ‘MY GENESIS’ 자동차 라이프 만족도 제고」, 『프라임경제』, 2021년 3월 22일
[네이버 지식백과] 4차 산업혁명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377297&cid=43667&categoryId=43667
[네이버 지식백과] O2O (한경 경제용어사전, 한국경제신문/한경닷컴)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424506&cid=42107&categoryId=42107
[네이버 지식백과] 수소연료전지차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70405&cid=43667&categoryId=43667
[네이버 지식백과] 자율주행차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838497&cid=43667&categoryId=43667
[네이버 지식백과] 전기차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32999&cid=43667&categoryId=43667
이승종, 「[테크톡] 기계가 운전하는 시대 온다... 자율주행 레벨3의 의미는?」, 『KBS』, 2020년11월17일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049953&ref=A
환경부, 「전기차vs수소차, 나에게 맞는 친환경 자동차는?」,『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019년4월11일
https://www.korea.kr/news/cardnewsView.do?newsId=148859933&call_from=naver_news
효성프리미어모터스, “자율주행 자동차 장점”,
https://blog.naver.com/hyosung_kr/222198525859
누가 미래의 자동차를 지배할 것인가. 미래의창. 페르디난트 두덴회퍼. 2017.
김경유. 자동차산업의 기초분석. 성장동력산업실. 산업연구원(KIET)
관계부처 합동. 2019. 미래자동차 산업 발전 전략 –2030년 국가 로드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