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본인의 리더십 사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공유 리더십
1.1. 공유 리더십의 등장배경과 개념
1.2. 공유 리더십의 유형
1.2.1. 업무 지향적 공유 리더십
1.2.2. 관계 지향적 공유 리더십
1.3. 공유 리더십의 효과성
2. 리더십 성공 사례
2.1. 중고 자동차 사업장에서의 상황적 리더십 경험
2.2. 도시재생사업에서의 변혁적 리더십 경험
3. 리더십 이론 분석
3.1. 상황적 리더십: 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 이론
3.2. 변혁적 리더십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공유 리더십
1.1. 공유 리더십의 등장배경과 개념
공유 리더십(shared leadership)이라고 하는 개념은 이미 오래전에 조직심리학 분야에서 등장하였으며 Gibb(1954)은 팀 리더십(team leadership)이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소개하면서 리더십이 구성원들에 의해 공유될 때, 보다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즉, 공식적으로 임명된 단일 리더와 부하직원 간의 일대일 관계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모든 팀원들 간 역동적인 상호리더십 관계가 더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처럼 구성원들 사이에서 영향력이 행사되는 현상이라는 점에서 Bowers and Seashore(1966)는 공유 리더십을 분산된 리더십(distributed leadership)이라고 명명하였다. 이후 많은 연구자들이 공유 리더십을 팀 내 분산된 영향력,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팀 동료들 간에 다각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리더십의 분산 현상이라고 정의하였다(Carson et al.,2007; Pearce & Sims, 2002). 또한 공식적으로 임명된 리더와 과업활동을 통해 자연스럽게 등장하게 되는 리더들 모두에게 공유되고 분산되는 현상(Mehra et al., 2006)이라는 점에서 구성원들이 공식적인 리더의 역할 뿐 아니라 비공식적인 리더의 역할을 자발적으로 담당하는 창발적 리더십(emergent leadership)이기도 하며 몇몇 학자들은 공유 리더십을 다수의 구성원들에 의해 수행되는 집단적 리더십(collective leadership)이라고 보았다(Ensley et al., 2006). 이처럼 다양하게 명명되는 공유 리더십은 결국 구성원들이 서로에게 행사하는 총제적 영향력이라 할 수 있다(Day et al., 2006; Sivasubramanium, Murry, Avolio, & Jung, 2002).
1.2. 공유 리더십의 유형
1.2.1. 업무 지향적 공유 리더십
업무 지향적 공유 리더십은 팀 구성원들이 목표에 대한 만족스러운 성과의 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해 관심사를 공유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업무 지향적 공유 리더십과 관련되어진 행동은 업무를 부여하고 조정하는 것은 물론 규칙과 절차를 팀 구성원들에게 설명하는 것을 포함한다.
업무 지향적 공유 리더십은 전통적인 방식의 수직적 리더십에 비해 보다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프로세스를 가진 특성을 보인다. 공유 리더십의 정도가 높은 팀의 경우 의견이 단일화에 이르기까지 시간이 많이 걸리고, 의사 결정과정에서 낮은 효율성을 보이기도 한다. 또한 공유 리더십의 특성상 집단 지성이 충분히 발휘되어야 하는 상황에서 대규모의 팀이나 인지적 다양성이 낮은 팀의 경우에는 책임감의 분산되어 동등한 영향력이 반드시 바람직하지...
참고 자료
김문주 and 정예지. (2016). 공유 리더십의 선행요인과 그 효과성에 관한 연구. 기업경영연구, 23(6), 145-168.
이준근, 최우재.(2017).공유리더십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177-185.
한지영. "공유리더십, 커뮤니케이션 풍토가 조직 자원을 통해 팀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자원 보존 이론의 관점에서." 국내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2. 서울
마도윤. 『조직행동(3판)』. 민영사
김윤나. 『리더의 말 그릇』. 김윤나
성남시. https://www.seongnam.go.kr/city/1001168/10819/contents.do
정재영(2023). 리더십의 철학: 1 주차 ~ 7 주차 학습 자료. 고려사이버대학교.
윤방섭(2019). 「리더십의 이해」. 학현사.
탁진국·손주영(2017). 「리더십 이론과 실제」. 학지사.
Bass, B. M., & Avolio, B. J. (1993).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ulture. Public Administration Quarterly, 17, 112-121.
Burns, J. M. (1978). Leadership. New York: Harper & Row.
Peter G. Northouse(2013). 「리더십 이론과 실제」. 경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