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여성간호학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자궁경부암 환자의 건강관리
1.1. 일반사항
1.2. 산과력
1.3. 현 건강 관련 정보
1.4. 입원동기와 현병력
1.5. 진단검사
2. 암환자의 투약 관리
2.1. 사용 약물
2.2. 약물 효능 및 부작용
3. 암환자의 간호과정
3.1. 간호진단
3.2. 간호계획 및 중재
3.3. 간호 평가
4. 암환자의 간호교육
4.1. 불안 완화 교육
4.2. 지지체계 활용 증진 교육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자궁경부암 환자의 건강관리
1.1. 일반사항
성명: 하00 연령: 55세 결혼유무: 0 교육정도: 대졸 종교: 불교 직업: 주부 특이사항: 없음 입원일: 20.06.23이다.
1.2. 산과력
산과력은 산모의 임신, 분만, 산욕기 병력을 의미한다. 산과력에는 산모가 경험한 임신, 분만, 유산, 사산 등이 포함된다. 이는 산모의 건강 상태와 향후 임신 및 분만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본 대상자의 산과력을 살펴보면, 산모는 총 3회의 임신력(G3)을 가지고 있으며, 이 중 분만(P) 경험은 없고 유산(A) 0회, 출산(L) 3회의 경력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대상자는 기저에 유산 경험이 없이 총 3회의 출산력만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대상자가 산과적 합병증이나 위험 요인 없이 정상적인 출산 경험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산모의 월경력을 살펴보면, 초경 연령이 13세이고 월경 주기가 규칙적으로 27-30일, 기간이 7일가량 지속되며 월경량이 보통인 것으로 확인된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생식기 건강이 양호한 상태임을 추정할 수 있다.
종합적으로 본 대상자는 기저에 산과적 합병증이나 위험 요인 없이 건강한 상태에서 총 3회의 출산 경험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향후 임신 및 분만 과정에서 긍정적인 예후를 예상할 수 있는 요인이 된다고 할 수 있다.
1.3. 현 건강 관련 정보
현 건강 관련 정보를 살펴보면, 대상자의 키와 체중은 각각 측정불가cm, 측정불가kg으로 기록되어 있다. 체온은 37.1℃, 맥박은 78회/분, 호흡은 16회/분, 혈압은 130/80mmHg로 확인된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생체징후는 전반적으로 정상 범위 내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체중과 키가 정확히 측정되지 않은 점은 추후 필요할 경우 재확인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건강 관련 정보는 자궁경부암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1.4. 입원동기와 현병력
Cx Cancer로 CT 시행 후 발생한 Neutropenia, Thrombocytopenia로 내원하였다""는 내용이다. 즉, 자궁경부암 진단을 받고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던 중에 발생한 백혈구 감소와 혈소판 감소 때문에 입원하게 되었음을 나타낸다. 이는 항암화학요법의 부작용으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1.5. 진단검사
자궁경부암 환자의 진단검사는 다음과 같다. 흉부 X선 촬영(Chest PA)을 통해 폐의 염증 전이가 관찰되었다. CT 검사에서는 간 주변 림프절 크기와 수 증가, 혈모세포가 의심되는 자궁경부암, 담석증이 확인되었다. 또한 혈액검사 결과 Hb 9.0(↓), Hct 24.9(↓), RBC 3.00(↓), neutrophil 0.10(↓), MCHC 36.1(↑)으로 빈혈 소견을 보였다. 이를 통해 자궁경부암의 진단과 병기, 합병증 및 부작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진단검사 결과는 자궁경부암 환자의 적절한 치료 계획 수립을 위해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2. 암환자의 투약 관리
2.1. 사용 약물
사용 약물이다.
대상자는 당뇨병, 고혈압, 자궁경부암 치료를 위해 다음과 같은 약물을 사용하고 있다.
Amaryl-M 2/500 tab은 당뇨병 환자에게 사용되는 경구용 당뇨...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 수문사
최신기본간호학, 수문사
드럭인포 – Amaryl-M, Magmil, Telmitren
암환자의 영양, 통증 및 피로 관련 논문분석, 박정숙 외6,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13권 제3호(2002)
입원환자의 낙상 위험 예측 요인, 김은경 외2, 대한간호학회지 제38권제5호, 2008년
여대생의 자궁경부암 지식, 인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 관련 건강신념 및 접종실태, 이은주 외1, Asian Oncology Nursing 11(1), 2011, 65-73(9 pages)
이영숙 · 박재순 · 이혜경 · 박영주 외 공저, 여성건강간호학 II, 현문사
최순희, 이은주, 박민정, 김혜숙, 김미향(2012), 간호결과 및 측정지표, 전남대학교출판부
환자와 보호자를 위한 부인과 수술 안내 「화순전남대학교병원, 전남지역암센터」
KMLE 의학검색엔진 http://www.kmle.co.kr/
질병관리본부 국가건강정보포털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박은영 외. 2021. 현문사
약학 정보원. https://www.health.kr/
드러그 인포. https://www.druginfo.co.kr/
여성건강간호학: 제 10판 모성간호학I(2020). 수문사.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편저.